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수차
1.수차
2. 수력발전소
3. 비교회전도
4. 수차 효율
5. 무구속 속도(Run away speed)
◎ 펠톤 수차 (Pelton turbine)
◎ 유량 조절 장치
◎ 프랜시스 수차(Francis Turbine, 반동 수차)
Ⅰ.송풍기 풍량과 압력
Ⅱ. 송풍기분류
5장 유체전동장치
◈ 7장 유체에 의한 수송장치
1.수차
2. 수력발전소
3. 비교회전도
4. 수차 효율
5. 무구속 속도(Run away speed)
◎ 펠톤 수차 (Pelton turbine)
◎ 유량 조절 장치
◎ 프랜시스 수차(Francis Turbine, 반동 수차)
Ⅰ.송풍기 풍량과 압력
Ⅱ. 송풍기분류
5장 유체전동장치
◈ 7장 유체에 의한 수송장치
본문내용
의 진폭을 감소하는 방법은 오리피스삽입.
5장 유체전동장치
펌프를 이용하여 유체에 에너지를 부여, 이 에너지를 받은 유체가 수차를 운동시켜 축동력을 얻는 장치, 유체이음과 토크컨버터가 있다.
-유체이음 : 입력측 토크와 출력측 토크의 변화가 없다.
-토크컨버터 : 출력측 토크에 변화가 있다.
장점 1. 원동기의 시동이 용이
2. 부하의 변동에따라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짐
3. 구조가 간단
4. 원동축의 비틀림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동력전달을 부드럽게한다.
5. 최고효율이 높은편이며, 전달동력의 변동에 따른 효율 변화량이 적다.
(1,2번은 토크컨버터만의 특징)
단점 1. 출력측을 역전시킬 수 없다.
2. 제동효과가 적다.
3. 속도비를 일정한 값으로 고정시킬수 없다.
따라서 고저속 토크부하의 자동변속용으로 사용
(1) 유체이음
T1=T2
L1=T1(2πN1), L2=T2(2πN2)
η===
η=1일때는 펌프와 터빈이 동일속도로 회전하여 유체가 흐르지 않게된다. 따라서 T2=0 이 된다. 실제에는 η=0.95~0.98에서 ηmax가 된다.
N2=0 일때 T2와 T1이 최대가 되는데 이 최대토크값을 드래그 토그라한다.
상사법칙을 이용하여 T1=N12D15
(2) 토크컨버터
T1+TS=T2 (TS:안내깃의 토크)
안내깃의 토크(TS)가 작용하여 T2가 T1가 다르게 된다.
T1=K1N12D15
T2=K2N22D25
η=
◈ 7장 유체에 의한 수송장치
유체 컨베이어 - 유체와 물체와의 상대운동에 의해 작용하는 추력으로 가속되고 추진되는 현상을 이용.
-특징 : 수송로에 기계적 가동부 없고, 관로 하나 뿐.
귀환장치가 없다.
-장점 ①관로가 차지하는 면적 최소
②가동부가 적어 유지비가 싸다.
③피수송재의 손실이 없다.
-단점 ①단위수송에 대한 소요동력 크다.
②지름 20-30mm이하의 입자에 한함.
③수송관 1개 고장시 수송 불능
수력 컨베이어 - 고체와 물을 혼합시킨 혼합액을 관로를 사용하여 수송.
① 저압 상태에서 미리 고체와 물을 혼합하여 직접 수송
② 고체 혼합액을 펌프내에 유동시키지 않고 펌프에 의한 고압수를 저합하에서 고형물이 들어있는 밀폐용기에 도입하여 혼합시킴과 동시에 혼합액을 압송하는 방법.
③ 제트펌프에 의해 고압수를 분사시켜 고체 혼합액을 흡인, 수송하는 방법
하이드로 호이스트(석탄 수송에 쓰이는 방법)
① 주관 압송식
석탄+저수가 호퍼를 거쳐 급탄관에 충만된 후 닫힌 밸브 A, B를 개방, C, D를 닫는다. 이와 같이 여러 급탄관의 개폐를 조작하여 송출하는 것.
