목차
가. 배경이론
나. 실험 내용 및 과정
다. 실험결과
라. 결과분석
마. 참고문헌
나. 실험 내용 및 과정
다. 실험결과
라. 결과분석
마.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나야하지만 실제로는 1.92배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오차분석
가) 하드보드지가 이미 약간 휘어져 있었다. 이론상으로 구할 때는 초기 휨이 없는 평평한 보이다. 하지만 실험에서는 이미 약간 휘어진 하드보드지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case1의 하드보드지에서부터 그 처짐의 실험값이 잘못되었을 것이다.
나) 하드보드지의 방향의 문제이다. 하드보드지의 한쪽은 노란색 한쪽은 흰색이라고 했을 때 흰색면 쪽으로 실험 전 이미 휘어져 있었다. 첫 번째 실험 때 흰색 면이 위로 가도록 해서 실험을 했다면 두 번째 세 번째 실험에서도 아래의 그림처럼 두 개의 하드보드지를 같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했어야 한다.
즉 이론상으로는 덜 쳐졌어야 하지만 실험에서는 이 점을 미처 고려하지 못하고 아래그림처럼 방향을 서로 엇갈려서 겹친 후 실험을 진행하여 이론값보다 더 쳐지게 되었다.
다) 이론적으로 집중하중 즉, 한 점에 힘이 가해져야 하지만 하중을 주는 역할로 휴대폰을 사용하여서 집중하중이 가해지지 못하였다.
라) 처짐을 측정할 때 사람이 자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측정하였기에 부정확 하다.
마) 이론상 다음 그림처럼 롤과 힌지의 지지점이 보의 끝에 왔어야 하지만 실험 여건상 불가능하여 오른쪽그림처럼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되면 각각의 경우의 처짐이 이론값을 구할 때 가정한 상황과 달라져 정확한 비교가 힘들어진다.
마. 참고문헌
James M. Gere. (2011). Mechanics of materials (박정선, 옮김). CENGAGE learning(pp. 719-125)
3) 오차분석
가) 하드보드지가 이미 약간 휘어져 있었다. 이론상으로 구할 때는 초기 휨이 없는 평평한 보이다. 하지만 실험에서는 이미 약간 휘어진 하드보드지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case1의 하드보드지에서부터 그 처짐의 실험값이 잘못되었을 것이다.
나) 하드보드지의 방향의 문제이다. 하드보드지의 한쪽은 노란색 한쪽은 흰색이라고 했을 때 흰색면 쪽으로 실험 전 이미 휘어져 있었다. 첫 번째 실험 때 흰색 면이 위로 가도록 해서 실험을 했다면 두 번째 세 번째 실험에서도 아래의 그림처럼 두 개의 하드보드지를 같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했어야 한다.
즉 이론상으로는 덜 쳐졌어야 하지만 실험에서는 이 점을 미처 고려하지 못하고 아래그림처럼 방향을 서로 엇갈려서 겹친 후 실험을 진행하여 이론값보다 더 쳐지게 되었다.
다) 이론적으로 집중하중 즉, 한 점에 힘이 가해져야 하지만 하중을 주는 역할로 휴대폰을 사용하여서 집중하중이 가해지지 못하였다.
라) 처짐을 측정할 때 사람이 자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측정하였기에 부정확 하다.
마) 이론상 다음 그림처럼 롤과 힌지의 지지점이 보의 끝에 왔어야 하지만 실험 여건상 불가능하여 오른쪽그림처럼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되면 각각의 경우의 처짐이 이론값을 구할 때 가정한 상황과 달라져 정확한 비교가 힘들어진다.
마. 참고문헌
James M. Gere. (2011). Mechanics of materials (박정선, 옮김). CENGAGE learning(pp. 719-125)
추천자료
토질역학실험 - 압밀
토질역학실험 - 투수계수
역학종합실험 - 결과레포트
토질역학실험-비중시험
토질역학실험-비중계에 의한 입도 시험
토질역학실험-직접전단시험
토질역학실험 입도분포 보고서입니다.
철근콘크리트 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5.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시험
철근콘크리트 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4.굵은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시험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8.일축압축(Uniaxial Compression)
[구조역학실험] Grillage-Analysis by Intersection Reaction Method
토질역학실험 -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역학시스템실험 (결과)
토질역학실험 표준압밀시험 레포트 (인하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