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아프면 청심연자음이다.
陰腫하야 大如升하며 核者면,用馬鞭草를 搗爛하야 塗之나,或乾地龍을 爲末하야,子으로 調敷하야,囊軟者면 可治요。
음부가 붓고 크기가 되만하고 핵이 있으면 마편초를 사용하여 찧어 문드러지게 하여 바르거나 혹은 말린 지렁이를 가루내어 계란흰자로 제조해 붙여 음낭이 연해지면 치료할 수 있다.
婦人의 陰腫 便秘엔,枳橘이니라。
부인의 음부 부종 변비에는 탱자와 귤로 다림질을 한다.
通治忌甘 與刺皮라。
부종의 통치는 감미와 피부자극을 금기한다.
凡陽水면,宜辛寒으로 散結 行氣하며,苦寒으로 瀉火 燥濕이오;
양수면 신미 한기로 결체를 발산하고 기를 운행하며 고미 한기로 불을 끄고 습기를 말린다.
陰水면,宜苦溫으로 燥脾나,或辛熱로 導氣니라。
음수면 고미 온기로써 비장을 말리거나 혹은 신미 열기로 기를 인도한다.
極忌는 甘藥으로 助濕作滿이오,尤忌針刺니,犯之면 流水而死니라。
부종의 절대 금기는 감미약으로 습을 도와 창만을 생김이며 또한 자침을 금기하니 범하면 물이 흘러 죽는다.
通用엔 二陳湯에 去甘草하고,加蒼朮、白朮하야 爲君하고,佐以猪、澤瀉、山梔하야 消濕熱하라;
부종 통치에는 이진탕을 사용하여 감초를 제거하고 창출 백출을 가미하여 군약으로 삼고 저령 택사 산치자를 보좌약을 삼고 습열을 소모케 한다.
麥門冬、黃芩으로 爲使하야,肺하며 制肝하라。
맥문동 황금으로 좌사약을 삼아서 폐를 맑게 하고 간을 제압한다.
腹脹이면,加厚朴하고;瀉,加肉豆 、訶子하라;
부종과 복부창만이면 이진탕에 후박을 가미하고 설사하면 육두구 가자를 가미한다.
喘急이면,加桑白皮、杏仁하고;氣壅이면,加香附하라;
숨참으로 급하면 이진탕에 상백피와 행인을 가미하고 기가 막히면 향부자를 가미한다.
食積이면,加山査、麥芽하고; 陽水로 便閉면,加甘遂 少許하라;
식적이면 이진탕에 산사 맥아를 가미하고 양수로 변이 막히면 감수를 조금 가미하라.
陰水로 氣弱이면,加人參하고; 風腫이면,加羌活、防風、白芷하라;
음수로 기가 약하면 인삼을 가미하고 풍성 부종이면 강활 방풍 백지를 가미하라.
夏月이면,加香茹하고;寒,加姜[薑]、桂하라;
여름철이면 향유를 가미하고 한증이면 생강 계지를 가미하라.
氣腫이면,加蘿蔔子、枳殼하고;血이면,加歸、芍하라;
기종이면 나복자 지각을 가미하고 혈증이면 당귀 작약을 가미하라.
痰,加貝母하라;
담음 부종이면 패모를 가미하라.
上腫이면,加紫蘇하고;下腫이면,加防己、木瓜하라;
위가 부으면 자소엽을 가미하고 아래가 부으면 방기 모과를 가미하라.
陰囊이 腫이면,加小茴、木香하고; 外腎이 如石하며 引脅痛이면,加巴戟이니라。
음낭이 부으면 소회향 목향을 가미하고 외부음기가 돌과 같고 옆구리가 땡기고 아프면 파극을 가미한다.
又太陽의 腫證이면,加藁本、赤小豆하고;少陽이면,加花、雄黃、木通하라;
태양병의 부종증상이면 고본 적소두를 가미하고 소양병이면 완화 웅황 목통을 가미하라.
陽明이면,加茯、椒目하고; 太陰이면,加甘遂、하라;
양명병의 부종이면 복령 초목을 가미하고 태음병이면 감수 정력을 가미하라.
