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1. 정신장애의 이해
2. 노인의 특성
3. 치매노인의 특징
4. 치매노인의 발생률
5.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지도
6. 치매노인의 욕구와 과업
7. 치매 노인을 위한 현존하는 서비스
8. 치매노인의 사례분석
2. 노인의 특성
3. 치매노인의 특징
4. 치매노인의 발생률
5.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지도
6. 치매노인의 욕구와 과업
7. 치매 노인을 위한 현존하는 서비스
8. 치매노인의 사례분석
본문내용
기능상 이상이 없을 때
2. 경미한 결함이나 지장이 있을 때
3. 중등도 이상의 보행장애가 있을 때
4. 어떤 식으로도 보행이 불가능할 때
S
언어·시력 및 청력
1. 나이와 비교하여 기능상 이상이 없을 때
2. 경미한 결함이나 지장이 있을 때
3. 중등도 이상의 지장이 있을 때
4. 전혀 가리지 못할 때
E
대소변 가리기
1. 정상일 때
2. 간혹 실수를 할 때
3. 자주 실수를 할 때
4. 전혀 가리지 모할 때
언어·시력 및 청력
1. 나이와 비교하여 기능상 이상이 없을 때
2. 경미한 결함이나 지장이 있을 때
3. 중등도 이상의 지장이 있을 때
4. 전혀 가리지 못할 때
S
정신 및 사회성
1. 나이와 비교하여 정상일 때
2. 성격이나 환경적응에 경미한 지장이 있을 때
3. 성격이나 환경적응에 장애가 심하여 감시가 필요할 때
4. 의식이 없거나 정신기능이 전무하여 항상 간호나 감시가 필요할 때
표 1-2 PULSES profile
oskowitz와 McCann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1점 항목은 비정상이나 기능제한이 없음을 나타내고 2, 3, 4점 항목은 기능 부전의 정도가 심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총 6점은 완전한 독립을 의미하며 총 24점은 완전한 의존성을 의미한다.
도움필요
독자적
1. 식사
5
10
2. 의자차에서 침대로 또는 반대로(침대에서 일어나는 것 포함)
5~10
15
3. 개인위생(세안, 머리빗기, 면도, 양치질)
0
0
4. 화장실 사용(옷 입고 벗기, 휴지사용, 물내리기)
5
10
5. 목욕
0
5
6. 평면 걷기
10
15
의자차 돌리기(걸을 수 없을 때만 점수화)
0
5
7. 계단 오르내리기
5
10
8. 착의(넥타이, 구두, 끈 매는 것 포함)
5
10
9. 배변조절
5
10
10. 배뇨조절
5
10
표1-3 Barthel index
Mahoney와 Barthel이 개발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의 자기관리의 수행능력과 기동력을 측정한다. 본 도구는 10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따라 점수화하는데 0∼100점까지의 범위이다. 총 100점은 모든 10개영역에서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완전한 독립을 나타낸다.
3) 신경계 검사
표1-4 감각검사
감각기능명
기 구
검사방법
가벼운 촉각
솜, 면봉
피부표면을 따라 가볍게 그어 감각을 어떻게 느끼는지 확인함.
통각
안전핀
안전핀의 날카로운 곳, 무딘 곳으로 교대로 가볍게 자극하면서 날카로운지, 무딘지를 확인함.
발뒤꿈치, 발바닥 같은 두꺼운 피부는 통각이 거의 없을 수 있음
온각
찬물, 더운물이 담긴 2개의 시험관
시험관을 피부에 대어 찬지 더운지를 확인함.
통각이 정상이면, 이 검사는 생략할 수 있음.
운동각
사지의 관절을 수동적으로 움직이고 움직임의 크가, 속도를 아는지를 확인함.
위치각
검사자가 수동적으로 사지관절을 움직여 놓고 그 위치를 말하든가, 반대측의 상/하지를 그대로 흉내내라고 한다.
진동각
음차
진동하는 음차를 흉골, 주두, 복사뼈 등과 같은 돌출부에 대고 진동을 느끼는지, 언제 멈추는지를 확인함.
식별각
(discrimination)
두 지점의 식별
(two point dis)
2개의 안전핀
피부표면을 유사한 2개의 안전판으로 동시에 가볍게 찌르고 2개인지, 1개인지 묻는다.
입체인지
(stereognosis)
동전, 열쇠 등
환자 자신이 동전, 열쇠 등을 만지거나 조작하는 물건을 인지하여 확인함. 대뇌피질의 측두엽의 기능을 확인함.
숫자의 확인
(number identification)
연필
손바닥에 연필의 무단 쪽으로 글씨를 써서 알아 맞추는지 확인함.
소실감
(extinction)
신체의 좌·우 양쪽의 같은 부위를 자극할 때 한족의 자극만을 인지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피질의 감각 영역에 병변을 의미함.
- 대뇌기능 검사(전신상태)
① 의식상태
② 지적상태
지남력, 기억력, 집중력, 계산력, 회상력, 판단력을 검사하여 약식정신상태(minimental state)검사 도구(표1-5)를 사용할 수 있다.
