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피로, 운동실조, 어지러움, 구음이상, 발진, 성욕저하, 월경이상, 구갈, 침분비저하, 식욕이상, 체중변화, 배뇨곤란
알코올에 의해 본제의 효과가 증강될 수 있으므로 알코올성 음료는 피한다.
Clorazepate dipotassium
1일 5-30mg을 분할 경구투여하고, 증상에 따라 1일 15-60mg범위 내에서 조정
불안장애의 치료 및 불안 증상의 단기완화, 알코올 금단증상
급성 폐쇄각녹내장 환자, 쇽상태,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중증의 호흡부전 또는 요폐 환자, 우울성 신경증 환자, 정신병적 반응 상태 환자,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
반동현상, 불안, 흥분, 우울, 자극과민, 착란, 환각, 정신병, 졸음, 기상곤란, 휘청거림, 피로, 선행성 건망증, 시력불선명, 안구진탕, 수축기혈압 감소
캡슐을 개봉하거나 씹지 않아야 하며, 입안이나 식도에 달라 붙어 염증이나 궤양을 일으킬 수 있음.
Clonazepam
GABA의 activity를 증가시켜 motor cortex에서 신경전도를 차단하여 소발작에서 극서파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1일 1.5mg을 초과하지 않으며 3회 동량으로 분할 경구투여. 동량으로 투여하지 않을 경우 가장 많은 용량은 저녁에 투여함
간질 및 부분발작, 원발성 및 2차적으로 전신화된 강직간대발작, 유소아간질
급성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약물 의존성 환자, 알코올 또는 약물남용 환자,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중증의 간장애, 호흡부전환자
졸음, 현기증, 협조성 이상, 운동실조, 말더듬증, 우울증, 기억력 장애, 피로감, 피부염, 과민반응, 식욕부진, 변비, 설사
뇌의 기질적 장애, 척수성 또는 소뇌성 운동실조, 고령자,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는 신중 투여 한다
Clobazam
Benzodiazepines는 염소이온의 세포막투과성을 증가시켜 신경흥분시에 GABA의 억제 효과를 촉진시켜 효과를 나타냄.
초회량으로 1회 10mg 1일 2회 경구투여함, 필요시 1일 30mg을 투여하고 증상 개선되면 유지량으로 1일 10-20mg 투여함
불안긴장, 자율신경장애, 수면장애, 기질성 장애, 간질의 보조치료, 정신신체장애
알코올, 약물의존성 환자,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 약물의존성의 기왕력자
피로, 졸음, 구갈, 변비, 식욕감퇴, 구역, 어지러움, 손가락의 미세한 진전, 초조, 신경과민, 운동실조, 두드러기, 발진, 호흡기능 장애
우울증이나 우울성 불안에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자살경향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 한다.
일반명
작용기전
용법/용량
적응증
금기
부작용
간호
Buspirone HCl
항경련효과, 근육이완 효과를 지니지 않는다, 청반에서 norepinephrine의 대사를 증가시킴
초회량으로 1회 5mg을 1일 3회 경구 투여함. 2-3일 간격으로 1일 5mg씩 증량하여 1일 20-30mg을 분할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함.
불안장애의 치료 또는 불안 증상의 단기완화
중ㅈ으의 간, 신장애 환자, 간질환자, 급성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MAO저해제를 투여중인 환자
현기증, 졸음, 추체외로 증상, 세로토닌 증후군, 착란, 신경과민, 어지러움, 흥분감, 분노, 적개심, 두통, 발진, 설사, 오심, 근무력, 마비감, 발한, 과민반응
항정신병작용은 정립되지 않았으므로 항정신병약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Ⅵ. 항치매약
일반명
작용기전
용법/용량
적응증
금기
부작용
간호
donepezil
hydrochloride
Acetylcholinesterase inhinitor
초기 용량은 5mg이며, 1~2달 후 특별한 부작용이 없으면 10mg까지 증량
알츠하이머 형태의 경증도, 중등도 치매증상의 치료
염산도네페질이나 피페리딘 유도체 과민증자
소화기계 부작용 및 비염, 초조 등이 있으나 수 주 내에 없어진다.
씹거나 으깨면 약효가 변할 수 있으므로 물과 함께 그대로 복용한다. 간독성이 없어서 정기적인 간기능 검사가 필요하지 않다.
Rivastigmine
1일 2회 식사와 함께 복용. 초기 1일 3mg, 1일 최대 6mg씩 1일 2회.
