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황달 케이스스터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황달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환자소개
Ⅱ. Disease Description : 신생아 황달
Ⅲ. 자료수집
Ⅳ. 투약기록
Ⅴ. 진단검사
Ⅵ. 영상의학과 및 타과 의뢰
Ⅶ. Nursing process
Ⅷ. I/0
Ⅸ. 간호진단

본문내용

~6A
20% DW 63
Tropha 23
Lipo
모유
20ml
47g
1
TOTAL
269.5ml
140ml
0회
235g
4회
12/9
9A
모유
20
26g
MD
모유
30
14g
~2P
20% DW 61
Tropha 20
Lipo 8
3P
모유
W
10
20
28g
6P
W
30
1
30
~9P
20% DW 29
W
30
8
MN
Tropha 23
Lipo 6
W
30
41
1
3A
20% DW 36
W
30
23
~6A
Tropha 20
Lipo 6
W
30
42
TOTAL
204ml
230ml
1회
200g
1회
12/10
9A
W
30
21
MD
모유
30
37
~2P
20% DW 31
Tropha 28
Lipo 7
3P
모유
W
30
10
48
1
6P
모유
30
34
9P
20% DW 14
Tropha 24
Lipo 6
모유
W
8
32
10
MN
W
40
18
3A
W
40
58
~6A
20% DW 8
Tropha 33
Lipo 7
W
40
TOTAL
158ml
290ml
0회
327g
1회
12/11
9A
W
40
032
MD
W
50
55
~2P
20% DW 26
Tropha 14
Lipo 4
3P
W
50
42
1
6P
W
50
30
9P
20% DW 7
Tropha 19
모유
50
30
1
MN
W
50
26
3A
W
50
30
~6A
20% DW 8
Tropha 19
W
45
20
TOTAL
90ml
385ml
0회
281g
2회
12/12
9A
W
50
20
MD
W
50
25
~2P
15% DW 23
3P
W
45
15
6P
모유
50
23
9P
15% DW 22
모유
W
40
10
25
MN
W
50
14
3A
W
50
23
6A
15% DW 26
W
50
39
TOTAL
71ml
400ml
0회
184
0회
Ⅸ. 간호진단
① 광선치료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Nursing Assessment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
(Rationale)
Sub. data
없음
Obj. data
12월 4일 황달증상이
나타나면서 Photo Tx.
시작함
12월 5일 10AM TB
15.0mg/dl 측정되어
Photo기 한대 추가함
검사 : Total Bilirubin
정상수치 :
0.2~1.0mg/dl
12/4
11.7mg/dl
12/6
10AM 15 (추가)
3PM 13.7 (제거)
12/8
6.2 (제거)
검사 : Albumin
정상수치 :
3.4~4.8g/㎗
12/2
2.9g/㎗
12/3
2.7
12/4
2.7
12/6
3.1
12/10
2.4
Nursing Diagnosis
광선치료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대상자의 피부색과 상태를 V/S 측
정시, 기저귀 갈아줄 때, Feeding
시 등 수시로 사정한다.
수분섭취증가와 충분한 수유량을
유지하도록 한다.
(소변량은 2-3cc/kg/시간, 비중은
1.015로 유지시킴)
Phototherapy시 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해준다.
(자세를 변경을 통해 피부가 빛에 최대한 큰 면적으로 노출되게 한다.)
장치와 대상자의 거리를
45~60cm로 유지시킨다.
수유시간과 체온상승 시 광선치료
를 중단한다.
(광선요법으로 인해 피부가 손상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인 요법보다 간헐적으로 적용시킨다.)
기저귀를 착용하여 생식기를 보호
한다.
안대의 착용여부를 수시로 관찰하
고 안대는 1일 1회 이상 갈아준
다.
체온을 2시간마다 측정하여 변동
여부를 확인한다.
(광선요법으로 인한 발열로 인해 고체온의 위험이 있다.)
대상자의 빌리루빈을 1일 1회 이
상 검사한다.
(혈중 빌리루빈 수치를 파악하여 불필요한 광선치료를 막는다.)
Nursing Goal
(장기목표)
대상자는 광선치료로 인한 신체적 손상이 없다.
(단기목표)
체액의 균형을 유지한
다.
대상자는 광선요법으로 인한 화상을 입지 않는다.
대상자는 광선요법으로 인한 안구손상을 입지 않는다.
대상자는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한다.
대상자는 정상적인 빌리루빈 수치를 회복한다.
Outcome Criteria
대상자는 탈수증상이 없다.
대상자는 광선요법으로 인한 화상을 입지 않는다.
대상자는 광선요법으로 인한 안구손상을 입지 않는다.
대상자는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한다.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범위에 가까워진다.
② 신체적 결함과 관련된 비효율적 수유
Nursing Assessment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
(Rationale)
Sub. data
없음
Obj. data
수유력 부족으로
G-tube 통해 gavage
feeding 병행함.
(12/4 간호기록지)
젖병을 잘 빨지 못
하고 내용물이 입
밖으로 샌다.
수유 후 역류성 구토
를 한다.
B.W loss가 있다.
날짜
체중(g)
12/1
3050
12/2
3030
12/3
2830
12/4
2780
12/5
2740
Nursing Diagnosis
신체적 결함과 관련된
비효율적 수유
① 3시간마다 I/O를 체크한다.
② 매일 아이의 체중을 측정한다.
③ 특수 젖꼭지를 사용한다.
④ 퇴원 전에 수유기술을 적응시키기 위해 가능한 한 어머니가 수유하도록 격려한다.
⑤공기를 많이 삼키므로 자주 트림을 시킨다.
(이론적 근거)
① 아이의 I/O를 분석하여 적절한 영양분 섭취를 도모한다.
② 체중의 변화를 통해 영양섭취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③ 적절한 수유기구의 사용하는 것은 수유를 계속하도록 도움을 준다.
④ 부적절한 수유기술은 아이를 지치게 하여 열량을 소모하게 한다.
⑤ 수유동안 보통 아이보다 더 많은 공기를 삼킬 수 있기 때문에 트림을 자주 시켜주어 불편감을 덜어준다.
Nursing Goal
(장기목표)
대상자는 원활한 수유를 제공받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정상적인 체중을 유지한다.
보호자는 수유기술을
Outcome Criteria
대상자는 불편감 없이 수유를 공급받고 적절한 영양을
유지한다.
대상자는 적절한 체중증가양상을 보였다.
참고문헌
김미예 외 10명 (2020). 신생아간호학. 수문사
김미예 외 8명 (2020). 아동간호학개론. 수문사
  • 가격1,5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25.06.05
  • 저작시기202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3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