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표조의 주요 논지
2. 영화 속 행복의 기준이 현실 속 행복의 기준으로....
3. 피오나의 조건
4. 슈렉이 다른 동화와 다르다고 할 수 있나?
5. 슈렉의 모습이 바뀌면 마음도 바뀌나?
6. ‘그 자체’ 의 기준은 무엇인가.
7. 자발적인 선택이 행복으로 이어졌는가?
8. 사랑 = 행복 의 등식은 성립하는가?
9. 결론
2. 영화 속 행복의 기준이 현실 속 행복의 기준으로....
3. 피오나의 조건
4. 슈렉이 다른 동화와 다르다고 할 수 있나?
5. 슈렉의 모습이 바뀌면 마음도 바뀌나?
6. ‘그 자체’ 의 기준은 무엇인가.
7. 자발적인 선택이 행복으로 이어졌는가?
8. 사랑 = 행복 의 등식은 성립하는가?
9. 결론
본문내용
느꼈지 그대로의 모습에서 행복을 느낀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위의 결론을 피오나의 행복에서 비롯된 기준으로 말한 것 같은데 그렇게 되면 결론이 ‘진정한 행복은’ 이 아니라 ‘진정한 사랑은 꾸미고 포장하는 것이 아닌 자기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나타낸 그 안에서 발견할 수 있고 비로서 우리는 그 안에서 행복 또한 발견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로 나타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9. 결론
결론을 어떻게 내려야 할지 참 많은 고민을 했다. ‘어떤 것이 행복한 것인가’ 로 결론을 내려야 할지, ‘사랑은 어디서 찾을 수 있는가’ 로 결론을 내려야 할지 ‘사랑이 사랑만 가지고 될 수 있는가’ 로 결론을 내려야 할지 ‘피오나와 슈렉이 행복한 이유는 ‘그 자체’ 뿐만이 아니였다 ’ 라는 것을 가지고 내려야 할지 말이다.
그러나 발표문에서 주된 내용으로 다루어 졌던 ‘ 피오나와 슈렉이 행복한 이유’ 에 대해서 결론을 내리도록 하자.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피오나와 슈렉이 행복했던 이유는 그들 그 자체의 모습으로 서로 사랑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 자체의 모습뿐만이 아니라 또 다른 이유(예를 들면 환경적 요소)가 있었기 때문에 행복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위의 결론을 피오나의 행복에서 비롯된 기준으로 말한 것 같은데 그렇게 되면 결론이 ‘진정한 행복은’ 이 아니라 ‘진정한 사랑은 꾸미고 포장하는 것이 아닌 자기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나타낸 그 안에서 발견할 수 있고 비로서 우리는 그 안에서 행복 또한 발견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로 나타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9. 결론
결론을 어떻게 내려야 할지 참 많은 고민을 했다. ‘어떤 것이 행복한 것인가’ 로 결론을 내려야 할지, ‘사랑은 어디서 찾을 수 있는가’ 로 결론을 내려야 할지 ‘사랑이 사랑만 가지고 될 수 있는가’ 로 결론을 내려야 할지 ‘피오나와 슈렉이 행복한 이유는 ‘그 자체’ 뿐만이 아니였다 ’ 라는 것을 가지고 내려야 할지 말이다.
그러나 발표문에서 주된 내용으로 다루어 졌던 ‘ 피오나와 슈렉이 행복한 이유’ 에 대해서 결론을 내리도록 하자.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피오나와 슈렉이 행복했던 이유는 그들 그 자체의 모습으로 서로 사랑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 자체의 모습뿐만이 아니라 또 다른 이유(예를 들면 환경적 요소)가 있었기 때문에 행복 할 수 있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