경미 내지 완화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대증적 치료
리바스티그민, 다른 카바메이트 유도체, 본제 다른 첨가 성분에 과민증자, 소아
초조, 불면증, 혼란, 우울, 어지러움, 두통, 혼몽, 구여, 구토, 설사, 복통, 식욕부진, 소화불량증, 상부호흡기 감염, 요로감염, 우발적 외상, 피로, 무력증, 발한증가, 권태, 체중감소
복용 전 약성분이 골고루 섞이도록 용기를 잘 흔든 다음 정해진 용량만큼 눈금을 잘 맞춰 마시도록 한다. 뿌옇게 녹아있는 현탁액제인 경우, 그렇지 않으면 약 성분의 농도가 높아져서 부작용 초래한다.
일반명
작용기전
용법/용량
적응증
금기
부작용
간호
Galantamine
성인 1일 2회 아침, 저녁식사와 함RP 복용한다. 초기용량은 4주동안 1일 2회, 1회 4mg을 투여한다. 그 이후 1일 2회, 1회 8mg을 초기유지용량으로 투여한다.
알츠하이머 형태의 경등도, 중등도 치매증상의 치료
중증의 간장애 환자 및 중증의 신장애 환자(크레이틴 청소율이 9ml/분 미만)
구역, 구토, 설사, 복통, 소화불량, 피로, 식욕부진, 현기증, 두통, 졸음, 체중감소, 요로감염
취장폐색이나 위장관계 수술 후 회복중에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고, 중증의 천식, 폐색성 폐질환의 기왕력자에게는 주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다른 콜린 자극제와 같이 갈란타민은 마취중 succinylch
oline과 같이 과도한 근육이완을 일으킬 수 있다. 유전적으로 젖당 불내성 한자들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Pyrisuccideanol dimaleate
중추신경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정신신경계 약물로 각종 원인에 의한 정신질환과 집중력 곤란 및 특히 신경쇠약증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제품
성인 :
1일 600-900mg분복, 6세 이상의 소아 : 1일 600mg분복. 저녁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주의력, 기억력장애, 두부외상이나 뇌혈관손상으로 인한 후유증, 신경쇠약의 보조치료
과민환자, 임부, 수유부
저녁에 투여시 불면증, 위장장애
저녁에는 복용하지 않는다. 캡슐을 개봉하거나 씹지 않아야 한다.
알코올에 의해 본제의 효과가 증강될 수 있으므로 알코올성 음료는 피한다.
Clorazepate dipotassium
1일 5-30mg을 분할 경구투여하고, 증상에 따라 1일 15-60mg범위 내에서 조정
불안장애의 치료 및 불안 증상의 단기완화, 알코올 금단증상
급성 폐쇄각녹내장 환자, 쇽상태,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중증의 호흡부전 또는 요폐 환자, 우울성 신경증 환자, 정신병적 반응 상태 환자,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
반동현상, 불안, 흥분, 우울, 자극과민, 착란, 환각, 정신병, 졸음, 기상곤란, 휘청거림, 피로, 선행성 건망증, 시력불선명, 안구진탕, 수축기혈압 감소
캡슐을 개봉하거나 씹지 않아야 하며, 입안이나 식도에 달라 붙어 염증이나 궤양을 일으킬 수 있음.
Clonazepam
GABA의 activity를 증가시켜 motor cortex에서 신경전도를 차단하여 소발작에서 극서파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1일 1.5mg을 초과하지 않으며 3회 동량으로 분할 경구투여. 동량으로 투여하지 않을 경우 가장 많은 용량은 저녁에 투여함
간질 및 부분발작, 원발성 및 2차적으로 전신화된 강직간대발작, 유소아간질
급성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약물 의존성 환자, 알코올 또는 약물남용 환자,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중증의 간장애, 호흡부전환자
졸음, 현기증, 협조성 이상, 운동실조, 말더듬증, 우울증, 기억력 장애, 피로감, 피부염, 과민반응, 식욕부진, 변비, 설사
뇌의 기질적 장애, 척수성 또는 소뇌성 운동실조, 고령자,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는 신중 투여 한다
Clobazam
Benzodiazepines는 염소이온의 세포막투과성을 증가시켜 신경흥분시에 GABA의 억제 효과를 촉진시켜 효과를 나타냄.
초회량으로 1회 10mg 1일 2회 경구투여함, 필요시 1일 30mg을 투여하고 증상 개선되면 유지량으로 1일 10-20mg 투여함
불안긴장, 자율신경장애, 수면장애, 기질성 장애, 간질의 보조치료, 정신신체장애
알코올, 약물의존성 환자,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 약물의존성의 기왕력자
피로, 졸음, 구갈, 변비, 식욕감퇴, 구역, 어지러움, 손가락의 미세한 진전, 초조, 신경과민, 운동실조, 두드러기, 발진, 호흡기능 장애
우울증이나 우울성 불안에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자살경향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 한다.
