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정부의 방침은 ‘만주에서 미국의 안전하게 보호된다면 미국은 일본의 한국 병합까지도 신경 쓰지 않는다.’였다. 하지만 러-일 전쟁 후 일본은 만주 문호개방 약속을 어기자 이에 강력히 항의 하였다. 일본은 ‘한반도라는 주권선 보호를 위해 이익선(만주)를 지켜야 한다.’며 만주에서의 권익보호에 사활을 걸었고 이 목적은 만주에서의 러시아의 이해와 연결되어 러-일 연합 전선을 구축하여 미국을 몰아내고 미국은 이에 동아시아에서의 이권획득의 움직임을 멈춘다.
러시아
러시아는 한국 병합 문제만으로 한정한다면, 일본에게 시종일관 견제 역할을 한 유일한 나라였다. 하지만 러-일전쟁 실패 후 이즈볼스키 외상이 러시아의 진출 방향을 아시아에서 발칸으로 전환하고 미국의 만주 침투 공세에 대항하여 러-일 공동전선을 펼치면서 일본의 양해에 따라 일본의 한국 병합에 동의했다.
프랑스&영국
프랑스는 일본과는 협상 관계, 러시아와는 동맹 관계여서 자국의 이익에 따라 일본의 한국병합에 이의를 제의하지 않았다. 영국은 일찍부터 영-일 동맹을 통해 한국의 병합에 반대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하였으며 단지 자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병합 이후 한국에서의 자국 물품 관세율 고정만을 요구했다.
이로써 일본은 한국병합에 걸림돌이 되는 러시아와의 만주문제를 해결하고 열강들의(영국, 프랑스의 묵인)과 외교적 지원(제2차 러-일 협약을 통해 미국을 만주에서 몰아내는 것)아래 1910년 8월 전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참고문헌
임종국,『또 망국을 할 것인가』, 아세아문화사, 1995.
최문형,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병합』지식산업사 2004
러시아
러시아는 한국 병합 문제만으로 한정한다면, 일본에게 시종일관 견제 역할을 한 유일한 나라였다. 하지만 러-일전쟁 실패 후 이즈볼스키 외상이 러시아의 진출 방향을 아시아에서 발칸으로 전환하고 미국의 만주 침투 공세에 대항하여 러-일 공동전선을 펼치면서 일본의 양해에 따라 일본의 한국 병합에 동의했다.
프랑스&영국
프랑스는 일본과는 협상 관계, 러시아와는 동맹 관계여서 자국의 이익에 따라 일본의 한국병합에 이의를 제의하지 않았다. 영국은 일찍부터 영-일 동맹을 통해 한국의 병합에 반대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하였으며 단지 자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병합 이후 한국에서의 자국 물품 관세율 고정만을 요구했다.
이로써 일본은 한국병합에 걸림돌이 되는 러시아와의 만주문제를 해결하고 열강들의(영국, 프랑스의 묵인)과 외교적 지원(제2차 러-일 협약을 통해 미국을 만주에서 몰아내는 것)아래 1910년 8월 전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참고문헌
임종국,『또 망국을 할 것인가』, 아세아문화사, 1995.
최문형,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병합』지식산업사 2004
추천자료
2000년의 시점에서 본 국제관계의 변화와 연속성
한반도의 진정한 자유를 위한 길 -나탄 샤란스키의 ‘민주주의를 말한다’와 현 대북 국제관계...
분단한반도를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각-국제관계의 이해
제2차 세계대전이 현대 국제관계에 미친 영향
일본과 러시아의 영토분쟁 국제관계
1900년 이후 중요 전쟁 ( 러일전쟁, 제1차세계대전, 발칸전쟁, 제2차세계대전, 중일전쟁, 태...
산성비에 대한 대책 및 국제관계
북한 사회의 형성, 체재, 특징, 구조적 문제점, 국제관계, 북한 미래 전망, 관리, 역할, 기법...
동북아 영토분쟁, 일본 교과서 왜곡, 동북아 국제관계 특징, 현황, 관리, 시사점, 총체적 조...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이 한반도에 미친 영향
우리 눈으로 바라본 서방의 국제관계학
[동북아]동북아(동북아시아) 군사정세, 동북아(동북아시아) 시대정신, 동북아(동북아시아) 안...
칠레- 투자환경,경제동향 및 정책,국제관계,정치동향,노무제도,칠레 교역 및 투자 확대,칠레...
한반도 통일담론 -통일한국에 따른 미국, 일본과의 국제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