표1-5 약식정신 상태 검사
최대점수
점수
5
( )
<지남력>
지금은 (몇 년도) (계절은) (몇 월) (요일) (몇 일) 입니까?
5
( )
여기는 어디입니까?(국명) (시, 도) (군, 구) (병원 이름)
3
( )
<기억력(단기)>
나무, 그릇, 사과(1초에 한 가지씩 말한다)
환자에게 이 세 가지를 말하라고 한다(각 1점씩)
환자가 이 세 가지를 다 외울 때까지 반복한다(반복횟수).
5
( )
<집중력 및 계산력>
'100∼7'의 연속 5회 빼기를 한다(정답에 1점씩).
또는 '대한민국'을 거꾸로 외게 한다.
3
( )
<회상력>
기억력에서 이야기한 세 가지를 말하게 한다.
2
( )
<언어구사>
볼펜과 시계를 보여주고 이름을 말하게 한다.
1
( )
다음 말을 따라 하십시오, "간장 공장 공장장"(1점)
3
( )
3단계 지시 "오른손으로 종이를 잡아 반으로 접은 후 책상에 놓으시오"
1
( )
다음 글을 읽고 따라 하십시오. "눈을 감으세요"
1
( )
글을 한줄 쓰세요(뜻을 이루는 문장이면 1점, 단 철자법과 띄어쓰기의 잘못은 무시한다)
1
( )
겹쳐진 두 개의 5각형 그림을 보여주고 그리게 한다.
(두 개의 5각형이 겹쳐야 하며, 겹친 부위는 4각형을 이루어야 한다. 단, 선이 흔들리거나 도형의 회전은 무시한다)
총점
( )
③ 지각 및 인지능력
실인증 - 시각 실인증 : 물건을 보여주고 질문한다.
촉각 실인증 : 눈감고 만져서 물건을 확인한다.
일측성 시야 무시 : 찾기 검사(cancellation test) : Albert test(그림 5-3)
선 나누기(line bisection test) : Schenkenberg test(그림 5-4)
그리기와 모방하기(drawing and copying task)(그림 5-5, 5-6)
실행증 : 일상생활동작을 관찰한다.
컵, 칫솔 등 일상적인 생활용품 사용방법을 관찰한다.
모방하여 그리거나 만들게 하고 관찰한다.
2. 경미한 결함이나 지장이 있을 때
3. 중등도 이상의 보행장애가 있을 때
4. 어떤 식으로도 보행이 불가능할 때
S
언어·시력 및 청력
1. 나이와 비교하여 기능상 이상이 없을 때
2. 경미한 결함이나 지장이 있을 때
3. 중등도 이상의 지장이 있을 때
4. 전혀 가리지 못할 때
E
대소변 가리기
1. 정상일 때
2. 간혹 실수를 할 때
3. 자주 실수를 할 때
4. 전혀 가리지 모할 때
언어·시력 및 청력
1. 나이와 비교하여 기능상 이상이 없을 때
2. 경미한 결함이나 지장이 있을 때
3. 중등도 이상의 지장이 있을 때
4. 전혀 가리지 못할 때
S
정신 및 사회성
1. 나이와 비교하여 정상일 때
2. 성격이나 환경적응에 경미한 지장이 있을 때
3. 성격이나 환경적응에 장애가 심하여 감시가 필요할 때
4. 의식이 없거나 정신기능이 전무하여 항상 간호나 감시가 필요할 때
표 1-2 PULSES profile
oskowitz와 McCann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1점 항목은 비정상이나 기능제한이 없음을 나타내고 2, 3, 4점 항목은 기능 부전의 정도가 심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총 6점은 완전한 독립을 의미하며 총 24점은 완전한 의존성을 의미한다.
도움필요
독자적
1. 식사
5
10
2. 의자차에서 침대로 또는 반대로(침대에서 일어나는 것 포함)
5~10
15
3. 개인위생(세안, 머리빗기, 면도, 양치질)
0
0
4. 화장실 사용(옷 입고 벗기, 휴지사용, 물내리기)
5
10
5. 목욕
0
5
6. 평면 걷기
10
15
의자차 돌리기(걸을 수 없을 때만 점수화)
0
5
7. 계단 오르내리기
5
10
8. 착의(넥타이, 구두, 끈 매는 것 포함)
5
10
9. 배변조절
5
10
10. 배뇨조절
5
10
표1-3 Barthel index
Mahoney와 Barthel이 개발한 것으로 일상생활에서의 자기관리의 수행능력과 기동력을 측정한다. 본 도구는 10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따라 점수화하는데 0∼100점까지의 범위이다. 총 100점은 모든 10개영역에서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완전한 독립을 나타낸다.
3) 신경계 검사
표1-4 감각검사
감각기능명
기 구
검사방법
가벼운 촉각
솜, 면봉
피부표면을 따라 가볍게 그어 감각을 어떻게 느끼는지 확인함.
통각
안전핀
안전핀의 날카로운 곳, 무딘 곳으로 교대로 가볍게 자극하면서 날카로운지, 무딘지를 확인함.
발뒤꿈치, 발바닥 같은 두꺼운 피부는 통각이 거의 없을 수 있음
온각
찬물, 더운물이 담긴 2개의 시험관
시험관을 피부에 대어 찬지 더운지를 확인함.
