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6.1 데이타베이스 설계를 단계별 입출력을 중심으로 간명하게 설명하라.
16.2 E-R 다이어그램은 정보 구조(information structure)를 표현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이 E-R 다이어그램의 장점과 약점을 설명하여 보라.
16.3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응답 시간(response time)을 구성하는 요소를 식별하고, 데이타베이스 설계가 어떻게 응답 시간 최소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설명해 보라.
16.4 데이타베이스 설계를 위한 요구 조건 분석 단계를 설명하라.
16.5 데이타베이스의 개념적 설계 방법을 설명하라.
16.6 데이타베이스의 논리적 설계 과정을 설명하라.
16.7 데이타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성능 평가를 설명하라.
16.8 데이타베이스 생명 주기를 데이타베이스 설계 단계와 관련시켜 설명하라.
16.9 데이타베이스 설계할 때 고려 사항을 설명하라.
16.10 데이타베이스 설계 단계를 식별하고, 간단히 설명하라.
16.11 개념 스키마 모델링 원리를 설명하고, 개념적 설계와 관련시켜 보라.
16.12 데이타베이스의 물리적 설계 단계를 설명하라.
16.13 E-R 모델에서 관계 모델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라.
16.2 E-R 다이어그램은 정보 구조(information structure)를 표현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이 E-R 다이어그램의 장점과 약점을 설명하여 보라.
16.3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응답 시간(response time)을 구성하는 요소를 식별하고, 데이타베이스 설계가 어떻게 응답 시간 최소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설명해 보라.
16.4 데이타베이스 설계를 위한 요구 조건 분석 단계를 설명하라.
16.5 데이타베이스의 개념적 설계 방법을 설명하라.
16.6 데이타베이스의 논리적 설계 과정을 설명하라.
16.7 데이타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성능 평가를 설명하라.
16.8 데이타베이스 생명 주기를 데이타베이스 설계 단계와 관련시켜 설명하라.
16.9 데이타베이스 설계할 때 고려 사항을 설명하라.
16.10 데이타베이스 설계 단계를 식별하고, 간단히 설명하라.
16.11 개념 스키마 모델링 원리를 설명하고, 개념적 설계와 관련시켜 보라.
16.12 데이타베이스의 물리적 설계 단계를 설명하라.
16.13 E-R 모델에서 관계 모델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라.
본문내용
주어진 응용을 위해 취해야 될 적절한 접근 경로를 정의하는 것이다. 접근 경로 설계는 초기 레코드적재, 레코드의 물리적 위치, 기본 키를 통한 검색과 밀접히 관련된 기본 접근 경로와 보조 키에 기반한 인덱스를 통해 레코드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접근 경로의 설계를 포함한다.
통상 DBMS는 화일 조직과 접근 경로에 대해 여러 가지 옵션을 제공하는데 물리적 설계는 지정된 DBMS가 제공하는 옵션 중 가장 적절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된다. 이 물리적 설계의 옵션을 선택할 때는 일반적으로 응답 시간, 저장 공간의 효율화, 트랜잭션 처리 능력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물리적 설계의 결과는 데이타베이스 화일을 위한 저장 구조와 접근 경로의 일차적인 결정이 된다. 대부분의 경우는 데이타베이스가 구현된 뒤에 성능 평가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물리적 설계를 다시 조정하게 된다.
16.13 E-R 모델에서 관계 모델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라.
E-R 모델을 관계 데이타 모델로 사상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사각형으로 표시된 개체 타입은 하나의 릴레이션, 즉 개체 타입을 표현하는 개체 릴레이션으로 만든다. 이때 각 개체 타입이 속한 애트리뷰트들은 그대로 릴레이션의 애트리뷰트가 된다.
② 다이어몬드로 나타낸 각 관계는 연관된 개체 타입의 키 애트리뷰트들을 포함하는 관계 릴레이션으로 표현한다. 이때 다이어몬드에 속한 애트리뷰트는 이 관계 릴레이션의 애트리뷰트가 된다. 개체 관계는 독립된 릴레이션으로 표현하지 않고 연관 릴레이션으로 하여금 공통 애트리뷰트를 갖게 함으로써 묵시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통상 DBMS는 화일 조직과 접근 경로에 대해 여러 가지 옵션을 제공하는데 물리적 설계는 지정된 DBMS가 제공하는 옵션 중 가장 적절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된다. 이 물리적 설계의 옵션을 선택할 때는 일반적으로 응답 시간, 저장 공간의 효율화, 트랜잭션 처리 능력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물리적 설계의 결과는 데이타베이스 화일을 위한 저장 구조와 접근 경로의 일차적인 결정이 된다. 대부분의 경우는 데이타베이스가 구현된 뒤에 성능 평가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물리적 설계를 다시 조정하게 된다.
16.13 E-R 모델에서 관계 모델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라.
E-R 모델을 관계 데이타 모델로 사상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사각형으로 표시된 개체 타입은 하나의 릴레이션, 즉 개체 타입을 표현하는 개체 릴레이션으로 만든다. 이때 각 개체 타입이 속한 애트리뷰트들은 그대로 릴레이션의 애트리뷰트가 된다.
② 다이어몬드로 나타낸 각 관계는 연관된 개체 타입의 키 애트리뷰트들을 포함하는 관계 릴레이션으로 표현한다. 이때 다이어몬드에 속한 애트리뷰트는 이 관계 릴레이션의 애트리뷰트가 된다. 개체 관계는 독립된 릴레이션으로 표현하지 않고 연관 릴레이션으로 하여금 공통 애트리뷰트를 갖게 함으로써 묵시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