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한다는 것 정체성과 문화적 코드
2. 탈노동사회로서 문화사회 담론의 지형
3. 근대노동체제, 생활양식, 주 5일 근무제와 사회적 소통
4. 사회성의 새로운 문화적 형식에 대한 추구
5. 토론
2. 탈노동사회로서 문화사회 담론의 지형
3. 근대노동체제, 생활양식, 주 5일 근무제와 사회적 소통
4. 사회성의 새로운 문화적 형식에 대한 추구
5. 토론
본문내용
1. 일한다는 것 정체성과 문화적 코드
* - 노동은 사회적 리듬, 관계와 정체성을 엮어주고 구성하는 핵심적 수단이다.
- 일과 일의 장소를 바라보는 사회적인 문화코드가 있고, 그에 해당하는 정체성이 있으며, 그것들은 또한 변화한다.
자신의 직업이 그 사람의 정체성을 결정짓는다.
* - 20~30대일수록 일보다 여가를 선호하는 비중이 높다.
- 주 5일제가 널리 시행되면 10년 후쯤에는 여가문화의 모습이 많이 바뀔 것이다.
현재의 30대는 90년대의 X세대, 20대는 2000년대의 N세대로 이들은 기성세대와 다른 가치관을 추구하며, 그 중 하나가 여가 선호의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 - 주 5일제는 노동시간 축소의 관점보다 여가에 대한 권리 요구 측면에서 보아야 한다.
- 주 5일제는 노동중심 사회에서 문화중심 사회로 옮겨가는 이정표가 될 수 있을까?
주 5일제는 주당 40시간 노동을 규정짓는 제도로 개인의 삶에서 여가 시간을 늘려줄 것으로 기대된다.
* - 노동은 사회적 리듬, 관계와 정체성을 엮어주고 구성하는 핵심적 수단이다.
- 일과 일의 장소를 바라보는 사회적인 문화코드가 있고, 그에 해당하는 정체성이 있으며, 그것들은 또한 변화한다.
자신의 직업이 그 사람의 정체성을 결정짓는다.
* - 20~30대일수록 일보다 여가를 선호하는 비중이 높다.
- 주 5일제가 널리 시행되면 10년 후쯤에는 여가문화의 모습이 많이 바뀔 것이다.
현재의 30대는 90년대의 X세대, 20대는 2000년대의 N세대로 이들은 기성세대와 다른 가치관을 추구하며, 그 중 하나가 여가 선호의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 - 주 5일제는 노동시간 축소의 관점보다 여가에 대한 권리 요구 측면에서 보아야 한다.
- 주 5일제는 노동중심 사회에서 문화중심 사회로 옮겨가는 이정표가 될 수 있을까?
주 5일제는 주당 40시간 노동을 규정짓는 제도로 개인의 삶에서 여가 시간을 늘려줄 것으로 기대된다.
추천자료
윌 허튼의 '기로에 선 자본주의'를 읽고
사랑과 사치와 자본주의를 읽고
[독후감] 에밀뒤르켐 자살론
[우수 평가 자료]티핑 포인트 독후감- 개인적인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A+ 평가 독후감]만들어진 신 독후감.- 핵심내용 분석과 개인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 를 읽고
유럽의 기업문화와 이문화 관리를 읽고
자본주의의 아비투스 [알제리의 모순]
[독후감]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_ 미치 앨봄 (Mitch Albom) 저
[독후감] 찰스 다윈(Charles Robert Darwin)의 <비글호 항해기(The Voyage of the Beagle)>를...
[독후감] ‘부부 리모델링’을 읽고
『자살론 (Le Suicide)』을 읽고 _ 에밀 뒤르켐(&Eacute;mile Durkheim/Emile Durkheim) 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고전 주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3- 낭만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