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막연한 불안과 관련된 수면장애
자신감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응장애
우울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신체활동부족 또는 부동과 관련된 변비
자신감 부족과 관련된 사회적응장애
우울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신체활동부족 또는 부동과 관련된 변비
본문내용
적
대상자가 7월 13일까지 다음을 증거로 낮 동안에 활동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① 병실 프로그램에 일주일에 적어도 2개 이상 참여한다.
* 프로그램 : 노래방 프로그램, 레크레이션 프로그램, 문예요법 프로그램
② 아침 산책시간과 점심식사 후에 병동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한다.
③ 낮 시간 동안에 침대에 누워있지 않는다.
④ 일주일에 적어도 3번 산책시간에 밖으로 나가 산책을 한다.
우울 척도 지수가 66.25 보다 낮게 나타난다.
장기목적
① 환자는 같은 병동에 있는 환자 분들, 프로그램을 하시면서 알게 되는 다른 병동에 있는 환자 분들과 어울리며 재활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② 환자는 의료진, 가족 등과 자신의 상황을 말로 표현하여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다.
③ 환자는 자신의 병식을 갖게 된다 .
④ 환자는 타인의 일에 깊은 관심을 보인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중재
① 환자의 우울원인이나 양상을 표현하게하고 이를 경청하여 적절한 해결방책을 찾도록 한다.
① 우울원인에 대해 여쭈어 본 후 생물학적인 원인이 아닌 심리적인원인에 대해서는
“그 일에 심각하고 슬프게 생각하시는 것 보다 긍정적인 쪽으로 바꿔서 생각해보시는 건 어떠세요?” 라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시켰다.
① 사회적 고립감은 사회적 역할이나 지지의상실과 개인이 다양하고 만족하다고 여기는 환경적 접촉의상실을 내포한다.
② 항상 수용적인 태도를 취하 고 환자가 관심을 표명하지 않더라도 계속적으로 환자에게 관심을 표현한다.
일상적인 대화로 접근하여 대상자에게 가까이 다가가 함께 있어주고 환자의 말에 귀를 기울여주며 관심을 표현 하였다.
② 수용적인 태도는 자기 가치감을 증진시킨다.
③ 다른 환자들하고도 어울리 고 조금이라도 우울한 기분을 덜 느끼게 하기위해 병실 프로 그램에 참가하고 운동하기를 권유하며, 그것을 함으로써 스 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게 한 다.
요법 불참 시에도 다음 요법 에 참여 하라고 격려하였고, 왜 운동을 해야 하는지 설명 해 주었다.
③ 환자는 요법을 통해 우울과 스트레스를 덜 느끼고 타인과 마음을 열고 이야기 할 수 있다.
④ 짧고 잦은 접촉을 한다.
④ 아침에 , 점심식사 후 , 집에 가기 전에 주기적으로 방문을 하 였다.
④ 짧고 잦은 접촉은 신뢰 감 형성에 도움을 준다.
평가
대상자는 병실 프로그램을 2주일 동안 한 개의 프로그램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에만 참여 하셨다.
7월 13일 2차 실시한 우울증 자가 검진에서 우울 척도 지수가 50으로 정상범위 안에 드셨다.
7월 11일 다른 환우들과 함께 산책나가시는 모습이 보여 짐. (일주일에 2회만 산책 가심)
낮 시간에 가벼운 운동하는 보습이 보여 짐.
방문 시 웃는 모습으로 반겨주심.
사 정
계 획
수 행
평 가
간호지시
이론적 근거
신체활동부족 또는 부동과 관련된 변비
<관련요인>
1)병태생리학적 요인
2)상황적 요인
→활동의 부족
3)발달단계적 요인
→49세의 여성
※ 주관적 자료
"변을 볼 때 마다 아파."
"변을 보려고 힘을 줄 때 허리가 많이 아파."
"운동하는 걸 별로 안 좋아해."
"다리 아파서 많이 안움직이고 누워만 있어."
