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험목적
□ 실험장비 구성
◦실험방법
◦결과
◦결론
□ 실험장비 구성
◦실험방법
◦결과
◦결론
본문내용
3.28 × 10-8m4) = 3.413 × 106N/m2
인장σt = (17.5Nm × 0.0122m) / (13.28 × 10-8m4) = 1.608 × 106N/m2
압축력 E = (3.413 × 106N/m2) / 88 × 10-6 = 38.7GN/m2
인장력 E = (1.608 × 106N/m2) / 39 × 10-6 = 41.2GN/m2
∴ E = (38.7GN/m2 + 41.2GN/m2) / 2 = 39.95GN/m2
결 론
단순보의 휨모멘트에 의한 변형율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하중(P)을 100N, 200N, 300N, 400N, 500N으로 증가시켜서 각 스트레인 게이지를 측정하였고, 이결과를 토대로 휨모멘트와 변형율과의 상관관계 그래프를 그려보았습니다.
일반재료들은 인장을 가하면 늘어나는 성질, 압축을 가하면 오그러드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재료에 인장을 주어 늘어난 길이 △L, 원래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늘어난 비율 △L/L을 변형율(ε)이라 합니다.
중립축을 기준으로 윗 부분은 압축응력(-), 아랫부분은 인장응력(+)이 발생하였습니다. 그 결과 하중이 증가할수록 변형율(ε)은 커졌고, 또한 중립축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변형율(ε)이 커진다는 이론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이번실험을 통해서 하중(P)의 증가와 중립축에서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변형이 더 일어남을 증명하였습니다.
중립축의 거리는 이론에서는 11.15mm였으나 실험을 한 결과 12.19mm로 8.63%의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탄성계수는 응력(σ)과 변형율(ε)을 관계로 하여금 39.95GN/m2으로 나왔습니다.
인장σt = (17.5Nm × 0.0122m) / (13.28 × 10-8m4) = 1.608 × 106N/m2
압축력 E = (3.413 × 106N/m2) / 88 × 10-6 = 38.7GN/m2
인장력 E = (1.608 × 106N/m2) / 39 × 10-6 = 41.2GN/m2
∴ E = (38.7GN/m2 + 41.2GN/m2) / 2 = 39.95GN/m2
결 론
단순보의 휨모멘트에 의한 변형율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하중(P)을 100N, 200N, 300N, 400N, 500N으로 증가시켜서 각 스트레인 게이지를 측정하였고, 이결과를 토대로 휨모멘트와 변형율과의 상관관계 그래프를 그려보았습니다.
일반재료들은 인장을 가하면 늘어나는 성질, 압축을 가하면 오그러드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재료에 인장을 주어 늘어난 길이 △L, 원래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늘어난 비율 △L/L을 변형율(ε)이라 합니다.
중립축을 기준으로 윗 부분은 압축응력(-), 아랫부분은 인장응력(+)이 발생하였습니다. 그 결과 하중이 증가할수록 변형율(ε)은 커졌고, 또한 중립축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변형율(ε)이 커진다는 이론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이번실험을 통해서 하중(P)의 증가와 중립축에서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변형이 더 일어남을 증명하였습니다.
중립축의 거리는 이론에서는 11.15mm였으나 실험을 한 결과 12.19mm로 8.63%의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탄성계수는 응력(σ)과 변형율(ε)을 관계로 하여금 39.95GN/m2으로 나왔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