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4.1 다음 용어를 설명하라.
14.2 DBTG SET을 설명하고, 왜 네트워크 데이타 모델의 빌딩 블록(building block)이라고 하는지를 설명하라.
14.3 고유 세트(singular set) 타입은 무엇이며, 어떻게 관리되는가? 또 그 세트 멤버십의 유형에 대해 설명하라.
14.4 네트워크 데이타베이스 스키마에서 명세해야 될 주요 요소에 대해 설명해 보라.
14.5 DBTG 세트 멤버십 유형에 대해 데이타의 처리의 견지에서 설명하라.
14.6 CODASYL DBTG 네트워크 데이타 모델을 3 단계 데이타베이스 스키마 개념에 비유하여 설명해 보라.
14.7 네트워크 데이타 모델과 계층 데이타 모델을 데이타의 삽입, 삭제, 검색, 그리고 갱신의 입장에서 비교 설명해 보라.
14.8 DBTG 네트워크 데이타 구조의 제약 조건을 설명하고, 제약 조건이 없을 경우 구현상 문제가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해 보라.
14.9 하나의 네트워크 데이타 구조가 표현하는 데이타의 관계성을 관계 데이타 모델로 체계적으로 변환 시키는 방법을 기술해 보라.
14.10 두 레코드 타입 간의 다 대 다(n:m) 관계를 DBTG 네트워크 데이타 구조로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라.
14.11 DBTG 세트를 데이타 정의, 데이타 처리의 견지에서 그 특성을 설명하라.
14.12 고유 세트 타입과 일반 세트 타입 간의 차이점을 데이타 처리 면에서 설명하라.
14.13 DBTG 현재 지시자(currency indicators)를 설명하고, 데이타를 처리할 때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설명하라.
14.2 DBTG SET을 설명하고, 왜 네트워크 데이타 모델의 빌딩 블록(building block)이라고 하는지를 설명하라.
14.3 고유 세트(singular set) 타입은 무엇이며, 어떻게 관리되는가? 또 그 세트 멤버십의 유형에 대해 설명하라.
14.4 네트워크 데이타베이스 스키마에서 명세해야 될 주요 요소에 대해 설명해 보라.
14.5 DBTG 세트 멤버십 유형에 대해 데이타의 처리의 견지에서 설명하라.
14.6 CODASYL DBTG 네트워크 데이타 모델을 3 단계 데이타베이스 스키마 개념에 비유하여 설명해 보라.
14.7 네트워크 데이타 모델과 계층 데이타 모델을 데이타의 삽입, 삭제, 검색, 그리고 갱신의 입장에서 비교 설명해 보라.
14.8 DBTG 네트워크 데이타 구조의 제약 조건을 설명하고, 제약 조건이 없을 경우 구현상 문제가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해 보라.
14.9 하나의 네트워크 데이타 구조가 표현하는 데이타의 관계성을 관계 데이타 모델로 체계적으로 변환 시키는 방법을 기술해 보라.
14.10 두 레코드 타입 간의 다 대 다(n:m) 관계를 DBTG 네트워크 데이타 구조로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라.
14.11 DBTG 세트를 데이타 정의, 데이타 처리의 견지에서 그 특성을 설명하라.
14.12 고유 세트 타입과 일반 세트 타입 간의 차이점을 데이타 처리 면에서 설명하라.
14.13 DBTG 현재 지시자(currency indicators)를 설명하고, 데이타를 처리할 때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설명하라.
본문내용
트로서 멤버 레코드 타입의 모든 어커런스들로 구성된 하나의 세트 어커런스만 가지고 있으므로, 데이타 처리를 위해 세트 어커런스를 선정하기 위한 세트 선정이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고유 세트의 정의에는 SELECTION 절이 없다.
14.13 DBTG 현재 지시자(currency indicators)를 설명하고, 데이타를 처리할 때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설명하라.
현재 지시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화일 내에서 현재의 위치 표시기에 해당한다. 현재 지시자의 값은 보통 데이타베이스 키가 되는데 프로그래머가 FIND명령을 실행시키면 목표 레코드가 결정되어 찾아지고 그 위치가 현재 지시자라는 변수 값으로 지정된다. 이어서 GET, MODIFY, ERASE 등의 명령이 나오면 DBMS는 이 현재 지시자를 참조하여 수행한다.
현재 지시자는 런 유닛, 세트 타입, 레코드 타입 등 세종류의 현재 지시자를 총칭한다. 서브스키마 내의 모든 레코드 타입과 세트 타입에 대해서는 각각 하나의 현재 지시자가 있으며 이러한 지시자들은 가장 최근에 접근되어 처리된 레코드를 지시한다. 반면에 런 유닛 현재 지시자는 레코드 타입에 관계없이 가장 최근에 접근한 레코드를 지시한다.
14.13 DBTG 현재 지시자(currency indicators)를 설명하고, 데이타를 처리할 때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설명하라.
현재 지시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화일 내에서 현재의 위치 표시기에 해당한다. 현재 지시자의 값은 보통 데이타베이스 키가 되는데 프로그래머가 FIND명령을 실행시키면 목표 레코드가 결정되어 찾아지고 그 위치가 현재 지시자라는 변수 값으로 지정된다. 이어서 GET, MODIFY, ERASE 등의 명령이 나오면 DBMS는 이 현재 지시자를 참조하여 수행한다.
현재 지시자는 런 유닛, 세트 타입, 레코드 타입 등 세종류의 현재 지시자를 총칭한다. 서브스키마 내의 모든 레코드 타입과 세트 타입에 대해서는 각각 하나의 현재 지시자가 있으며 이러한 지시자들은 가장 최근에 접근되어 처리된 레코드를 지시한다. 반면에 런 유닛 현재 지시자는 레코드 타입에 관계없이 가장 최근에 접근한 레코드를 지시한다.
추천자료
우리나라 주식수익률 데이터베이스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KIS-SMAT와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 - 입력가설모형과 제2언어습득모형
화학공정의 컴퓨터 설계 (천연가스 플랜트의 설계-HYSYS)
한국음악론 지휘자의 역할
[컴퓨터교육론] 웹 기반 교육에 관한 이론적 고찰
[직업][직종][유망직종][유망직업][천직][직업윤리]직업으로서의 교사, PD, 데이터베이스전문...
[무역학연습]EU의 발전과정과 향후의 전망에 대하여
시장조사론(양재욱)
[공법연습 3학년 A형]양심적 병역거부와 대체복무제도에 대해 설명
영유아교사론3E) 효율적인 교사의 개념과 효율적인 교사들의 교수계획과 실천방안
경영학부 졸업시험 (경영정보론)
과학교육론 요약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