"변을 볼 때 마다 긴장하게돼."
"배가 더부룩해."
"소화가 잘 되지 않아."
※ 객관적 요인
-일주일에 배변을 한번 봄.
(4/18~4/24 : 4/21일
에 대변을 1번 봄.
4/25~5/1 : 4/28일에
대변을 1번 봄.)
-계속 침대에 누워 계신 모습이 관찰됨.
-I/O Check
-운동요법에 참여하지 않으심.
-복부 촉진시 딱딱함이 느껴
지고 눌렀을 때 얼굴을 찡
그리며 통증호소.
<장기목표>
대상자는 6월 18일까지 규칙적인 배변양상으로 변을 배설할 수 있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5월 13일까지 다음을 증거로 배변 횟수의 변화를 경험한다.
1회/일주일 → 3~4회/일주일
②대상자는 5월 9일까지 운동 횟수의 변화를 경험한다.
0회/day → 2~3회/day
③대상자는 5월 11일까지 복부 촉진 시 딱딱함이 느껴지지 않고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④대상자는 5월 11일까지 I/O의 불균형이 정상적으로 돌아온다.
⑤대상자는 5월 11일까지 낮 시간 동안에 침대에 누워 있지 않는다.
①5월 13일까지 배변 횟수의 변화를 관찰한다.
②5월 9일까지 운동 횟수의 변화를 측정한다.
③5월 11일까지 대상자의 복부를 촉진한다.
④5월 11일까지 I/O 체크를 한다.
⑤5월 11일까지 낮 시간 동안에는 침대에 누워 있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⑥5월 9일까지 섬유소가 많은 식품을 4가지 이상 말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섬유소가 포함 된 음식은 사과, 미역, 다시마, 양배추, 연근 등이 있다.)
⑦5월 10일까지 하루 2L 이상 물을 섭취하도록 지지한다.
①배변 횟수를 관찰함으로 변비의 변화를 확인한다.
②운동은 장운동을 촉진시켜 배변 활동을 돕는다.
③대상자의 변비증상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④I/O의 균형이 맞다는 것은 변비 증상의 호전을 의미한다.
⑤침대에 누워 있지 않고 활동을 함으로써 근육을 강화시키고 장운동을 돕는다.
⑥섬유소가 많은 식품은 장의 운동을 도와 변비를 완화시킨다.
⑦수분 섭취는 변을 부드럽게 하고 장운동을 촉진시킨다.
① 목표 성취 - 5/13
5/7
×
5/8
×
5/9
○
5/10
×
5/11
×
5/12
○
5/13
○
대상자는 5월 13일까지 다음을 증거로 배변 횟수의 변화를 경험했다.
② 목표 성취 - 5/9
대상자는 5월 9일까지 운동 횟수의 변화를 경험했다.
5/7
2회
5/8
4회
5/9
3회
③ 목표 성취 - 5/11
대상자는 5월 11일까지 복부 촉진 시 딱딱함이 느껴지지 않고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하루에 2회씩 실행).
통증을 느낀 횟수
딱딱함
5/7
2회
○
5/8
1회
○
5/9
1회
○
5/10
0회
×
5/11
0회
×
④ 목표 성취 - 5/11
대상자는 5월 11일까지 I/O의 불균형이 정상적으로 돌아옴을 경험한다.
↓
⑤ 목표 성취 - 5/11
대상자가 5월 11일까지 낮 시간 동안에 누워 있지 않고 활동함을 관찰했다.
대상자가 7월 13일까지 다음을 증거로 낮 동안에 활동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① 병실 프로그램에 일주일에 적어도 2개 이상 참여한다.
* 프로그램 : 노래방 프로그램, 레크레이션 프로그램, 문예요법 프로그램
② 아침 산책시간과 점심식사 후에 병동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한다.
③ 낮 시간 동안에 침대에 누워있지 않는다.
④ 일주일에 적어도 3번 산책시간에 밖으로 나가 산책을 한다.
