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DMB와 지상파DMB방송산업의 현황과 경제적효과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성DMB와 지상파DMB방송산업의 현황과 경제적효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Ⅱ.본문
1.DMB의 이해
1) DMB의 정의
2) 위성DMB
3) 지상파DMB
4) 위성DMB와 지상파DMB의 차이
5) DMB의 특징
6) 유사서비스와의 서비스 매력도 분석
2.DMB의 발전과정 및 국내 DMB방송의 서비스 상용화 과정
1) DMB의 발전과정
2) 국내 DMB방송의 서비스 상용화 과정
3.위성DMB 방송의 개요 및 서비스 현황
1) 위성DMB 서비스의 정의
2) 위성DMB 콘텐츠의 특성
3) 위성DMB의 네트워크 구성
4) 위성DMB의 SWOT
5) 국내 위성DMB 서비스의 사업자 선정과정
6) 위성DMB의 향후 과제
4.지상파DMB 방송의 개요 및 서비스 현황
1) 지상파DMB 서비스의 정의
2) 지상파DMB의 네트워크 구성
3) 지상파DMB의 SWOT
4) 지상파DMB의 특성
5) 국내 지상파DMB 서비스의 사업자 선정과정
6) 지상파DMB의 향후 과제
5.국내 DMB방송의 사업전략 및 기대효과 분석
1) 국내 DMB방송의 해외진출을 통한 기대효과
2) 국내 DMB방송산업을 통한 경제효과

