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로마시대의 교육 사상가
카토 (Cato, B.C. 234~149)
키케로 (Cicero, B.C. 106~43)
세네카 (Seneca, B.C. 54~A.D. 34)
퀸틸리아누스 (Quintilianus, A.D. 35~95)
로마시대의 교육기관
1. 초등교육기관
2. 중등교육기관
3. 고등교육기관
카토 (Cato, B.C. 234~149)
키케로 (Cicero, B.C. 106~43)
세네카 (Seneca, B.C. 54~A.D. 34)
퀸틸리아누스 (Quintilianus, A.D. 35~95)
로마시대의 교육기관
1. 초등교육기관
2. 중등교육기관
3. 고등교육기관
본문내용
카토 (Cato, B.C. 234~149)
대정치가, 고유한 로마의 문화가 그리스화 되는 것을 우려한 애국자.
교육론 : 고대 로마의 미풍과 전통 중시, 자제교육을 통해 로마 문화가 그리스 문화로 동화되는 것을 막으려 함.
교육사상 : 자제교육, 민족의 전통교육 강조.
『유래기(由來記)』를 집필함.
키케로 (Cicero, B.C. 106~43)
로마 제일의 정치가, 웅변가. 『대웅변론』
교육론 : 자유교육, 희랍문화 중심, 국가에 충성할 수 있는 로마 시민 양성.
교육목적 : 행복한 생활을 누리는 것. 체육을 경시하고 정신의 교양을 중시.
교육특징 : 퀸틸리아누스에 의해 계승, 문예부흥기에는 인문주의의 진전에 따라 키케로 주의가 일세를 풍미
세네카 (Seneca, B.C. 54~A.D. 34)
진보적인 사상가, 문장가.
교육사상 : 『도덕서간집(Epistulea)』
– 도덕주의 교육관
성악설
교육방법 : 엄격주의
진보적 교육방법론
생활교육사상
개성 존중사상
퀸틸리아누스 (Quintilianus, A.D. 35~95)
제정 로마시대의 학자,
웅변가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삼아 직접 수사학교를 설립20년간 웅변술 강의.
황제로부터 집정관의 칭호와 교육보조금, 공적인 봉급이 지급된 최초의 공적인 교사.
세계최초의 공립학교 교사.
교육사상 : 『웅변교수론』
아동 중심의 개성존중 교육. 성선설, 자연성 주장.
교육목적 : 타고난 성선을 신장, 발전시켜 천부의
덕을 조화적으로 갖춘 웅변가 양성.
교육단계 : 3단계
1) 1~7세의 가정교육기
2) 일반적인 문법학교 교육기
3) 전문적인 수사학 교육기.
대정치가, 고유한 로마의 문화가 그리스화 되는 것을 우려한 애국자.
교육론 : 고대 로마의 미풍과 전통 중시, 자제교육을 통해 로마 문화가 그리스 문화로 동화되는 것을 막으려 함.
교육사상 : 자제교육, 민족의 전통교육 강조.
『유래기(由來記)』를 집필함.
키케로 (Cicero, B.C. 106~43)
로마 제일의 정치가, 웅변가. 『대웅변론』
교육론 : 자유교육, 희랍문화 중심, 국가에 충성할 수 있는 로마 시민 양성.
교육목적 : 행복한 생활을 누리는 것. 체육을 경시하고 정신의 교양을 중시.
교육특징 : 퀸틸리아누스에 의해 계승, 문예부흥기에는 인문주의의 진전에 따라 키케로 주의가 일세를 풍미
세네카 (Seneca, B.C. 54~A.D. 34)
진보적인 사상가, 문장가.
교육사상 : 『도덕서간집(Epistulea)』
– 도덕주의 교육관
성악설
교육방법 : 엄격주의
진보적 교육방법론
생활교육사상
개성 존중사상
퀸틸리아누스 (Quintilianus, A.D. 35~95)
제정 로마시대의 학자,
웅변가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삼아 직접 수사학교를 설립20년간 웅변술 강의.
황제로부터 집정관의 칭호와 교육보조금, 공적인 봉급이 지급된 최초의 공적인 교사.
세계최초의 공립학교 교사.
교육사상 : 『웅변교수론』
아동 중심의 개성존중 교육. 성선설, 자연성 주장.
교육목적 : 타고난 성선을 신장, 발전시켜 천부의
덕을 조화적으로 갖춘 웅변가 양성.
교육단계 : 3단계
1) 1~7세의 가정교육기
2) 일반적인 문법학교 교육기
3) 전문적인 수사학 교육기.
추천자료
멀티미디어시대 교회교육의 전망
조선시대의 교육
고려시대의 교육
삼국시대의 교육제도
19세기 후반 교육체제에 대한 고찰 - 조선시대의 교육에 대한 이해와 고찰
한국교육의 발전-성립과정,일제시대 교육의 문제점,해결방안
고려시대의 교육
교육철학 제 7장 계몽시대의 교육
[교육학]조선시대부터 7차교육과정 소개 및 공교육 현황분석 및 성적공개 필요성 제시
조선시대의 교육
[철학] 교육철학 및 교육사 - 01.고대 삼국시대의 교육과 고려시대의 교육
르네상스 시대의 교육에 대하여 [서양교육사] {르네상스의 등장배경, 인문주의 교육, 중세와 ...
[교육敎育학개론] 한국교육(역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 원시시대 교육, 삼국시대 교육,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