우울 척도 지수가 66.25 보다 낮게 나타난다.
장기목적
① 환자는 같은 병동에 있는 환자 분들, 프로그램을 하시면서 알게 되는 다른 병동에 있는 환자 분들과 어울리며 재활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② 환자는 의료진, 가족 등과 자신의 상황을 말로 표현하여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다.
③ 환자는 자신의 병식을 갖게 된다 .
④ 환자는 타인의 일에 깊은 관심을 보인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중재
① 환자의 우울원인이나 양상을 표현하게하고 이를 경청하여 적절한 해결방책을 찾도록 한다.
① 우울원인에 대해 여쭈어 본 후 생물학적인 원인이 아닌 심리적인원인에 대해서는
“그 일에 심각하고 슬프게 생각하시는 것 보다 긍정적인 쪽으로 바꿔서 생각해보시는 건 어떠세요?” 라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시켰다.
① 사회적 고립감은 사회적 역할이나 지지의상실과 개인이 다양하고 만족하다고 여기는 환경적 접촉의상실을 내포한다.
② 항상 수용적인 태도를 취하 고 환자가 관심을 표명하지 않더라도 계속적으로 환자에게 관심을 표현한다.
일상적인 대화로 접근하여 대상자에게 가까이 다가가 함께 있어주고 환자의 말에 귀를 기울여주며 관심을 표현 하였다.
② 수용적인 태도는 자기 가치감을 증진시킨다.
③ 다른 환자들하고도 어울리 고 조금이라도 우울한 기분을 덜 느끼게 하기위해 병실 프로 그램에 참가하고 운동하기를 권유하며, 그것을 함으로써 스 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게 한 다.
요법 불참 시에도 다음 요법 에 참여 하라고 격려하였고, 왜 운동을 해야 하는지 설명 해 주었다.
③ 환자는 요법을 통해 우울과 스트레스를 덜 느끼고 타인과 마음을 열고 이야기 할 수 있다.
④ 짧고 잦은 접촉을 한다.
④ 아침에 , 점심식사 후 , 집에 가기 전에 주기적으로 방문을 하 였다.
④ 짧고 잦은 접촉은 신뢰 감 형성에 도움을 준다.
평가
대상자는 병실 프로그램을 2주일 동안 한 개의 프로그램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에만 참여 하셨다.
7월 13일 2차 실시한 우울증 자가 검진에서 우울 척도 지수가 50으로 정상범위 안에 드셨다.
7월 11일 다른 환우들과 함께 산책나가시는 모습이 보여 짐. (일주일에 2회만 산책 가심)
낮 시간에 가벼운 운동하는 보습이 보여 짐.
방문 시 웃는 모습으로 반겨주심.
사 정
계 획
수 행
평 가
간호지시
이론적 근거
신체활동부족 또는 부동과 관련된 변비
<관련요인>
1)병태생리학적 요인
2)상황적 요인
→활동의 부족
3)발달단계적 요인
→49세의 여성
※ 주관적 자료
"변을 볼 때 마다 아파."
"변을 보려고 힘을 줄 때 허리가 많이 아파."
"운동하는 걸 별로 안 좋아해."
"다리 아파서 많이 안움직이고 누워만 있어."
"변을 볼 때 마다 긴장하게돼."
"배가 더부룩해."
"소화가 잘 되지 않아."
※ 객관적 요인
-일주일에 배변을 한번 봄.
(4/18~4/24 : 4/21일
에 대변을 1번 봄.
4/25~5/1 : 4/28일에
대변을 1번 봄.)
-계속 침대에 누워 계신 모습이 관찰됨.
-I/O Check
-운동요법에 참여하지 않으심.
-복부 촉진시 딱딱함이 느껴
지고 눌렀을 때 얼굴을 찡
그리며 통증호소.
<장기목표>
대상자는 6월 18일까지 규칙적인 배변양상으로 변을 배설할 수 있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5월 13일까지 다음을 증거로 배변 횟수의 변화를 경험한다.