少陰이면,加澤瀉、連翹、巴戟하고;厥陰이면,加大戟、吳萸니라。
소음병이면 택사 연교 파극을 가미하고 궐음병이면 대극 오수유를 가미한다.
此는 推廣古法이로대,不可妄用이니라。
이는 고대방법을 널리 유추함이되 망령되이 사용하면 안 된다.
蓋甘遂、大戟、花는,損氣 破血하고,巴豆는 損腎陰氣,輕粉은 傷齒하며,毒留腸胃하고,土狗는 劫奪하야,消而 復腫이니,愼之니라
대개 감수 대극 완화는 기를 손상하고 혈을 깨뜨리며 파두는 신의 음기를 손상하고, 경분은 치아를 손상하고, 독이 위장에 머무르고, 땅강아지는 겁탈하여 소멸하나 다시 부으니 이것들을 삼가야 한다.
凡先腫腹,而後에 散於四肢者면,可治니라;
먼저 배가 부은 이후에 사지로 흩어지면 치료할 수 있다.
先腫四肢,而後에 歸於腹者면,難治니라。
먼저 사지가 부은 이후에 배로 돌아가면 치료가 어렵다.
若肌肉이 崩潰와,足脛流水와,唇黑 耳焦와,缺盆이 平과,臍凸背平과,手足의 掌이 平과,肉硬과,腹多筋과,大便滑泄者면,不治니라。
만약 부종에 기육이 붕괴 궤멸함과 발과 정강이에서 물이 흐름과 입술이 검고 귀가 타고 결분이 평평해짐과 배꼽이 돌출하고 등이 평평함과 손발바닥이 평평함과 살이 단단함과 배가 청근이 많고 대변이 활설하면 불치이다.
又面黑者면,肝死요;
또한 얼굴이 검으면 간이 죽는다.
兩手無紋者면,心死요;
양 손에 손금이 없으면 심이 죽는다.
臍凸者면,脾死요;
배꼽이 돌출하면 비가 죽는다.
兩肩이 凸者면,肺死요;
양 어깨가 돌출하면 폐가 죽는다.
下注하야 脚腫者면,腎死니라。
하주하여 다리가 무거우면 신이 죽는다.
陰腫하야 大如升하며 核者면,用馬鞭草를 搗爛하야 塗之나,或乾地龍을 爲末하야,子으로 調敷하야,囊軟者면 可治요。
음부가 붓고 크기가 되만하고 핵이 있으면 마편초를 사용하여 찧어 문드러지게 하여 바르거나 혹은 말린 지렁이를 가루내어 계란흰자로 제조해 붙여 음낭이 연해지면 치료할 수 있다.
婦人의 陰腫 便秘엔,枳橘이니라。
부인의 음부 부종 변비에는 탱자와 귤로 다림질을 한다.
通治忌甘 與刺皮라。
부종의 통치는 감미와 피부자극을 금기한다.
凡陽水면,宜辛寒으로 散結 行氣하며,苦寒으로 瀉火 燥濕이오;
양수면 신미 한기로 결체를 발산하고 기를 운행하며 고미 한기로 불을 끄고 습기를 말린다.
陰水면,宜苦溫으로 燥脾나,或辛熱로 導氣니라。
음수면 고미 온기로써 비장을 말리거나 혹은 신미 열기로 기를 인도한다.
極忌는 甘藥으로 助濕作滿이오,尤忌針刺니,犯之면 流水而死니라。
부종의 절대 금기는 감미약으로 습을 도와 창만을 생김이며 또한 자침을 금기하니 범하면 물이 흘러 죽는다.
通用엔 二陳湯에 去甘草하고,加蒼朮、白朮하야 爲君하고,佐以猪、澤瀉、山梔하야 消濕熱하라;
부종 통치에는 이진탕을 사용하여 감초를 제거하고 창출 백출을 가미하여 군약으로 삼고 저령 택사 산치자를 보좌약을 삼고 습열을 소모케 한다.
麥門冬、黃芩으로 爲使하야,肺하며 制肝하라。
맥문동 황금으로 좌사약을 삼아서 폐를 맑게 하고 간을 제압한다.
腹脹이면,加厚朴하고;瀉,加肉豆 、訶子하라;
부종과 복부창만이면 이진탕에 후박을 가미하고 설사하면 육두구 가자를 가미한다.
