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 사례연구[만삭 전 조기 파막(PPROM), 자궁경관무력증(IIOC)]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inal &
urine culture 검체를 채취
- 침상안정을 격려한다
- 질 분비물의 변화(양, 색, 냄새)를 관찰한다.
- 감염징후(발열, fetal tachycardia lab 결과 등)를 관찰한다.
- 패드를 자주 교환하 게 한다.
- vaginal과 urine culture 검체를 채취함
- 침상안정을 격려함
- 질 분비물의 변화를 관찰함
- 발열, fetal tachy
-cardia lab 결과를 관찰하고 확인함
- 패드를 자주 교환하 게 함
- 발열과 같은 감염징 후는 더 이상 관찰되지 않으나, 질 분비물의 계속적인 변화가 관찰 됨으로 계속적인 관찰 이 필요함
9. 간호과정
간호진단
#2. 정서적 스트레스와 신체활동 부족과 관련된 변비 위험성
목표
신체활동을 증가시킴으로 변비를 경험하지 않도록 한다.
간호사정
계획
수행
평가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 3일에 1회 배변함
- LLQ부위의 통증이 있음
“아랫배가 묵직한 것이 배변을 보기 힘들어요.”
- 변비를 경험하지 않게 한다.
- 가벼운 활동으로 기분 좋은 것과 같은 예방법 의 이해를 말한다.
- 금기가 아니라면 고섬 유질 식이를 섭취하도 록 하고 수분섭취량을 늘리게 함
- 복부팽만과 장음을 사 정하고 배변의 특성과 빈도를 모니터하고 기록 함
- 대상자, 가족 또는 돌 보는 사람에게 식이, 활 동과 운동, 수분섭취와 변비와의 관계에 대해서 교육함
- 가벼운 운동프로그램 을 설정해서 수행하도 록 함
- 가벼운 운동으로 인해 3일 1회에서 2일 1회 로 배변간격이 줄어들 었으나, LLQ부위의 통 증이 계속 나타나므로 지속적인 지지가 필요 함
간호진단
#3. 투약과 소음과 관련된 수면장애
목표
주변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수면의 양과 질을 개선시킨다.
간호사정
계획
수행
평가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 원하는 시간보 다 일찍 깨어남
- 3회 이 상 깨어 남
- 3. 4단 계 수면 량 부족
“ 잠을 깊이 못자겠어요.”
“계속 자다가 깨고 자다가 깨는 것을 반복해서 그런지 항상 피곤한 것 같아요..”
- 수면을 방해하는 요 인을 제거한다.
- 수면결핍의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게 한다.
- 대상자에게 수면을 방 해하는 환경적 요인을 물은 후 그것을 제거함
- 수면시간을 피해 투약 시간을 계획함
- 수면방해요인을 제거 하여 예전보다 잠을 깨는 횟수가 줄어들었 음
간호진단
#4. 신체적, 심리적 요인과 관련된 급성통증
목표
조직손상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각적, 정서적 불편감을 감소시킨다.
간호사정
계획
수행
평가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 통증을 피하려는 자세를 보임
- 주위집중 감소
- 행동적 표현을 보임
“머리가 깨질 것 같아요. 약 좀 주세요. 못 참겠어요!”
- 통증의 정도와 특성 을 살핀다.
- 1~10의 통증측정도 구를 사용하여 통증의 정도를 표시한다.
- 비 약물적 통증경감 방법을 시도한다.
-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함
-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기록함
- 이완요법(열/냉요법, 마사지, 목욕 등), 관심 전환요법 등을 사용하 여 통증을 경감시키도 록 함
- 이완요법으로 인해 통증이 어느 정도까지 완화되었으나 계속적 인 두통을 호소하므로 의사 처방에 따른 약 물처방을 고려해 본다.
Ⅲ. 결 론
분만실 실습 첫날 기대 반 걱정 반으로 병원에 갔다.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너무 조용했고 다들 ‘아~원래 이렇게 조용한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 저 출산으로 인하여 아이를 낳지 않으려는 추세라는 말을 절실히 느끼는 바였다. 분만실이라 하여 나는 일반 산부인과처럼 그냥 분만을 하러 오는 산모들이 대부분일 줄 알았는데, 물론 일반 정상 분만을 하는 산모들도 있지만, 태반이 각종 스트레스와 다른 원인으로 인한 양수파열이나 조기진통, 자궁근종 등의 질환을 가진 산모들이였다. 예민해진 산모들은 실습학생들을 별로 달가워하지 않았다. 아이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이니 그럴 수밖에 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vital sign, observation, bed making등 이였지만, 분만실 심부름, 진통이나 분만하는 관정에서 산모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주는 일도 우리가 맡았다. 실습 끝나갈 무렵 운이 좋게도 NSVD를 볼 수 있었다. 산모도 아이도 건강한 상태의 분만이었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어떤 수술보다 값졌던 것 같다. 그 동안은 IUFD로 인한 c-sec, NSVD를 보았기 때문에 안타까운 마음이 컸는데, 정말 생명의 신비와 기쁨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주어져 그 느낌을 만끽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산모들이 출혈이 심하여 태반이나 제대가 책에서 봤던 색깔이 아니었던 것만 빼면 지금까지의 실습 중에 단연 최고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첫 c-sec을 봤을 때 23주된 아이였는데, 산모는 임신중독증이였고, 태아는 태아질식으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여서 재빠르게 수술을 시행했다. 생각보다 큰 체구여서 임신주기를 다 채웠다면 더 건강했을 텐데 라는 생각이 들었다. 신생아는 계속 산소공급과 흡인을 해줬지만 잘 울지 못하였다. 선생님들이 suction하면서 발바닥을 때리고 꾸욱 누르고 엉덩이를 때리고 하니 드디어 아이가 울자 소아과 선생님이 바로 아기를 데리고 NICU로 갔다.
정말 백문이불여일견이라고 배우지 않았던 내용이 많더라도 한번 보고나니까 책을 봐도 더 쉽게 이해가 갔다. 세상의 모든 엄마들이 아이를 정말 힘들게 낳구나라는 생각과 언제가 엄마가 될 우리에겐 좋은 경험이었고, 많은 것들을 볼 수 있어 실습이 재미있었다.
◆ 참고문헌 ◆
- 강지연 외(2004),「 질환, 증상별 치료와 간호지침 」, 한우리, pp.896~897
- 유혜영(2006), 「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Ⅱ 」, 현문사, pp. 1790~1791
- 윤진 외(2005),「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 현문사, pp. 79, 85~86, 307
- 이경혜, 이영숙 외 공저(2004),「 여성건강간호학 Ⅱ 」, 현문사, pp.126~135
- 이영숙 외(1991),「 간호진단을 적용한 모성간호학 」, 현문사, pp.75~76
- 학술편찬위원회(1999),「 핵심산과학 」, 군자출판사, pp.351~356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2.07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