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문화란 무엇인가?
2. 주민의 기원과 진화
3. 인류의 기원과 한반도로의 확산의 과정
4. 구석기시대의 문화와 그 기원
5. 신석기 문화의 기원과 주민의 기원
2. 주민의 기원과 진화
3. 인류의 기원과 한반도로의 확산의 과정
4. 구석기시대의 문화와 그 기원
5. 신석기 문화의 기원과 주민의 기원
본문내용
연원지로 바이칼이 지적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문화가 아무르강의 지류를 따라 남하하여 한국의 신석기문화가 되었다는 설이 일찌기 제기된 것이다. 그런데 최근의 신석기 토기 연구에서는 융기문 토기를 동해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과 한반도 그리고 연해주 지방에 공동의 신석기 문화가 있었고 이 지역의 토기가 일만년 전을 상회하는 세계 유수의 지역이기 때문에 신석기문화의 동해기원설을 제시하고 환동해문화권을 설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원 논쟁은 앞으로 많은 증거자료가 있어야 하겠지만 한반도의 신석기 문화가 동서로 크게 구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동해안과 남해안의 일부 지역에서는 초기에 아가리에 시문한 것을 중심으로 융기문 토기가 나타나는데 토기의 바닥이 납작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에 서해안 지역에서는 이러한 토기가 보이지 않고 전형적인 빗살문 토기가 등장하고 바닥이 둥글거나 첨저인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이러한 상이한 토기문화는 빗살무늬 토기로 이행하지만 연원이 다른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다. 적어도 한반도 내에서는 서해안의 흐름과 동해안의 흐름이 있었다는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신석기시대의 주민을 고아시아족으로 구분하여 왔는데 현재 북방 시베리아나 동방 시베리아 지역에 살고 잇는 종족들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집단이다.그러나 한반도내에서 이러한 집단의 고인류학적 인 증거를 발견하는 것은 극히 어려운 점이며 실제로 증명하기도 불가능할 수도 있을 것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아시아족 기원설이 보편적으로 회자되는 것은 결국 신석기시대의 문화의 유입이 이 지역과 연계되어 있을 것이라고 보는 생각이 많기 때문 일것이다.
추천자료
낭만주의 시대의 호손의 작품과 호손 작품의 시대 문화적 맥락 및 작품의 위치, 가치에 대한 ...
[문화]글로벌 시대의 일본문화론
글로벌경영자과 문화차이의 이해 및 글로벌화시대의 문화적응 사례
[독후감/에세이] 동시대 문화의 이해를 위한 20세기 문화 지형도 _ 최현주(코디 최) 저
[A+] 고려시대 서민문화 - 고려인 의료혜택, 병원, 음주문화, 고려장, 장례풍속, 금주령, 장...
70년대 대중문화 - 유신시대 문화의 이중성
2013년 2학기 한국복식문화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복식)
[일본문화] 헤이안시대의 개막, 사회, 문화, 지배계층 분석등 전반전 분석
그리스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문화에 따른 아동관의 변화에 대해 논의해 봅시다 ...
국제문화international culture 의 이해 리포트 - 글로벌시대 문화공존을 모색하는 다양한 노...
주5일제 근무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사회의 여가문화를 설명 - 여가문화
[한국복식문화 공통자료]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