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냉전기 분쟁의 특성
탈냉전기 분쟁의 특성
정체성 대상의 변화
결론
본론
냉전기 분쟁의 특성
탈냉전기 분쟁의 특성
정체성 대상의 변화
결론
본문내용
양한 종교와 다양한 문화가 존재한다. 이러한 수를 헤아리는 것은 무모한 일일 것이다. 이 무수히 많은 인종, 종교, 문화의 각각의 분쟁관계를 따져보는 것 또한 그 무수함으로 인해 의미가 없을 것이다.
Ⅲ. 결 론
탈냉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분쟁의 특성을 고려한 해결책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분쟁해결을 위한 일관된 해결책은 실효성도 떨어지며 무모할 뿐이다. 분쟁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을 투사하기 위해서는 국제기구의 활용이 아마도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위에서도 설명 했지만 탈냉전 시대에는 국제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역할 또한 증대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것은 그만큼 국제기구가 분쟁해결을 위한 어느 정도의 실효성을 인정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국제기구는 한 국가에 의해 정책이 결정되어 지지 않는다. 국제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회원국들의 합의를 통해 정책이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일관된 정책의 오류를 피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또한 국제기국는 각 지역의 이익을 대변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EU, AU가 그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따라서 해당 지역의 국제기구는 그 지역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좋은 정책을 입안할 수 있다.
국제사회에서 대표적인 국제기구로는 UN을 들 수 있다. 그 규모면에서도 그리고 그 활동 면에서도 UN은 국제사회에서 가장 큰 역할을 수정하고 있다. 하지만 UN에 의해서만 앞으로의 모든 국제분쟁 문제를 해결 할 수는 없다. UN이외의 추가적인 국제기구의 등장이 필요하다. 다행히도 위에서도 설명했지만 이러한 국제기구의 등장은 증가추세에 있다고 했다. NATO, EU, AU등이 그 예이다. 하지만 이런 기구 또한 독립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한다면 그 기능의 한계는 금방 찾아올 것이다. 따라서 국제기구간의 협력 증진이 요구된다. 특히 국제사회에서 가장 큰 효율을 발휘하고 있는 UN과의 연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각 국제기구들의 통합된 노력의 발휘로 세계 어느 곳에서 발생할지 모르는 - 실제로는 역사적 사건에 의해 예측 가능하지만- 국제분쟁을 해결 가능할 것이다. 이것은 전쟁과 평화라는 국제관계학의 숙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는 없겠지만 숙제의 일부분을 완성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박광희 편, 「21세기 세계질서」, 서울:오름, 2003.
2. 프랜시스 후쿠야마, 이상훈 역, 「역사의 종말」, 서울:한마음사, 1995.
3. 조지프 나이프, 양준희 역, 「국제분쟁의 이해:이론과 역사」, 서울:한울, 2000.
4. 윤현근, “국제정치와 인종문제”, 국방대학교 교수연구보고서, 1997.
5. 박익성, “탈냉전시대의 평화활동에서 지역기구의 역할 증대요인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6. 오성대, “탈냉전 시대의 국가안보:러시아-체첸분쟁의 원인과 종식노력을 중심으로”, 국방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7. 김동엽, “탈냉전기 미국의 세계패권 전략-클린턴 행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국방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Ⅲ. 결 론
탈냉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분쟁의 특성을 고려한 해결책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분쟁해결을 위한 일관된 해결책은 실효성도 떨어지며 무모할 뿐이다. 분쟁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을 투사하기 위해서는 국제기구의 활용이 아마도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위에서도 설명 했지만 탈냉전 시대에는 국제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역할 또한 증대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것은 그만큼 국제기구가 분쟁해결을 위한 어느 정도의 실효성을 인정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국제기구는 한 국가에 의해 정책이 결정되어 지지 않는다. 국제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회원국들의 합의를 통해 정책이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일관된 정책의 오류를 피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또한 국제기국는 각 지역의 이익을 대변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EU, AU가 그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따라서 해당 지역의 국제기구는 그 지역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좋은 정책을 입안할 수 있다.
국제사회에서 대표적인 국제기구로는 UN을 들 수 있다. 그 규모면에서도 그리고 그 활동 면에서도 UN은 국제사회에서 가장 큰 역할을 수정하고 있다. 하지만 UN에 의해서만 앞으로의 모든 국제분쟁 문제를 해결 할 수는 없다. UN이외의 추가적인 국제기구의 등장이 필요하다. 다행히도 위에서도 설명했지만 이러한 국제기구의 등장은 증가추세에 있다고 했다. NATO, EU, AU등이 그 예이다. 하지만 이런 기구 또한 독립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한다면 그 기능의 한계는 금방 찾아올 것이다. 따라서 국제기구간의 협력 증진이 요구된다. 특히 국제사회에서 가장 큰 효율을 발휘하고 있는 UN과의 연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각 국제기구들의 통합된 노력의 발휘로 세계 어느 곳에서 발생할지 모르는 - 실제로는 역사적 사건에 의해 예측 가능하지만- 국제분쟁을 해결 가능할 것이다. 이것은 전쟁과 평화라는 국제관계학의 숙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는 없겠지만 숙제의 일부분을 완성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박광희 편, 「21세기 세계질서」, 서울:오름, 2003.
2. 프랜시스 후쿠야마, 이상훈 역, 「역사의 종말」, 서울:한마음사, 1995.
3. 조지프 나이프, 양준희 역, 「국제분쟁의 이해:이론과 역사」, 서울:한울, 2000.
4. 윤현근, “국제정치와 인종문제”, 국방대학교 교수연구보고서, 1997.
5. 박익성, “탈냉전시대의 평화활동에서 지역기구의 역할 증대요인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6. 오성대, “탈냉전 시대의 국가안보:러시아-체첸분쟁의 원인과 종식노력을 중심으로”, 국방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7. 김동엽, “탈냉전기 미국의 세계패권 전략-클린턴 행정부 시기를 중심으로”, 국방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추천자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과 법적 해결방안
세계화와 민족주의(부제 : 세계분쟁의 실상과 향후전망에 대한 논의)
한.일 독도 영유권 분쟁에 관한 고찰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과 독도영유권 분쟁에 따른 고찰
남사군도 영유권 분쟁과 중국&#8228;동아시아 특성에 관한 연구
(중동전쟁) 코소보 분쟁의 원인과 실태 및 세계에 미치는 영향
WTO의 개요와 분쟁해결양해와 한계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고전적 현실주의 관점에서)
[법과사회]사회 내의 분쟁처리 형태에 관한 고찰
한, 중 간의 간도영유권 분쟁에 대하여
내국민 대우 분쟁 사례
한일간 독도영유권 분쟁의 실태와 그 대응방안
[ADR] ADR(대체적분쟁해결)의 유형과 특성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 학습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