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DMB 서비스에 대한 개요
II 본론
1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정의
2 DMB 서비스 구분
3 DMB와 기존 방송과의 차이점 및 기술적 특성
4 위성 DMB
1) 위성 DMB 정의
2) 위성 DMB 구현방식
3) 위성 DMB 기술사항
4) 위성 DMB 고용 창출 및 경제적 효과
5) 위성 DMB 시장전망
5 지상파 DMB
1) 지상파 DMB 정의
2) 기술 표준
3) 지상파 DMB의 비디오 서비스 송출구조
4) 지상파 DMB 생산 유발 효과
6 지상파 DMB 와 위성 DMB 비교분석
III 결론
1.DMB 서비스에 대한 개요
II 본론
1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정의
2 DMB 서비스 구분
3 DMB와 기존 방송과의 차이점 및 기술적 특성
4 위성 DMB
1) 위성 DMB 정의
2) 위성 DMB 구현방식
3) 위성 DMB 기술사항
4) 위성 DMB 고용 창출 및 경제적 효과
5) 위성 DMB 시장전망
5 지상파 DMB
1) 지상파 DMB 정의
2) 기술 표준
3) 지상파 DMB의 비디오 서비스 송출구조
4) 지상파 DMB 생산 유발 효과
6 지상파 DMB 와 위성 DMB 비교분석
III 결론
본문내용
and Adjacent Channel)방식이 있다. “Out of Band방식”에는 유럽의 “Eureka-147”과 일본이 추진하는 “ISDB-T”이 있다. 현재 비어 있는 VHF 12번 채널을 이용해 이동수신용 멀티미디어 방송을 하는 개념이다. 1개 채널을 쪼개면 3개의 블럭이 생기는데 1개 블럭당 비디오 2채널 혹은 비디오 1채널에 오디오 3∼4개 채널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주로 차량에서의 이용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무료 방송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기술 표준
지상중계의 효율성을 주로 VHF(30~300MHz) 대역의 주파수 활용하며, 전파특성 및 고출력(수십KW)으로 인해 소수의 지상중계기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1개 사업자의 대역폭은 약 1.5MHz 정도로, 1~2개 의 동영상과 3~4개의 오디오, 데이터 방송의 구현이 가능하며, 7인치 이하의 TV, 휴대폰, PDA 등에 적합하다. 수신 비트율은 384Kbps 또는 526Kbps정도가 되며,비디오 서비스 압축코드는 지상파 디지털TV의 MPEG-2 보다 압축효율이 뛰어난 MPEG-4를 적용한다. 전송방식은 많은 수의 반송파에 신호를 실어 보내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적용하는데, 다중 경로 전파에 강인함을 내재하고 있어 이동 수신에 유리하다.
3) 지상파 DMB의 비디오 서비스 송출구조
다음 그림은 DMB 시스템의 전체적인 전송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데이터 서비스는 고속정보경로(FIC)를 통하여 교통정보나 위급경고 등의 서비스처럼 작은 대역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다중제어데이터는 DMB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되는 서비스들의 다중화 정보를 담고 있다.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에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들을 포함하는데 고속정보경로를 통하여 다중화 정보등과 함께 전송된다. 오디오 서비스는 CD급 음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독립적인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다. 데이터 서비스는 오디오 서비스의 노래가사 등과 같은 문자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될 수 있다. 비디오 서비스는 자체적으로 동영상, 오디오 및 다중화,동기화 정보를 포함해야하기 때문에 DMB 시스템의 입력으로 들어가기 전에 비디오 다중화기를 통하여 하나의 스트림으로 만들어진 후 DMB의 스트림 모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서브채널로 전송된다. 여기에서 기본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서비스는 주서비스 다중화기에서 주서비스채널(MSC : Main Service Channel)에 다중화 된 후, 전송프레임 다중화기에서 고속정보경로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하나의 프레임으로 묶이고 물리적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다. 참고적으로 수신제한 기능은 비디오 다중화기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만약 제한 기능을 사용한다면 DMB의 선택적 수신제한 스크램블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4) 지상파 DMB 생산 유발 효과
6 지상파 DMB 와 위성 DMB 비교분석
구 분
지상파DMB
위성DMB
주파수
174~216MHz
2.605~2.655GHz
전파특성
회절특성(장거리도달)
직진성
압축방식
MPEG-4
MPEG-4
사업자
지상파 방송사가 주도하는 컨소시엄
SKT와 KT가 각각 주도하는 컨소시엄
채널수
비디오 1~2
오디오 3~4
데이터 9
비디오 11
오디오 25
데이터 3
채널특성
종합편성, 소수채널
전국채널, 지역채널
전문편성, 다채널
전국동일채널
III 결론
위성 DMB , 지상파 DMB 서비스의 정의와 기술, 경제적인 파급효과 등을 비교분석 하였다. 위성 DMB 서비스는 경쟁서비스 중에 지상파 DMB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분석되 었는데, 위성 DMB는 지상파 DMB에 비해 채널 수와 서비스 영역의 광역성에 있어 유리하다고 보여지나, 유료서비스라는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극복할 사
업전략이 요구된다. DMB 서비스를 도입함으로써 이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이동중에 우수한 품질의 비디오/오디오방송을 시청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등 생활의 질이 향상되며 둘째, 가정에서 PC 및 TV를 중심으로 정보화가 가능한 것처럼, 자동차 안에서 차량용단말기를 중심으로 정보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국가적인 측면에서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 특성을 가지는 DMB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제적으로 정보통신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보여줄수 있다
2) 기술 표준
지상중계의 효율성을 주로 VHF(30~300MHz) 대역의 주파수 활용하며, 전파특성 및 고출력(수십KW)으로 인해 소수의 지상중계기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1개 사업자의 대역폭은 약 1.5MHz 정도로, 1~2개 의 동영상과 3~4개의 오디오, 데이터 방송의 구현이 가능하며, 7인치 이하의 TV, 휴대폰, PDA 등에 적합하다. 수신 비트율은 384Kbps 또는 526Kbps정도가 되며,비디오 서비스 압축코드는 지상파 디지털TV의 MPEG-2 보다 압축효율이 뛰어난 MPEG-4를 적용한다. 전송방식은 많은 수의 반송파에 신호를 실어 보내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적용하는데, 다중 경로 전파에 강인함을 내재하고 있어 이동 수신에 유리하다.