일반명
작용기전
용법/용량
적응증
금기
부작용
간호
Buspirone HCl
항경련효과, 근육이완 효과를 지니지 않는다, 청반에서 norepinephrine의 대사를 증가시킴
초회량으로 1회 5mg을 1일 3회 경구 투여함. 2-3일 간격으로 1일 5mg씩 증량하여 1일 20-30mg을 분할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함.
불안장애의 치료 또는 불안 증상의 단기완화
중ㅈ으의 간, 신장애 환자, 간질환자, 급성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MAO저해제를 투여중인 환자
현기증, 졸음, 추체외로 증상, 세로토닌 증후군, 착란, 신경과민, 어지러움, 흥분감, 분노, 적개심, 두통, 발진, 설사, 오심, 근무력, 마비감, 발한, 과민반응
항정신병작용은 정립되지 않았으므로 항정신병약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Ⅵ. 항치매약
일반명
작용기전
용법/용량
적응증
금기
부작용
간호
donepezil
hydrochloride
Acetylcholinesterase inhinitor
초기 용량은 5mg이며, 1~2달 후 특별한 부작용이 없으면 10mg까지 증량
알츠하이머 형태의 경증도, 중등도 치매증상의 치료
염산도네페질이나 피페리딘 유도체 과민증자
소화기계 부작용 및 비염, 초조 등이 있으나 수 주 내에 없어진다.
씹거나 으깨면 약효가 변할 수 있으므로 물과 함께 그대로 복용한다. 간독성이 없어서 정기적인 간기능 검사가 필요하지 않다.
Rivastigmine
1일 2회 식사와 함께 복용. 초기 1일 3mg, 1일 최대 6mg씩 1일 2회.
경미 내지 완화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대증적 치료
리바스티그민, 다른 카바메이트 유도체, 본제 다른 첨가 성분에 과민증자, 소아
초조, 불면증, 혼란, 우울, 어지러움, 두통, 혼몽, 구여, 구토, 설사, 복통, 식욕부진, 소화불량증, 상부호흡기 감염, 요로감염, 우발적 외상, 피로, 무력증, 발한증가, 권태, 체중감소
복용 전 약성분이 골고루 섞이도록 용기를 잘 흔든 다음 정해진 용량만큼 눈금을 잘 맞춰 마시도록 한다. 뿌옇게 녹아있는 현탁액제인 경우, 그렇지 않으면 약 성분의 농도가 높아져서 부작용 초래한다.
일반명
작용기전
용법/용량
적응증
금기
부작용
간호
Galantamine
성인 1일 2회 아침, 저녁식사와 함RP 복용한다. 초기용량은 4주동안 1일 2회, 1회 4mg을 투여한다. 그 이후 1일 2회, 1회 8mg을 초기유지용량으로 투여한다.
알츠하이머 형태의 경등도, 중등도 치매증상의 치료
중증의 간장애 환자 및 중증의 신장애 환자(크레이틴 청소율이 9ml/분 미만)
구역, 구토, 설사, 복통, 소화불량, 피로, 식욕부진, 현기증, 두통, 졸음, 체중감소, 요로감염
취장폐색이나 위장관계 수술 후 회복중에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않고, 중증의 천식, 폐색성 폐질환의 기왕력자에게는 주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다른 콜린 자극제와 같이 갈란타민은 마취중 succinylch
oline과 같이 과도한 근육이완을 일으킬 수 있다. 유전적으로 젖당 불내성 한자들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Pyrisuccideanol dimaleate
중추신경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정신신경계 약물로 각종 원인에 의한 정신질환과 집중력 곤란 및 특히 신경쇠약증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제품
성인 :
1일 600-900mg분복, 6세 이상의 소아 : 1일 600mg분복. 저녁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주의력, 기억력장애, 두부외상이나 뇌혈관손상으로 인한 후유증, 신경쇠약의 보조치료
과민환자, 임부, 수유부
저녁에 투여시 불면증, 위장장애
저녁에는 복용하지 않는다. 캡슐을 개봉하거나 씹지 않아야 한다.
추천자료
[정신간호학]스트레스와 이완요법(바이오피드백.심호흡법.이완요법.최면이완요법)
정신간호학실습case-역할극(공격pt)
정신간호학 간호진단.
[정신간호학] 치매 문헌고찰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depression][우울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Alcholism][알코올중독]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Alcoholism][알콜리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인격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우...
[정신간호학 실습] 양극정상 장애 (biopolar disorder)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주증상...
[정신간호학]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
[정신간호학A+]조현병 간호과정(schizophrenia)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