Ⅲ.맺으며

참고자료 및 사이트

본문내용

기존의 DAB와는 다른 혁신적 서비스로 보고 명칭도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ㆍDigital Multimedia Bradcasting)로 정했다. 이것이 바로 지상파 DMB이며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의 지상파 DMB 개발국이라는 기록을 갖게 됐다.
이와 별개로 일본 도시바는 1998년 위성을 이용해 동영상과 음성을 내보내는 위성DMB 방송의 개념을 정립하고 도요타 자동차, 후지쓰 등과 함께 MBCo(Mobile Broadcasting Corporation)을 설립했다. 이때 우리나라의 SK텔레콤도 자회사 TU미디어를 통해 참여했다. 도시바는 지난해 3월 세계 최초의 위성DMB용 위성인 ‘한별’을 발사했으며 그해 7월 위성DMB 서비스에 돌입함으로써 일본은 세계 최초의 위성DMB 상용화 국가가 됐다.
2) 국내 DMB방송의 서비스 상용화 과정
구분
내용
1997년
- 지상파 DMB 도입 검토: 주파수 부족, 시장성 부족, 재원 부족 등의 이유로 논의 연기
1999년
- 8월, 지상파 DMB 도입 연구반 구성, 도입 타당성 검토
2000년
- 지상파 DMB 추진전담반 운영(2002.4~12) : 국내 잠정표준으로 Eureka-147 방식 결정
2001년
- 지상파 DMB 추진위원회 구성 및 공청회 개최
2002년
-지상파 DMB 실험방송 실시 및 정책 연구 추진
- 위성 DMB 전담반 구성
2003년
- 5월, 위성 DMB 표준으로 ITU-RBO.1130-4 SystemE 방식 채택
- 6월, 지상파 DMB 기술기준을 “Eureka-147” 방식으로 고시
- 11월, 지상파 DMB의 음성표준인 “초단파 디지털라디오방송 송수신 정합표준”을 단체표준으로 채택
- 12월 위성 DMB 기술기준 고시
2004년
- 3월, 지상파 DMB용 주파수로 기존 VHF 채널 12번(204~210MHz) 외에 채널 8번(180~186MHz) 추가 확보
- 3월, 위성 DMB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성체(한별 1호, MBSAT) 발사 성공
- 3월, 방송법 개정안 국회 통과로 지상파 및 위성 DMB 규정 및 도입근거 마련
- 5월, 위성 DMB 준비 사업자인 TU 미디어가 방송센터 구축 및 시험 완료
- 7월, 위성 DMB 준비 사업자인 TU 미디어가 정보통신부로부터 위성망 주파수를 할당받는 등 우주국 및 지구국 시설 설치 완료
- 12월, 사업자 선정방안에 대한 종합정책 방안 마련
- 12월, 위성 DMB 사업자로 TU미디어 최종 선정
2005년
- 1월, 사업자 신청 공고 및 허가 신청 설명회
- 2월 말 혹은 3월 초, 6개의 지상파 DMB 사업자 선정(예정)
- 2005년 상반기, 지상파 DMB 및 위성 DMB 상용 서비스 예정
3.위성DMB 방송의 개요 및 서비스 현황
1) 위성DMB 서비스의 정의
기본적으로 위성을 통해 CD수준의 음질을 갖는 오디오방송을 제공하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서비스에서 출발하여, 비디오 방송, 교통정보, 날씨정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이동 중에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지상파 DMB와는 달리 위성체를 이용해 방송을 하지만 수신율이 낮아 갭필러라는 일종의 중계기를 활용해 수신을 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말 SK 텔레콤이 30%의 지분을 투자해, 일본의 엠비시오 등과 함께 합작법인 TU 미디어콥을 설립했다. 비디오 최대 14개(평균 9개), 오디오 22개 등 모두 36(평균 31)개의 채널을 운용할 계획을 갖고 있다. 휴대전화 단말기 중심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가입비 2만원에 월 1만3000원 정도의 수신료를 받을 예정이다.
2) 위성DMB 콘텐츠의 특성
3) 위성DMB의 네트워크 구성
Strenth
Weeknees
- 주변이들의 부러움 살 수 있음
- 전국 시청가능
- 비디오 채널 지상파DMB에 비해 많이 확보
- 가입비, 시청료 있음
- 단말기 고가
- 공중파 방송 재송신 불가
- 단말기 기술적 문제
Expectant Possibility
Risk Possibility
- 거대 자본의 뒷받침
- 콘텐츠 확보 유리 (엔터테인먼트 지분참여)
- 기술적 문제 개선되고 더욱 신형의 단말기 출시
- 보조금 지급 가능성
- 지상파DMB보다 높은 보조금 지급 불가 가능성
- 지상파DMB 겸용 단말기 출시 가능성
- 유료로 인한 사향 가능성
(콘텐츠 지상파DMB와 차별화 실패시)
- 정부의 차별규제
(방송발전 기금등의 부담으로 인한 사업위축 우려)
4) 위성DMB의 SWER(SWOT의 대체)
*위성DMB의 장점
(1) 서비스 커버리지가 전국이다.
지상파 DMB는 방송사의 송출신호를 잡아 디지털로 구현하는 방식이다. 방송사의 송출 신호는 수도권에 제한된 커버리지를 가지고 있고 이 곳을 벗어나면 지역방송의 권역으로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수도권을 벗어나면 방송을 볼 수 없다.이 때문에 전국에서 지상파 DMB를 보려면 커버리지를 연결해줄 시설이 필요하게 되고 이 시설을 전국에 설치하려면 적어도 2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위성 DMB는 위성의 신호를 통해 방송을 제공하므로 서비스 커버리지가 전국이고 지역에 관계없이 늘 동일한 방송을 볼 수 있다. 지상파의 경우 서울에는 SBS 부산에는 PBS가 나오는 반면 위성은 서울이든 부산이든 똑같은 채널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음영지역이 있어 갭필러를 통해 방송을 보기도 하지만 기본적인 커버리지가 전국이므로 지상파와 비교하면 훨 씬 넓은 서비스 범위를 가지게 된다.
(2) 다채널 및 전문채널이 상대적으로 더 많다.
각종 케이블 채널 및 전문채널이 구축되어 있어 지상파 DMB에 비해 선택의 폭이 더 넓다. 물론 유료이기에 당연한 것이라 생각할 수 도 있지만 이것을 다르게 생각하면 유료방송의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유료라는 것이 꼭 불리한 것이라고만은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유료이기 때문에 확실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충분한 시험기간을 확보했다.
위성DMB는 1월부터 시험방송을 시작했고 다음달인 4월에는 시범방송이 그리고 5월에 본방송이 시작된다. 지상파 DMB는 3월에 사업자를 선정하며 아직 중계기 문제가 해결되지도 않았고 서비스가 시작되지 않았기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6.04.04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