② 측통형 동력식 하이드로 호이스트
먼저 B와 A를 닫고 C를 열면 급탄실 내의 압력은 강하하며 이때 상부의 호퍼 조작 밸브 D를 열어 중력으로 석탄을 급탄실로 넣으면 내부 물은 C를 통해 배수됨. C, D를 닫고 B를 열면 급탄실 내 수압이 상승, A를 열면 주관을 통해 석탄 송출.
고-액 2상류의 압력 손실
- 조립자(3-5mm) 수송에서 유속이 느리면 고체는 관내에 층을 이루고 미끄럼질하며 수송되며, 액상과 고상이 분리되어 유동된다. 고속일 경우 습동 상태에서는 관내의 고체 마찰 손실이 커지므로 수력손실만의 경우보다 혼합액의 압력 손실이 훨씬 커진다.
공기수송기(분립자를 기체중에 부유시켜 수송하는 장치)
- 4가지의 기기 및 부품을 조합
① 혼입기 : 수송의 시점에 설치, 재료 공급기
② 수송관
③ 분리기 : 입체를 기류에서 분리, 배출하는 장치. 배출기와 분리기가 있음
④ 공기펌프 또는 공기 압축기
- 수송에 필요한 기류 공급(압축기, 진공펌프)
고-기 2상류의 이론(공기 수송시 stoke법칙 중요)
- 입자가 클수록 저항이 크고 수송은 곤란, 입자의 종류가 달라도 그 형상, 비중이 틀려짐.
- 부유속도 = 입자가 움직일 시 동력과 저항력이 같게 되는 속도
◈ 공기 수송기기
혼입기(공급기)
① 흡인 노즐(진공흡인식 수송관에 사용)
2중 통형 노즐
단통형 노즐
정치형 노즐
수송관과 같은 지름의 내관에 외관을 달아 외관을 움직여 혼합비 조절
수송관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가속도를 줌
개도의 조절로 혼합비를 조절
② 인젝션 피이더
- 공기관 일부를 축고, 고압공기를 분류로 하여 그때 생기는 부분 진공을 이용, 입체의 공급 용이하게 함.
- 디퓨저에서 속도가 압력으로 변환되나 한계(50%)가 있어 소용량, 단거리만 사용가능. 특별한 구조 없고 손쉽게 송력수송이 가능.
③ 로터리 피이더
- 직선 베인을 회전시키며 베인과 베인간에 입체를 상부로 받아들여 동력으로 하방에 배출.
- 구조 간단, 정량 공급 가능
④ 키니언 펌프
- 입체용 공기 수송기의 스크류식 혼입기
- 스크류 베인은 전동기 측에서 수송방향으로 갈수록 피치가 줄어듬.
- 스크류 베인이 끝난 축단의 일정 길이 부분에 압축공기 토출관 연결.
⑤ 블로우 탱크식 피이서
- 일정 용기 내에 입체를 봉입, 압력을 가해 블로우하는 혼입기.
- 주로 장거리의 압송식 수송기에 적합.
- 탱크내의 압력과 수송관 측 압력관의 차이로 작동.
수송관
① 관내는 평활할 것.
② 관 이음부의 내면이 일치할 것.
③ 마모 심한 부분을 수비게 교환할 수 있을 것.
④ 고무관, 염화비닐 파이프 이용시 정전기 대비.
⑤ 긴 직관부에서 수송재료에 의한 온도 상승이 우려시 신축관 달아 조절.
⑥ 관내 폐쇄 예상시 핸드 호울, 배제구를 설치,
분리장치
- 부유입체를 기체로부터 분리하고 대기압하에 배출하는 작동이 포함되어야 한다. 진공식인 경우 배출부에서 기체가 누설되기 쉽고, 그 때문에 성능의 저하, 심할 때는 공기량의 부족으로 수송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① 사이클론 분리기
- 분리기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입체중에 미분을 포함하는
경우의 포집에 적합.