1회/일주일 → 3~4회/일주일
②대상자는 5월 9일까지 운동 횟수의 변화를 경험한다.
0회/day → 2~3회/day
③대상자는 5월 11일까지 복부 촉진 시 딱딱함이 느껴지지 않고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④대상자는 5월 11일까지 I/O의 불균형이 정상적으로 돌아온다.
⑤대상자는 5월 11일까지 낮 시간 동안에 침대에 누워 있지 않는다.
①5월 13일까지 배변 횟수의 변화를 관찰한다.
②5월 9일까지 운동 횟수의 변화를 측정한다.
③5월 11일까지 대상자의 복부를 촉진한다.
④5월 11일까지 I/O 체크를 한다.
⑤5월 11일까지 낮 시간 동안에는 침대에 누워 있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⑥5월 9일까지 섬유소가 많은 식품을 4가지 이상 말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섬유소가 포함 된 음식은 사과, 미역, 다시마, 양배추, 연근 등이 있다.)
⑦5월 10일까지 하루 2L 이상 물을 섭취하도록 지지한다.
①배변 횟수를 관찰함으로 변비의 변화를 확인한다.
②운동은 장운동을 촉진시켜 배변 활동을 돕는다.
③대상자의 변비증상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④I/O의 균형이 맞다는 것은 변비 증상의 호전을 의미한다.
⑤침대에 누워 있지 않고 활동을 함으로써 근육을 강화시키고 장운동을 돕는다.
⑥섬유소가 많은 식품은 장의 운동을 도와 변비를 완화시킨다.
⑦수분 섭취는 변을 부드럽게 하고 장운동을 촉진시킨다.
① 목표 성취 - 5/13
5/7
×
5/8
×
5/9
○
5/10
×
5/11
×
5/12
○
5/13
○
대상자는 5월 13일까지 다음을 증거로 배변 횟수의 변화를 경험했다.
② 목표 성취 - 5/9
대상자는 5월 9일까지 운동 횟수의 변화를 경험했다.
5/7
2회
5/8
4회
5/9
3회
③ 목표 성취 - 5/11
대상자는 5월 11일까지 복부 촉진 시 딱딱함이 느껴지지 않고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하루에 2회씩 실행).
통증을 느낀 횟수
딱딱함
5/7
2회
○
5/8
1회
○
5/9
1회
○
5/10
0회
×
5/11
0회
×
④ 목표 성취 - 5/11
대상자는 5월 11일까지 I/O의 불균형이 정상적으로 돌아옴을 경험한다.
↓
⑤ 목표 성취 - 5/11
대상자가 5월 11일까지 낮 시간 동안에 누워 있지 않고 활동함을 관찰했다.
추천자료
만성 신부전(CRF)케이스 및 당뇨와 고혈압 관계 간호진단
Buerger's disease 환자 케이스 간호 진단 간호 중재
뇌수종(Hydrocephalus)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간호력/문헌고찰/뇌출혈
뇌졸중case, 뇌졸중케이스, cva, cvacase, 욕창간호진단
골관절염 케이스 (OA osteoarthritis) case 간호진단7개
신경외과 케이스 -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두개절제술(craniectomy) 간호과정, 간호진단
당뇨발 간호학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DM FOOT Case Study)
[성인간호학][노인 간호진단][욕창,우울,기동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대장암 case study [ 대장암 컨퍼런스 - 문헌고찰 진단 약물 간호과정까지 완벽 자료 !! ]
쇄골몸통의골절 케이스(간호사정부터 ~간호진단) A+++++
조기양막파열 케이스(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찰,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느낀점 ...
A++++ 급성신장질환(Acute renal disease) 케이스: 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찰,간호과정, ...
조헌병(정신분열증) 케이스(문헌고찰, 병태생리,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포함) A+++++
조헌병(정신분열병) 케이스(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포함)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