3) 지상파 DMB의 비디오 서비스 송출구조
다음 그림은 DMB 시스템의 전체적인 전송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데이터 서비스는 고속정보경로(FIC)를 통하여 교통정보나 위급경고 등의 서비스처럼 작은 대역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다중제어데이터는 DMB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되는 서비스들의 다중화 정보를 담고 있다. 서비스 정보는 프로그램에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들을 포함하는데 고속정보경로를 통하여 다중화 정보등과 함께 전송된다. 오디오 서비스는 CD급 음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독립적인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다. 데이터 서비스는 오디오 서비스의 노래가사 등과 같은 문자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될 수 있다. 비디오 서비스는 자체적으로 동영상, 오디오 및 다중화,동기화 정보를 포함해야하기 때문에 DMB 시스템의 입력으로 들어가기 전에 비디오 다중화기를 통하여 하나의 스트림으로 만들어진 후 DMB의 스트림 모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서브채널로 전송된다. 여기에서 기본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서비스는 주서비스 다중화기에서 주서비스채널(MSC : Main Service Channel)에 다중화 된 후, 전송프레임 다중화기에서 고속정보경로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하나의 프레임으로 묶이고 물리적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다. 참고적으로 수신제한 기능은 비디오 다중화기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만약 제한 기능을 사용한다면 DMB의 선택적 수신제한 스크램블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4) 지상파 DMB 생산 유발 효과
6 지상파 DMB 와 위성 DMB 비교분석
구 분
지상파DMB
위성DMB
주파수
174~216MHz
2.605~2.655GHz
전파특성
회절특성(장거리도달)
직진성
압축방식
MPEG-4
MPEG-4
사업자
지상파 방송사가 주도하는 컨소시엄
SKT와 KT가 각각 주도하는 컨소시엄
채널수
비디오 1~2
오디오 3~4
데이터 9
비디오 11
오디오 25
데이터 3
채널특성
종합편성, 소수채널
전국채널, 지역채널
전문편성, 다채널
전국동일채널
III 결론
위성 DMB , 지상파 DMB 서비스의 정의와 기술, 경제적인 파급효과 등을 비교분석 하였다. 위성 DMB 서비스는 경쟁서비스 중에 지상파 DMB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분석되 었는데, 위성 DMB는 지상파 DMB에 비해 채널 수와 서비스 영역의 광역성에 있어 유리하다고 보여지나, 유료서비스라는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극복할 사
업전략이 요구된다. DMB 서비스를 도입함으로써 이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이동중에 우수한 품질의 비디오/오디오방송을 시청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등 생활의 질이 향상되며 둘째, 가정에서 PC 및 TV를 중심으로 정보화가 가능한 것처럼, 자동차 안에서 차량용단말기를 중심으로 정보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국가적인 측면에서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 특성을 가지는 DMB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제적으로 정보통신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보여줄수 있다
추천자료
통합전송 방식기반 DTV 수신기 및 서비스 응용 기술 개발
WIBRO의 포지셔닝 및 확산 전략
방송과 IT의 융합
IT839 - 21c 경제발전 핵심프로젝트
[마케팅조사] 이동통신시장 분석 및 향후전망 (A+리포트)
[e비즈니스]모바일게임시장의 현황 및 전망 (A+리포트)
TU미디어사의 사례연구
디지털화에 따른 미디어 특성의 차별화
[매체][개방화][사유화][시장구조][환경][전자매체][독서매체][여성주의매체]매체의 개방화, ...
[멀티미디어개론] 디지털영상산업과 방송컨텐츠(디지털 방송의 최근동향과 전망 및 디지털 영...
[방송유통][공정거래질서확립]방송유통의 종류, 방송유통의 2차유통, 방송유통의 공정거래질...
PP(프로그램공급자, 방송채널사용사업자) 경영성과, PP(프로그램공급자, 방송채널사용사업자)...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 프로그램공급자) 여건, 정책,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 프로그램공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