喘急이면,加桑白皮、杏仁하고;氣壅이면,加香附하라;
숨참으로 급하면 이진탕에 상백피와 행인을 가미하고 기가 막히면 향부자를 가미한다.
食積이면,加山査、麥芽하고; 陽水로 便閉면,加甘遂 少許하라;
식적이면 이진탕에 산사 맥아를 가미하고 양수로 변이 막히면 감수를 조금 가미하라.
陰水로 氣弱이면,加人參하고; 風腫이면,加羌活、防風、白芷하라;
음수로 기가 약하면 인삼을 가미하고 풍성 부종이면 강활 방풍 백지를 가미하라.
夏月이면,加香茹하고;寒,加姜[薑]、桂하라;
여름철이면 향유를 가미하고 한증이면 생강 계지를 가미하라.
氣腫이면,加蘿蔔子、枳殼하고;血이면,加歸、芍하라;
기종이면 나복자 지각을 가미하고 혈증이면 당귀 작약을 가미하라.
痰,加貝母하라;
담음 부종이면 패모를 가미하라.
上腫이면,加紫蘇하고;下腫이면,加防己、木瓜하라;
위가 부으면 자소엽을 가미하고 아래가 부으면 방기 모과를 가미하라.
陰囊이 腫이면,加小茴、木香하고; 外腎이 如石하며 引脅痛이면,加巴戟이니라。
음낭이 부으면 소회향 목향을 가미하고 외부음기가 돌과 같고 옆구리가 땡기고 아프면 파극을 가미한다.
又太陽의 腫證이면,加藁本、赤小豆하고;少陽이면,加花、雄黃、木通하라;
태양병의 부종증상이면 고본 적소두를 가미하고 소양병이면 완화 웅황 목통을 가미하라.
陽明이면,加茯、椒目하고; 太陰이면,加甘遂、하라;
양명병의 부종이면 복령 초목을 가미하고 태음병이면 감수 정력을 가미하라.
少陰이면,加澤瀉、連翹、巴戟하고;厥陰이면,加大戟、吳萸니라。
소음병이면 택사 연교 파극을 가미하고 궐음병이면 대극 오수유를 가미한다.
此는 推廣古法이로대,不可妄用이니라。
이는 고대방법을 널리 유추함이되 망령되이 사용하면 안 된다.
蓋甘遂、大戟、花는,損氣 破血하고,巴豆는 損腎陰氣,輕粉은 傷齒하며,毒留腸胃하고,土狗는 劫奪하야,消而 復腫이니,愼之니라
대개 감수 대극 완화는 기를 손상하고 혈을 깨뜨리며 파두는 신의 음기를 손상하고, 경분은 치아를 손상하고, 독이 위장에 머무르고, 땅강아지는 겁탈하여 소멸하나 다시 부으니 이것들을 삼가야 한다.
凡先腫腹,而後에 散於四肢者면,可治니라;
먼저 배가 부은 이후에 사지로 흩어지면 치료할 수 있다.
先腫四肢,而後에 歸於腹者면,難治니라。
먼저 사지가 부은 이후에 배로 돌아가면 치료가 어렵다.
若肌肉이 崩潰와,足脛流水와,唇黑 耳焦와,缺盆이 平과,臍凸背平과,手足의 掌이 平과,肉硬과,腹多筋과,大便滑泄者면,不治니라。
만약 부종에 기육이 붕괴 궤멸함과 발과 정강이에서 물이 흐름과 입술이 검고 귀가 타고 결분이 평평해짐과 배꼽이 돌출하고 등이 평평함과 손발바닥이 평평함과 살이 단단함과 배가 청근이 많고 대변이 활설하면 불치이다.
又面黑者면,肝死요;
또한 얼굴이 검으면 간이 죽는다.
兩手無紋者면,心死요;
양 손에 손금이 없으면 심이 죽는다.
臍凸者면,脾死요;
배꼽이 돌출하면 비가 죽는다.
兩肩이 凸者면,肺死요;
양 어깨가 돌출하면 폐가 죽는다.
下注하야 脚腫者면,腎死니라。
하주하여 다리가 무거우면 신이 죽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