- A로부터 유입된 혼합체는 선회 운동을 일으키면, 이 때 생기는 입체와 공기의 원심력
의 차에 의해 분리된다.
- 실제로는 대부분 입체는 외통면에 따라서 B,C를 유선모양으로 강하하는 입체뿐이며
포집되는 입체는 외통면 B 근처에서 다시 부유하여 공기와 함께 배출.
② 배그필터
- 여재로 입자를 여과하여 분리하는 방법.
- 징세입자에 대하여 고효율을 나타냄.
5장 유체전동장치
펌프를 이용하여 유체에 에너지를 부여, 이 에너지를 받은 유체가 수차를 운동시켜 축동력을 얻는 장치, 유체이음과 토크컨버터가 있다.
-유체이음 : 입력측 토크와 출력측 토크의 변화가 없다.
-토크컨버터 : 출력측 토크에 변화가 있다.
장점 1. 원동기의 시동이 용이
2. 부하의 변동에따라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짐
3. 구조가 간단
4. 원동축의 비틀림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동력전달을 부드럽게한다.
5. 최고효율이 높은편이며, 전달동력의 변동에 따른 효율 변화량이 적다.
(1,2번은 토크컨버터만의 특징)
단점 1. 출력측을 역전시킬 수 없다.
2. 제동효과가 적다.
3. 속도비를 일정한 값으로 고정시킬수 없다.
따라서 고저속 토크부하의 자동변속용으로 사용
(1) 유체이음
T1=T2
L1=T1(2πN1), L2=T2(2πN2)
η===
η=1일때는 펌프와 터빈이 동일속도로 회전하여 유체가 흐르지 않게된다. 따라서 T2=0 이 된다. 실제에는 η=0.95~0.98에서 ηmax가 된다.
N2=0 일때 T2와 T1이 최대가 되는데 이 최대토크값을 드래그 토그라한다.
상사법칙을 이용하여 T1=N12D15
(2) 토크컨버터
T1+TS=T2 (TS:안내깃의 토크)
안내깃의 토크(TS)가 작용하여 T2가 T1가 다르게 된다.
T1=K1N12D15
T2=K2N22D25
η=
◈ 7장 유체에 의한 수송장치
유체 컨베이어 - 유체와 물체와의 상대운동에 의해 작용하는 추력으로 가속되고 추진되는 현상을 이용.
-특징 : 수송로에 기계적 가동부 없고, 관로 하나 뿐.
귀환장치가 없다.
-장점 ①관로가 차지하는 면적 최소
②가동부가 적어 유지비가 싸다.
③피수송재의 손실이 없다.
-단점 ①단위수송에 대한 소요동력 크다.
②지름 20-30mm이하의 입자에 한함.
③수송관 1개 고장시 수송 불능
수력 컨베이어 - 고체와 물을 혼합시킨 혼합액을 관로를 사용하여 수송.
① 저압 상태에서 미리 고체와 물을 혼합하여 직접 수송
② 고체 혼합액을 펌프내에 유동시키지 않고 펌프에 의한 고압수를 저합하에서 고형물이 들어있는 밀폐용기에 도입하여 혼합시킴과 동시에 혼합액을 압송하는 방법.
③ 제트펌프에 의해 고압수를 분사시켜 고체 혼합액을 흡인, 수송하는 방법
하이드로 호이스트(석탄 수송에 쓰이는 방법)
① 주관 압송식
석탄+저수가 호퍼를 거쳐 급탄관에 충만된 후 닫힌 밸브 A, B를 개방, C, D를 닫는다. 이와 같이 여러 급탄관의 개폐를 조작하여 송출하는 것.
② 측통형 동력식 하이드로 호이스트
먼저 B와 A를 닫고 C를 열면 급탄실 내의 압력은 강하하며 이때 상부의 호퍼 조작 밸브 D를 열어 중력으로 석탄을 급탄실로 넣으면 내부 물은 C를 통해 배수됨. C, D를 닫고 B를 열면 급탄실 내 수압이 상승, A를 열면 주관을 통해 석탄 송출.
