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한국의 초등 및 초등 과학 교육과정
2.미국의 초·중등 과학 교육과정
3.캘리포니아 주 학습기준 위주의 초·중등 교육과정 운영
Ⅱ.본론
1.초등 과학 교육 목표
1.1한국 초등 과학 교육 목표 변천
1.2미국 초등 과학 교육 목표 변천
2.초등 과학 교육 내용 체계
2.1한국의 초등과학 내용 체계
2.2 미국의 초등과학 내용 체계
3.초등 과학과의 평가
3.1한국의 초등 과학과의 평가
3.2미국의 초등 과학과의 평가
4.현재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4.1한국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4.2미국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Ⅲ. 결론
*참고문헌 및 사이트
1.한국의 초등 및 초등 과학 교육과정
2.미국의 초·중등 과학 교육과정
3.캘리포니아 주 학습기준 위주의 초·중등 교육과정 운영
Ⅱ.본론
1.초등 과학 교육 목표
1.1한국 초등 과학 교육 목표 변천
1.2미국 초등 과학 교육 목표 변천
2.초등 과학 교육 내용 체계
2.1한국의 초등과학 내용 체계
2.2 미국의 초등과학 내용 체계
3.초등 과학과의 평가
3.1한국의 초등 과학과의 평가
3.2미국의 초등 과학과의 평가
4.현재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4.1한국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4.2미국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Ⅲ. 결론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는 않았다.
4.2 미국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미국은 초중등 수학, 과학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아이젠하우어 지역 수학, 과학 교육 협회(Eisenhower Reg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Consortia)를 두고 있다.
· 목적 purpose
아이젠하우어 수학, 과학 교육 협회 프로그램은 미국 전체의 수학, 과학 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 개의 지역 서비스로 구성된다. 열 개의 지역 서비스 협회는 다음과 같은 일들을 하고 있다.
① 미국 초, 중등학교 학생들, 교사들, 행정가들이 이용하는 교육 방법 구현과 교육 기자재 평가를 위한 기술적 지원
② 모범적인 수학, 과학 교육 자료 보급
③ 지역적, 국가적 차원에서 수학, 과학 교육 자원의 네트워크 형성
열 개의 지역 협회는 아이젠하우어 국가 정보센터(Eisenhower National Clearinghouse)와 협력하여 자원들을 공유하고 미 전역에 걸쳐 학교들 간에 이러한 자원들을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협회가 지원하는 일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실전적 과학 교과 과정, 수학과 과학 컨텐츠의 통합, 협력 학습, 대안적 성적 평가 이용에 있어서의 전문성 발달 제공, 컴퓨터 통신망을 통한 전문성 발달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각 주들과 학교 교육구가 교과 과정의 전체적인 구조와 수행 기준, 평가 방법을 발달, 조정, 구현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기. 이밖에도 협회는 교육자들, 정책가들과 일반인들이 교수(teaching)와 학습(learning)에 관련된 연구들을 이해하는 것을 도와준다.
· 수행 Performance
2003년 평가한 아이젠하우어 협회 프로그램에 의한 수행 향상 정도는 보고서에 다음과 같이 나타나 있다. “기술 지원과 보급을 통한 수학, 과학 교육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세부적으로 수업 계획, 훈련, 협력과 네트워킹 활성화 등과 관련된 양질의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 프로그램에 의해 80퍼센트 이상의 수혜자가 협회의 도움으로 작업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 다른 하부 목표였던 수학, 과학 교육에 있어서의 발전적이고 모범적인 활동들에 관한 정보 보급에 대해서, 협회와 접촉하는 고객 수가 매년 10퍼센트씩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협회에서 제공하는 정보로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보고하였다.
Ⅲ. 결론
앞서 우리는 한국의 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전반적인 과학 교육과 캘리포니아 주의 학년 체계에 따른 내용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과학 교육의 목표 면에서는 한국에서는 과학적 내용 지식을 탐구 과정을 통해 습득하였는가와 올바른 자연관이라는 정의적 목표를 제시하는 반면, 미국의 경우는 그러한 과학적 문해력 (science literacy)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가를 강조하는 면이 첨가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내용 체계는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의 네 영역으로 되어 있는 반면,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경우는 다양한 과학적인 원리들-생명 과학, 지구 과학, 그리고 물리 과학을 통하여 과학적 개념의 이치를 통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주제들은 교사들에게 단순한 사실의 집합 이상의 과학을 만들 수 있는 교수 도구를 인도하는 뼈대를 제공한다. 또한 큰 학습 주제 체계(Systems), 지속성과 변화(Constancy and Change), 모형(Models), 규모(Scale)
와 개념 생명과학-생명은 다양하다.
