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보코프(Nabokov)의 롤리타(Lolita)에 관하여 [A++]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보코프(Nabokov)의 롤리타(Lolita)에 관하여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 Vladimir Vladimirovich Nabokov(1899-1977)에 대하여

2. 작품 Lolita의 줄거리

3. Nabokov의 Lolita에 나타난 Postmodern요소 분석

4. 작품 Lolita에 내포된 의미와 가치 및 평가

5. 작품 Lolita: 시간에 대한 거부를 통한 작품해설 및 Nabokov의 문학적 기법

6. 도덕과 욕망의 경계선 : Lolita Syndrome(롤리타 신드롬)
6.1. 명칭에 대한 정의
6.2. Lolita 그 파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속에 망명의 단절이 드러나고 있다고 했다. 이렇게 Nabokov의 망명의 단절을 험버트가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롤리타는 롤리타가 상징하는 시간, 즉 리얼리티는 포착할 수 없다는 메시지만 전달하는 시간잡기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나보코프는 후기 끝 부분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롤리타에서는 배울 게 하나도 없어 무의미하다고 말하는 신사 양반들도 있다. 나는 교훈적인 픽션을 읽지도 않고 쓰지도 않는다. 그리고 존 레이가 주장하고 있기는 하지만, 롤리타 속에는 어떤 끌릴만한 도덕성은 없다. 간단히 말해 내게 픽션은 미학적 지복을 주는 한 존재한다. 그건 어떤 의미에서 예술(호기심, 부드러움, 친절, 황홀함)이 기준이 되는 다른 상태들과 어떻게든, 어디서든 연결된다. 그런 책들은 많지 않다.
자신의 책이 미학적 지복을 주는 한 존재한다고 나보코프는 말한다. 황홀, 호기심, 부드러움, 친절을 주는 책이 그가 말하는 미학적 지복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황홀, 호기심은 이해되지만, 어떻게 해야 책이 부드러움과 친절을 줄 수 있겠는가? 롤리타의 마지막은 이렇게 장식되어 있다.
사람은 험버트 험버트가 몇 달이라도 더 살기를 원했다. 험버트가 너를 후세대 사람들의 마음속에 살 수 있게 하기 위해 나는 들소와 천사들, 오래가는 그림물감의 비밀, 예언적인 소네트, 그리고 예술이라는 피난처를 생각한다. 그리고 이것이 너와 내가 나눌 수 있는 단 하나의 불멸성이란다, 나의 롤리타여.
One wanted H. H. to exist at least a couple of months longer, so as to have him make you live in the minds of later generations. I am thinking of aurochs and angels, the secret of durable pigments, prophetic sonnets, the refuge of art. And this is the only immortality you and I may share, my Lolita.
자신의 죽음을 확신하고 있는 험버트는 영원불멸을 원한다. 어떤 리얼리티의 재생도 믿지 않는 나보코프에게 무엇이 영원불멸하단 말인가? 그것은 바로 책이다. 작가 자신의 의식적 존재가 들어간 책은 바로 자기이다. “과거는 나의 이중자아이다”라고 말한 나보코프가 담고 싶은 과거를 담고 있는 롤리타는 그에게 부드러움과 친절을 줄 수 있는 나보코프 자신이다. 그것은 영원불멸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그의 이동은 시작될 것이다.
모든 것은 있어야 할 곳에 있고, 어떤 것도 변하지 않을 것이고, 누구도 죽지 않을 것이다.
Everything is as it should be, nothing will ever change, nobody will ever die.
나보코프가 말하는 “모든 것은 있어야 할 곳에 있고, 어떤 것도 변하지 않을 것이고, 누구도 죽지 않을 것이다”라는 것은 그 속에 시간이 없다. 시간은 그에게 모든 것의 추구를 막는 최대의 벽이고 경계선이다. 이처럼 그는 시간, 즉 지상의 것에 대해 저항하고 있다. 결국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자신에게 주어진 모든 것에 대해 저항하고 있는 셈이다.
6. 도덕과 욕망의 경계선 : Lolita Syndrome
6.1. 명칭에 대한 정의
스웨덴 룬트 대학의 전자 도서관에서는 로리타에 관한 명칭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의를 내리고 있다.
1. 로리타 신드롬 : 중년 남성의 사춘기도 안 된 소녀에 대한 성적 욕망
2. 로리타 콤플렉스 : 나이 어린 소녀에 대한 불건전한 욕망
3. 로리 망가 : H류(변태를 뜻하는 일본어 ‘헨타이:ヘんたい’의 영어발음 중 첫글자 H를 따서 H류라고 부름)의 만화 중 어린소녀에 대한 비정상적인 애정을 다룬 것을 ‘로리 망가’라고 부른다.
4. 님펫: 로리타의 주인공 험버트는 이 단어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9살에서 14살의 나이에, 인간이 아닌 요정의(즉, 악마 같은) 본성을 드러내면서, 그들의 나이보다 2배가 많거나 아니면 몇 배나 나이 많은 여행자들을 매혹시킨 소녀들이 있었다. 난 이런 선택받은 존재들을 ‘님펫’이라고 이름 붙이고 싶다.’
오늘날 이 단어는 ‘매력적인 젊은 여성’을 뜻하는 말로 마구 사용되고 있다. 님펫의 중요한 특징(아직 사춘기도 안 된 소녀)을 무시하면서 말이다.
6.2. Lolita 그 파장
Nabokov는 1954년 롤리타를 완성하고, 올림피아 출판사가 이 작품을 1955년 프랑스 파리에서 첫 출판했다. 미국 세관은 이 책의 수입을 받아들였으나, 영국에서는 금지되었다. 1956년 프랑스에서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판금되었으나, 미국은 이 책에 대해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로리타는 프랑스에서 합법적으로 수출될 수 없었지만, 밀반출된 책들이 미국으로 합법적으로 들어왔다. 1959년 아르헨티나 법원은 이 책을 금서로 선언하면서, 노골적인 구절들 때문에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작품이 도덕의 파탄과 인간성에 대한 모독을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1960년 뉴질랜드 대법원은 이 책을 금서로 선언했다.
한편 미국에서는 1955년, 그레이햄 그린이 로리타에 대해 찬사를 보낸 것에 대해 논쟁이 벌어졌다. 1956년 미국의 출판업자들은 이 책을 출판할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지만 1958년, 마침내 미국의 푸트남 출판사에 의해 출판되었다.
<참고문헌>
- V. 나보코프 소설의 인공적 자아만들기ㅡ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길동, 2001.
- Vladimir Nabokov소설의 포스트모던 요소연구ㅡ Reader-Response Criticism이론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원각, 1993.
- Nabokov의 Lolita연구 :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숙, 2002.
- 로리타 Lolitaㅡ http//my. dreamwiz.com/karl21/book-7.htm
- 도덕과 욕망의 경계선, 로리타 신드롬ㅡ http://ww1485.daum.net/Mail-bin/send_mail.frame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4.2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2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