고-액 2상류의 압력 손실
- 조립자(3-5mm) 수송에서 유속이 느리면 고체는 관내에 층을 이루고 미끄럼질하며 수송되며, 액상과 고상이 분리되어 유동된다. 고속일 경우 습동 상태에서는 관내의 고체 마찰 손실이 커지므로 수력손실만의 경우보다 혼합액의 압력 손실이 훨씬 커진다.
공기수송기(분립자를 기체중에 부유시켜 수송하는 장치)
- 4가지의 기기 및 부품을 조합
① 혼입기 : 수송의 시점에 설치, 재료 공급기
② 수송관
③ 분리기 : 입체를 기류에서 분리, 배출하는 장치. 배출기와 분리기가 있음
④ 공기펌프 또는 공기 압축기
- 수송에 필요한 기류 공급(압축기, 진공펌프)
고-기 2상류의 이론(공기 수송시 stoke법칙 중요)
- 입자가 클수록 저항이 크고 수송은 곤란, 입자의 종류가 달라도 그 형상, 비중이 틀려짐.
- 부유속도 = 입자가 움직일 시 동력과 저항력이 같게 되는 속도
◈ 공기 수송기기
혼입기(공급기)
① 흡인 노즐(진공흡인식 수송관에 사용)
2중 통형 노즐
단통형 노즐
정치형 노즐
수송관과 같은 지름의 내관에 외관을 달아 외관을 움직여 혼합비 조절
수송관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가속도를 줌
개도의 조절로 혼합비를 조절
② 인젝션 피이더
- 공기관 일부를 축고, 고압공기를 분류로 하여 그때 생기는 부분 진공을 이용, 입체의 공급 용이하게 함.
- 디퓨저에서 속도가 압력으로 변환되나 한계(50%)가 있어 소용량, 단거리만 사용가능. 특별한 구조 없고 손쉽게 송력수송이 가능.
③ 로터리 피이더
- 직선 베인을 회전시키며 베인과 베인간에 입체를 상부로 받아들여 동력으로 하방에 배출.
- 구조 간단, 정량 공급 가능
④ 키니언 펌프
- 입체용 공기 수송기의 스크류식 혼입기
- 스크류 베인은 전동기 측에서 수송방향으로 갈수록 피치가 줄어듬.
- 스크류 베인이 끝난 축단의 일정 길이 부분에 압축공기 토출관 연결.
⑤ 블로우 탱크식 피이서
- 일정 용기 내에 입체를 봉입, 압력을 가해 블로우하는 혼입기.
- 주로 장거리의 압송식 수송기에 적합.
- 탱크내의 압력과 수송관 측 압력관의 차이로 작동.
수송관
① 관내는 평활할 것.
② 관 이음부의 내면이 일치할 것.
③ 마모 심한 부분을 수비게 교환할 수 있을 것.
④ 고무관, 염화비닐 파이프 이용시 정전기 대비.
⑤ 긴 직관부에서 수송재료에 의한 온도 상승이 우려시 신축관 달아 조절.
⑥ 관내 폐쇄 예상시 핸드 호울, 배제구를 설치,
분리장치
- 부유입체를 기체로부터 분리하고 대기압하에 배출하는 작동이 포함되어야 한다. 진공식인 경우 배출부에서 기체가 누설되기 쉽고, 그 때문에 성능의 저하, 심할 때는 공기량의 부족으로 수송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① 사이클론 분리기
- 분리기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입체중에 미분을 포함하는
경우의 포집에 적합.
- A로부터 유입된 혼합체는 선회 운동을 일으키면, 이 때 생기는 입체와 공기의 원심력
의 차에 의해 분리된다.
- 실제로는 대부분 입체는 외통면에 따라서 B,C를 유선모양으로 강하하는 입체뿐이며
포집되는 입체는 외통면 B 근처에서 다시 부유하여 공기와 함께 배출.
② 배그필터
- 여재로 입자를 여과하여 분리하는 방법.
- 징세입자에 대하여 고효율을 나타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