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양한 캐릭터의 집합 시대
● 신세대와 소통할 수 있는 리더
● 나이 많은 부하에게서 존경 받는 리더
● 여성 인력 관리의 1세대 리더
● 경력 사원의 적응을 이끄는 멘토
● 글로벌 인재를 이끄는 글로벌 리더
어떻게 천차만별인 부하들을 성공적으로 관리할 것인가?
● 잡종강세를 믿어라
● 열린 눈, 열린 귀가 첫 출발이다
● 공통의 분모를 만들어라
● 그들만의 폐쇄된 소수 집단을 만드는 것을 경계하라
● 신세대와 소통할 수 있는 리더
● 나이 많은 부하에게서 존경 받는 리더
● 여성 인력 관리의 1세대 리더
● 경력 사원의 적응을 이끄는 멘토
● 글로벌 인재를 이끄는 글로벌 리더
어떻게 천차만별인 부하들을 성공적으로 관리할 것인가?
● 잡종강세를 믿어라
● 열린 눈, 열린 귀가 첫 출발이다
● 공통의 분모를 만들어라
● 그들만의 폐쇄된 소수 집단을 만드는 것을 경계하라
본문내용
있는 사람들이 소수일 때 상호 일체감을 갖는 경향이 강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남성들만 있는 조직에 소수의 여성이 있다면 이들은 서로 일체감을 갖고 쉽게 친구가 된다. 그러나, 대다수가 여성인 조직에서는 여성이라는 동질성이 더 이상 친구의 조건이 되지 못한다.
세대, 성별, 국적, 출신 학교, 경험 등이 유사한 소수의 사람들끼리 훨씬 강한 네크워크를 형성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문제는 조직 내에 동질적인 집단끼리 폐쇄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때이다. 이는 복잡한 인적 구성을 가진 조직을 이끄는 리더가 가장 경계해야 할 일이다. 폐쇄된 소수 집단은 다양성이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유발하고, 무엇보다도 리더의 조직 장악력을 약화시킨다. 소수 집단 내에 리더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형성될 경우, 비생산적인 갈등이나 보이지 않는 파워 게임을 일으키는 단초가 될 수 있다. 특히, 리더가 특별한 사유 없이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만을 편애할 경우에는 소수 집단의 폐쇄적인 결속력이 더욱 강해져 다양한 생각을 인정하고 서로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인적 구성의 다양성은 이제 불가피한 현실이 되고 있다. 리더에게 이러한 변화는 도전이자 기회이며,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조직의 성과가 크게 바뀌어질 수 있다. 성공하는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간의 인구학적, 감정적, 사회적, 문화적 차이점들을 소중히 여기고, 갈등을 키우기 보다는 조직의 창의성을 끌어 올리는 윤활유 역할을 해야 한다. 이제 성공 리더에게 멀티 코드 리더십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세대, 성별, 국적, 출신 학교, 경험 등이 유사한 소수의 사람들끼리 훨씬 강한 네크워크를 형성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문제는 조직 내에 동질적인 집단끼리 폐쇄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때이다. 이는 복잡한 인적 구성을 가진 조직을 이끄는 리더가 가장 경계해야 할 일이다. 폐쇄된 소수 집단은 다양성이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유발하고, 무엇보다도 리더의 조직 장악력을 약화시킨다. 소수 집단 내에 리더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형성될 경우, 비생산적인 갈등이나 보이지 않는 파워 게임을 일으키는 단초가 될 수 있다. 특히, 리더가 특별한 사유 없이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만을 편애할 경우에는 소수 집단의 폐쇄적인 결속력이 더욱 강해져 다양한 생각을 인정하고 서로 공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인적 구성의 다양성은 이제 불가피한 현실이 되고 있다. 리더에게 이러한 변화는 도전이자 기회이며,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조직의 성과가 크게 바뀌어질 수 있다. 성공하는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간의 인구학적, 감정적, 사회적, 문화적 차이점들을 소중히 여기고, 갈등을 키우기 보다는 조직의 창의성을 끌어 올리는 윤활유 역할을 해야 한다. 이제 성공 리더에게 멀티 코드 리더십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