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며

들어가서

1. 작품의 개요
2. 작자와 시대적 배경
3. 표현양식의 변화
4. 인물의 특성과 작품의 성격
1) 인물의 성격
5. 기존의 연구성과와 작품의 성격에 대한 논의
1) 연구성과
2) 작품의 성격규정
6. 주제
7. 작품의 소설사적 의의

나오며

본문내용

훨씬 많은 인물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 동청은 주인공들인 사씨나 교씨, 유한림보다 비중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물론 이 작품이 교씨의 흉계와 음모가 파혜쳐지고 사씨가 불쌍한 처지에 놓여야 독자들의 심금을 울리고 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교씨가 꾸미는 흉계와 모함의 대다수의 음모가 바로 동청의 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한림 몰래 교씨와 사통하고 결국 가장인 유한림마저 제거하는데 앞장서는 역할을 그가 떠맡고 있다. 물론 이러한 플롯과 인물설정은 자연의 생존을 위한 투쟁방식과 먹이사슬의 논리를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부인은 교씨를 영입하였다가 그에 의해 먹히게 되고 유한림은 동청을 받아 들였다가 그의 장난에 의해 유배를 가게 되어 집에서 축출되며, 동청은 심복 냉진을 키워놓았으나 그 자신이 또한 냉진의 밀고에 의해 요참당하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 이런 현상은 약육강식의 논리를 반영하며 사회적 질서의 체계가 무너지고 위계질서의 혼란이 왔음을 상징한다.
나오며
<사씨남정기>는 처첩이라는 단순한 삼각관계가 아니라 사씨와 교씨로 대표되는, 선악의 대립에서 선이 반드시 승리한다는 권선징악의 주제를 잘 드러내고 있다. 수동적 자세를 취하는 사씨가 승리함으로써 교훈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인현왕후 폐출사건과의 유사성은 보이나, 목적소설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인현왕후의 복위가 김만중의 사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인현왕후 복위운동의 일환으로 <남정기>를 지었다는 주장은 신빙성이 떨어지는 것 같다. 서포가 쓴 <남정기> 원본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확실한 저작동기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김춘택의 『북헌집』을 참조로 하여 볼 때, 등한히 할 수 없던 동기는 아마도 권선징악이라는 교훈성이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기동 『이조시대소설론』 이우출판사 1975.
김기현 『한국문학논고』 일조각 1972.
김진영 「<사씨남정기>의 표현양식 고찰」 한국문학논집 제19집 1996.
박성의 『고대소설론과 사(史)』 집문당 1986.
박태상 『조선조 애정소설연구』 태학사 1996.
사재동 『불교계 국문소설의 연구』 국학자료원 1994.
소재영 『김만중연구』 새문사 1983.
신동욱 『김만중연구』 새문사 1983.
우쾌제 『고전소설연구』 일지사 1993.
이상구 『김만중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3.
이원수 『고전소설 작품세계의 실상』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6.
최시한 『가정소설연구-소설형식과 가족의 운명』 민음사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3.27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