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적
2.관련이론
3.실험장치 및 방법
4.실험결과 및 검토
5.결론
6.참고문헌 및 목록
2.관련이론
3.실험장치 및 방법
4.실험결과 및 검토
5.결론
6.참고문헌 및 목록
본문내용
0.27
송출유속
Vd(m/s)
0
0.31
0.77
1.31
1.76
2.2
2.7
3.32
3.32
흡입유속
Vs(m/s)
0
0.2
0.49
0.84
1.13
1.41
1.72
2.12
2.12
전양정
H(m)
13.8
13.1
12.92
12.3
11.16
9.47
8.1
6.64
6.13
수 동 력
Lw(kW)
0
0.03
0.08
0.13
0.155
0.16
0.17
0.17
0.16
동 력 계
W(Watt)
.
.
.
.
.
.
.
.
.
축 동 력
Ls(kW)
.
.
.
.
.
.
.
.
.
펌프효율
(%)
.
.
.
.
.
.
.
.
.
비교회전도
Ns
.
비 고
본 실험에서는 전류계 측정이 곤란 하여, 동력계를 구할 수가 없었고, 이에 따라
축동력(
L_{ S } )
, 펌프효율
( eta )
및 비교 회전도
(N_{ S } )
를 구할 수가 없었습니다.
4.2 오차 분석
이 실험에서 우선 가장 큰 오차라고 생각되어지는 것은 관내의 마찰저항을 생각하지 않고 계산을 했다는 것이다. 아무리 매끄러운 관일지라도 분명 관내에 마찰저항으로 인한 속도가 떨어지고 이에 따라 압력 역시 떨어질 것이다. 이것은 효율의 저하에 연결되어진다. 또한 Hook gague의 정확한 높이 측정에도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이 높이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읽기 힘들었으면서 어느 시점에서 읽어야 하는지 애매할 때가 있었다. 그리고 실험에 있어서의 정확한 기준이 부족했다. 정확한 기준 상태를 정하고 Hook gague의 높이를 쟀어야 하는데 조금은 미흡했던 곳이기도 하다. 흡입, 송출 게이지의 압력 측정에서도 조금의 오차를 감한 해야한다.
Fig. 3 H-Q curve
Fig. 4
L_{ W } -Q`
curve
5. 결 론
먼저 Fig. 3을 살펴보면 유량(Q)이 증가함에 따라 양정(H)는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참고 도서에서 찾아보았을 때 이론 곡선은 최적화된 유량에서 Hmax값이 나타났다가 서서히 하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실험곡선은 Hmax값이 나타나지 않고 초기부터 하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Fig. 4 에서는 이론 곡선과 실험곡선이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성능곡선을 보면 완만한 커브를 그리며 수동력이 maximum의 값을 찾을 수가 있다.
Motor의 회전수는 다소 변화는 있었지만 거의 일정함을 보이고 있으며, 유량과의 상관관계는 없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수동력 및 펌프의 비교 회전수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비교회전수는 어느 한도점 이상이며 오히려 감소함을 알 수 있다.
6. 참고문헌 및 부록
Yusangsin. Baesincheo. Seosangho., 2000,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 Fifthth edition, Scitech, pp.76~92.
Yusangsin. Baesincheo. Seosangho., 1994,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 Fourth edition, Hee joong dang, pp.72~85
송출유속
Vd(m/s)
0
0.31
0.77
1.31
1.76
2.2
2.7
3.32
3.32
흡입유속
Vs(m/s)
0
0.2
0.49
0.84
1.13
1.41
1.72
2.12
2.12
전양정
H(m)
13.8
13.1
12.92
12.3
11.16
9.47
8.1
6.64
6.13
수 동 력
Lw(kW)
0
0.03
0.08
0.13
0.155
0.16
0.17
0.17
0.16
동 력 계
W(Watt)
.
.
.
.
.
.
.
.
.
축 동 력
Ls(kW)
.
.
.
.
.
.
.
.
.
펌프효율
(%)
.
.
.
.
.
.
.
.
.
비교회전도
Ns
.
비 고
본 실험에서는 전류계 측정이 곤란 하여, 동력계를 구할 수가 없었고, 이에 따라
축동력(
L_{ S } )
, 펌프효율
( eta )
및 비교 회전도
(N_{ S } )
를 구할 수가 없었습니다.
4.2 오차 분석
이 실험에서 우선 가장 큰 오차라고 생각되어지는 것은 관내의 마찰저항을 생각하지 않고 계산을 했다는 것이다. 아무리 매끄러운 관일지라도 분명 관내에 마찰저항으로 인한 속도가 떨어지고 이에 따라 압력 역시 떨어질 것이다. 이것은 효율의 저하에 연결되어진다. 또한 Hook gague의 정확한 높이 측정에도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이 높이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읽기 힘들었으면서 어느 시점에서 읽어야 하는지 애매할 때가 있었다. 그리고 실험에 있어서의 정확한 기준이 부족했다. 정확한 기준 상태를 정하고 Hook gague의 높이를 쟀어야 하는데 조금은 미흡했던 곳이기도 하다. 흡입, 송출 게이지의 압력 측정에서도 조금의 오차를 감한 해야한다.
Fig. 3 H-Q curve
Fig. 4
L_{ W } -Q`
curve
5. 결 론
먼저 Fig. 3을 살펴보면 유량(Q)이 증가함에 따라 양정(H)는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참고 도서에서 찾아보았을 때 이론 곡선은 최적화된 유량에서 Hmax값이 나타났다가 서서히 하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실험곡선은 Hmax값이 나타나지 않고 초기부터 하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Fig. 4 에서는 이론 곡선과 실험곡선이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성능곡선을 보면 완만한 커브를 그리며 수동력이 maximum의 값을 찾을 수가 있다.
Motor의 회전수는 다소 변화는 있었지만 거의 일정함을 보이고 있으며, 유량과의 상관관계는 없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수동력 및 펌프의 비교 회전수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비교회전수는 어느 한도점 이상이며 오히려 감소함을 알 수 있다.
6. 참고문헌 및 부록
Yusangsin. Baesincheo. Seosangho., 2000,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 Fifthth edition, Scitech, pp.76~92.
Yusangsin. Baesincheo. Seosangho., 1994,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 Fourth edition, Hee joong dang, pp.72~8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