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일전쟁과 국제관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러일전쟁과 국제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정부의 방침은 ‘만주에서 미국의 안전하게 보호된다면 미국은 일본의 한국 병합까지도 신경 쓰지 않는다.’였다. 하지만 러-일 전쟁 후 일본은 만주 문호개방 약속을 어기자 이에 강력히 항의 하였다. 일본은 ‘한반도라는 주권선 보호를 위해 이익선(만주)를 지켜야 한다.’며 만주에서의 권익보호에 사활을 걸었고 이 목적은 만주에서의 러시아의 이해와 연결되어 러-일 연합 전선을 구축하여 미국을 몰아내고 미국은 이에 동아시아에서의 이권획득의 움직임을 멈춘다.
러시아
러시아는 한국 병합 문제만으로 한정한다면, 일본에게 시종일관 견제 역할을 한 유일한 나라였다. 하지만 러-일전쟁 실패 후 이즈볼스키 외상이 러시아의 진출 방향을 아시아에서 발칸으로 전환하고 미국의 만주 침투 공세에 대항하여 러-일 공동전선을 펼치면서 일본의 양해에 따라 일본의 한국 병합에 동의했다.
프랑스&영국
프랑스는 일본과는 협상 관계, 러시아와는 동맹 관계여서 자국의 이익에 따라 일본의 한국병합에 이의를 제의하지 않았다. 영국은 일찍부터 영-일 동맹을 통해 한국의 병합에 반대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하였으며 단지 자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병합 이후 한국에서의 자국 물품 관세율 고정만을 요구했다.
이로써 일본은 한국병합에 걸림돌이 되는 러시아와의 만주문제를 해결하고 열강들의(영국, 프랑스의 묵인)과 외교적 지원(제2차 러-일 협약을 통해 미국을 만주에서 몰아내는 것)아래 1910년 8월 전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참고문헌
임종국,『또 망국을 할 것인가』, 아세아문화사, 1995.
최문형,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병합』지식산업사 2004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4.21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