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영화 분석 - 워터 드랍스 온 버닝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랑스 영화 분석 - 워터 드랍스 온 버닝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파스빈더 & 프랑수와 오종
파스빈더는 누구?
①파스빈더의 원작 -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② 프랑수와 오종 - 워터 드랍스 온 버닝 락

2. 관계

본문내용

는 모든 인간 관계! 연인 관계는 변해간다. 안나가 등장하며 사건이 다른 국면으로 접어들고 레오폴드의 옛 연인 베라가 나타나면 사건은 급진적인 속도를 탄다. 관계는 더욱 복잡하게 꼬이고 상황은 점점 심화된다. 관계의 역학 속에서 상황을 즐기며 그 관계를 쫓던 관객들은 그 관찰 가운데 이제 혼란스러움이 주는 당황스런 감정의 극치에 다다른다. 레오폴드를 둘러싼 3명의 여자들의 여기서 프란츠라는 소년을 여자로 생각한다. 애증 관계와도 같이 관계는 새롭게 구성되고 사건은 뒤틀리고 꼬이다 터져 버린다. 거기에는 마치 편견을 간직하고 위선적이며 탐욕적인 사회의 시스템을 상징하는 듯한 레오폴드와그 시스템에 별다른 저항을 느끼지 못하고 동화되는 일반인을 상징하는 안나! 그리고 그 둘에게 상처 받고 무너지는 성적 소수자를 상징하는 프란츠와 베라가 있다. 베라는 눈물을 흘리고 프란츠는 독약을 먹는다. 그렇게 영화는 마지막을 향해 달려간다. 프랑소와 오종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자신의 성정체성에 대한 자기 고민의 반영을 드러낸다. 초기작에서 드러난 커밍아웃을 거쳐서 이제 그는 성적인 편견과 동성애 혐오가 인간 자신이 만든 가치관의 모순과 질서적인 권력 체계가 탄생시킨 인간 자신의 자유에 대한 구속과 억압,차별들임을 말하고 있다. 영화 마지막 장면! 베라는 열리지 않는 창문을 열려고 발버둥 치다 결국 포기한다. 이는 소수자가 갇혀있고 이 세계를 벗어나려 해도 거대한 편견의 창문은 절대 열리지 않음을 은유한다. 열리지 않는 창을 오종 감독은 자신의 영화로써 조롱하고 대항하는 것이다. 오종 감독 자신은 당연하게도 동성애자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3.30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9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