통각이 정상이면, 이 검사는 생략할 수 있음.
운동각
사지의 관절을 수동적으로 움직이고 움직임의 크가, 속도를 아는지를 확인함.
위치각
검사자가 수동적으로 사지관절을 움직여 놓고 그 위치를 말하든가, 반대측의 상/하지를 그대로 흉내내라고 한다.
진동각
음차
진동하는 음차를 흉골, 주두, 복사뼈 등과 같은 돌출부에 대고 진동을 느끼는지, 언제 멈추는지를 확인함.
식별각
(discrimination)
두 지점의 식별
(two point dis)
2개의 안전핀
피부표면을 유사한 2개의 안전판으로 동시에 가볍게 찌르고 2개인지, 1개인지 묻는다.
입체인지
(stereognosis)
동전, 열쇠 등
환자 자신이 동전, 열쇠 등을 만지거나 조작하는 물건을 인지하여 확인함. 대뇌피질의 측두엽의 기능을 확인함.
숫자의 확인
(number identification)
연필
손바닥에 연필의 무단 쪽으로 글씨를 써서 알아 맞추는지 확인함.
소실감
(extinction)
신체의 좌·우 양쪽의 같은 부위를 자극할 때 한족의 자극만을 인지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피질의 감각 영역에 병변을 의미함.
- 대뇌기능 검사(전신상태)
① 의식상태
② 지적상태
지남력, 기억력, 집중력, 계산력, 회상력, 판단력을 검사하여 약식정신상태(minimental state)검사 도구(표1-5)를 사용할 수 있다.
표1-5 약식정신 상태 검사
최대점수
점수
5
( )
<지남력>
지금은 (몇 년도) (계절은) (몇 월) (요일) (몇 일) 입니까?
5
( )
여기는 어디입니까?(국명) (시, 도) (군, 구) (병원 이름)
3
( )
<기억력(단기)>
나무, 그릇, 사과(1초에 한 가지씩 말한다)
환자에게 이 세 가지를 말하라고 한다(각 1점씩)
환자가 이 세 가지를 다 외울 때까지 반복한다(반복횟수).
5
( )
<집중력 및 계산력>
'100∼7'의 연속 5회 빼기를 한다(정답에 1점씩).
또는 '대한민국'을 거꾸로 외게 한다.
3
( )
<회상력>
기억력에서 이야기한 세 가지를 말하게 한다.
2
( )
<언어구사>
볼펜과 시계를 보여주고 이름을 말하게 한다.
1
( )
다음 말을 따라 하십시오, "간장 공장 공장장"(1점)
3
( )
3단계 지시 "오른손으로 종이를 잡아 반으로 접은 후 책상에 놓으시오"
1
( )
다음 글을 읽고 따라 하십시오. "눈을 감으세요"
1
( )
글을 한줄 쓰세요(뜻을 이루는 문장이면 1점, 단 철자법과 띄어쓰기의 잘못은 무시한다)
1
( )
겹쳐진 두 개의 5각형 그림을 보여주고 그리게 한다.
(두 개의 5각형이 겹쳐야 하며, 겹친 부위는 4각형을 이루어야 한다. 단, 선이 흔들리거나 도형의 회전은 무시한다)
총점
( )
③ 지각 및 인지능력
실인증 - 시각 실인증 : 물건을 보여주고 질문한다.
촉각 실인증 : 눈감고 만져서 물건을 확인한다.
일측성 시야 무시 : 찾기 검사(cancellation test) : Albert test(그림 5-3)
선 나누기(line bisection test) : Schenkenberg test(그림 5-4)
그리기와 모방하기(drawing and copying task)(그림 5-5, 5-6)
실행증 : 일상생활동작을 관찰한다.
컵, 칫솔 등 일상적인 생활용품 사용방법을 관찰한다.
모방하여 그리거나 만들게 하고 관찰한다.
추천자료
정신지체장애인의 사회심리적 재활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적용사례
[치매][치매노인][치매노인 대상 사회복지서비스 정책]치매 실태와 치매노인 대상 사회복지서...
[치매][치매노인][사회복지서비스프로그램]치매의 진단과 예방 및 치매노인을 위한 사회복지...
[치매][치매노인][치매노인][치매노인서비스][치매원인][치매예방][치매치료][노인성치매]치...
[치매][노인성치매][치매노인][치매증상][치매예방][치매치료][노인복지]치매의 원인 질환, ...
[치매][치매노인][치매치료][치매증상][치매검사][치매 치료제][노인성 치매]치매의 개념, 치...
기질적 정신장애
만성정신장애인 사례관리를 위한 자원연계방안
(의료사회사업론) 정신장애인과 가족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역할 보고서
치매성 노인의 케어(치매이해, 치매노인심리, 치매노인케어) PPT, 파워포인트
노인요양시설 입소 치매노인문제 상담사례를 노인복지실천과정 단계별로 세부적인 참고내용과...
[2016 노인복지론] 치매노인 가족 수발자 인터뷰 잔여적복지 노인돌봄에 있어서 가족과 치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