물리과학-물질과 에너지는 변화하지만 파괴되지는 않는다.
지구과학-우주 안의 지구는 지속적으로 변한다.
을 제시함으로써 전체 과학 교육이 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데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1970년대 중반까지 지속되어온 학문중심교육은 여러 면에서 비판을 받게 되었다. 과학자나 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학문적 기초만을 강조하여왔기 때문에 과학교육의 실질적 목적, 즉, 일반인의과학적 교양을 묵살하고 그 탄력성을 상실하였다는 것이다. 본래 기초 과학교육의 목적은 우수한 과학자나 기술자를 양성하는 데 있기보다는 모든 사회구성원인 보통 시민을 위한 과학지식을 이해하고 그것을 실용화 할 수 있는 구성원을 육성하는 데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1980년대부터 새로운 과학교육의 일환으로 영국에서 SATIS(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미국에서 STS등 여러 나라에서 개발되기 시작하는 등 세계 과학 교육과정은 학문적 지식 뿐 만 아니라 실용성의 습득도 균형 있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학생들이나 일반인들의 많은 수는 ‘과학은 어렵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과학의 개념 습득에 치우친 학습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과학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이러한 편견을 깨뜨릴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목표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교육부(199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과학 교과서, 서울;교육부
http://www.cde.ca.gov/cfir/science
http://www.cde.ca.gov/re/pn/fd/sci-framework
http://www.ed.gov/offices/OERI/ORAD/KAD/expert_panel/newscience_progs.html
http://www.ed.gov/programs/encconsortia/index.html
http://www.moe.go.kr/bbs/board
*목 차
Ⅰ.서론
1.한국의 초등 및 초등 과학 교육과정
2.미국의 초·중등 과학 교육과정
3.캘리포니아 주 학습기준 위주의 초·중등 교육과정 운영
Ⅱ.본론
1.초등 과학 교육 목표
1.1한국 초등 과학 교육 목표 변천
1.2미국 초등 과학 교육 목표 변천
2.초등 과학 교육 내용 체계
2.1한국의 초등과학 내용 체계
2.2 미국의 초등과학 내용 체계
3.초등 과학과의 평가
3.1한국의 초등 과학과의 평가
3.2미국의 초등 과학과의 평가
4.현재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4.1한국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4.2미국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Ⅲ. 결론
*참고문헌 및 사이트
4.2 미국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미국은 초중등 수학, 과학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아이젠하우어 지역 수학, 과학 교육 협회(Eisenhower Reg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Consortia)를 두고 있다.
· 목적 purpose
아이젠하우어 수학, 과학 교육 협회 프로그램은 미국 전체의 수학, 과학 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 개의 지역 서비스로 구성된다. 열 개의 지역 서비스 협회는 다음과 같은 일들을 하고 있다.
① 미국 초, 중등학교 학생들, 교사들, 행정가들이 이용하는 교육 방법 구현과 교육 기자재 평가를 위한 기술적 지원
② 모범적인 수학, 과학 교육 자료 보급
③ 지역적, 국가적 차원에서 수학, 과학 교육 자원의 네트워크 형성
열 개의 지역 협회는 아이젠하우어 국가 정보센터(Eisenhower National Clearinghouse)와 협력하여 자원들을 공유하고 미 전역에 걸쳐 학교들 간에 이러한 자원들을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협회가 지원하는 일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실전적 과학 교과 과정, 수학과 과학 컨텐츠의 통합, 협력 학습, 대안적 성적 평가 이용에 있어서의 전문성 발달 제공, 컴퓨터 통신망을 통한 전문성 발달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각 주들과 학교 교육구가 교과 과정의 전체적인 구조와 수행 기준, 평가 방법을 발달, 조정, 구현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기. 이밖에도 협회는 교육자들, 정책가들과 일반인들이 교수(teaching)와 학습(learning)에 관련된 연구들을 이해하는 것을 도와준다.
· 수행 Performance
2003년 평가한 아이젠하우어 협회 프로그램에 의한 수행 향상 정도는 보고서에 다음과 같이 나타나 있다. “기술 지원과 보급을 통한 수학, 과학 교육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세부적으로 수업 계획, 훈련, 협력과 네트워킹 활성화 등과 관련된 양질의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 프로그램에 의해 80퍼센트 이상의 수혜자가 협회의 도움으로 작업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 다른 하부 목표였던 수학, 과학 교육에 있어서의 발전적이고 모범적인 활동들에 관한 정보 보급에 대해서, 협회와 접촉하는 고객 수가 매년 10퍼센트씩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협회에서 제공하는 정보로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보고하였다.
Ⅲ. 결론
앞서 우리는 한국의 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전반적인 과학 교육과 캘리포니아 주의 학년 체계에 따른 내용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과학 교육의 목표 면에서는 한국에서는 과학적 내용 지식을 탐구 과정을 통해 습득하였는가와 올바른 자연관이라는 정의적 목표를 제시하는 반면, 미국의 경우는 그러한 과학적 문해력 (science literacy)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가를 강조하는 면이 첨가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내용 체계는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의 네 영역으로 되어 있는 반면,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경우는 다양한 과학적인 원리들-생명 과학, 지구 과학, 그리고 물리 과학을 통하여 과학적 개념의 이치를 통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주제들은 교사들에게 단순한 사실의 집합 이상의 과학을 만들 수 있는 교수 도구를 인도하는 뼈대를 제공한다. 또한 큰 학습 주제 체계(Systems), 지속성과 변화(Constancy and Change), 모형(Models), 규모(Scale)
와 개념 생명과학-생명은 다양하다.
물리과학-물질과 에너지는 변화하지만 파괴되지는 않는다.
지구과학-우주 안의 지구는 지속적으로 변한다.
을 제시함으로써 전체 과학 교육이 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데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1970년대 중반까지 지속되어온 학문중심교육은 여러 면에서 비판을 받게 되었다. 과학자나 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학문적 기초만을 강조하여왔기 때문에 과학교육의 실질적 목적, 즉, 일반인의과학적 교양을 묵살하고 그 탄력성을 상실하였다는 것이다. 본래 기초 과학교육의 목적은 우수한 과학자나 기술자를 양성하는 데 있기보다는 모든 사회구성원인 보통 시민을 위한 과학지식을 이해하고 그것을 실용화 할 수 있는 구성원을 육성하는 데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1980년대부터 새로운 과학교육의 일환으로 영국에서 SATIS(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미국에서 STS등 여러 나라에서 개발되기 시작하는 등 세계 과학 교육과정은 학문적 지식 뿐 만 아니라 실용성의 습득도 균형 있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학생들이나 일반인들의 많은 수는 ‘과학은 어렵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과학의 개념 습득에 치우친 학습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과학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이러한 편견을 깨뜨릴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목표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교육부(1999).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과학 교과서, 서울;교육부
http://www.cde.ca.gov/cfir/science
http://www.cde.ca.gov/re/pn/fd/sci-framework
http://www.ed.gov/offices/OERI/ORAD/KAD/expert_panel/newscience_progs.html
http://www.ed.gov/programs/encconsortia/index.html
http://www.moe.go.kr/bbs/board
*목 차
Ⅰ.서론
1.한국의 초등 및 초등 과학 교육과정
2.미국의 초·중등 과학 교육과정
3.캘리포니아 주 학습기준 위주의 초·중등 교육과정 운영
Ⅱ.본론
1.초등 과학 교육 목표
1.1한국 초등 과학 교육 목표 변천
1.2미국 초등 과학 교육 목표 변천
2.초등 과학 교육 내용 체계
2.1한국의 초등과학 내용 체계
2.2 미국의 초등과학 내용 체계
3.초등 과학과의 평가
3.1한국의 초등 과학과의 평가
3.2미국의 초등 과학과의 평가
4.현재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4.1한국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4.2미국 초등 과학 교육의 방향
Ⅲ. 결론
*참고문헌 및 사이트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과정 이론의 확립
북한의 교육이념과 교육목표,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교육특성과 보통교육, 북한 인민학...
수학과(수학교육) 교육중점, 수학과(수학교육) 교육목표,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교과...
국어과(국어교육) 교육중점, 국어과(국어교육) 교육방향,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내용체...
초등학교 3학년 학생특성, 초등학교 3학년 교육목표, 초등학교 3학년 교과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교육성격과 교육방향, 초등학교 3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실태, 초등학교 3...
초등학교 6학년의 성장발달특징과 교육목표, 초등학교 6학년의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시간배당...
초등학교(초등교육)의 교육특성과 교육목표, 초등학교(초등교육)의 시간배당, 초등학교(초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방향,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수업구성방향, 초등학교 영...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의미와 교육목표,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현황, 초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성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생특성을 반영한 교육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교육목표와 교육배경,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내용, 초등...
초등학교(초등교육)의 교육목표와 교육특징, 초등학교(초등교육)와 열린교육, 초등학교(초등...
누리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누리과정의 전개방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