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균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화의 균형
한국 문화의 양적 질적 시간
100년간의 변화(전통문화의 쇠퇴)
한국문화의 50년간의 변화
통신의 변화
우리나라의 위치

본문내용

위생성-그릇자체가 상하지 않음
d 자연과의 친화성, 미적수준
e 무겁고 깨지기 쉽다.
1도기와 자기
(3) 도기의 한국사에 있어 역사적 흐름은?
한국의 자기문화는 오랜 전통을 내려온 결산 , 질그릇은 신석기 , 청동기. 초기철기 ,원삼국 ,삼국 통일신라.고려,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만들어졌다.그의 완벽성을 바탕으로 고려시대 청자 ,조선시대 분형자와 백자로 대표되는 시기그릇이 1000여년 동안 꽃피어 공존했다.
-8000 년 전 빗살무늬 질그릇등 등장.
-8000 여년 전 민무늬 질그릇이 농경의 시작과 함께 등장.
-제사의식과 관련있는 홍도와 채도 등은 청동기 시대를 배경으로 제작,
-철기 문화의 바탕 위에 흑도와 민무늬 질그릇이 생산됨
-2000년 전부터 원삼국 시대에는 타날 기법을 사용하여 가마에서 구워낸
-질그릇들이 등장(음식물을 저장하거나 시신을 넣는 관)
고구려와 백제 ,가야와 신라의 질그릇들이 다양하게 전개된다,.
(삼국시대에는 생활에 사용)
(ex 고구려의 안약 3호분 벽화, 백제와 신라에는 쌀,술, 기름,간장,젓갈 등을 저장했다)
통일신라시대에 인화문 질그릇으로 제작
불교의 영향과 함께 고려시대의 질그릇
조선시대에는 가장 한국적인 질그릇의 용기가 제작됨.
현재 우리가 가리키는 옹기는 약토라는 황갈색 유약이 시유된 그릇을 총칭.
임진왜란.병자호란 이후 조선 후기의 새로운 사회변화에 따라 종래의 표면을
황갈색의 유약으로 시유한 옹기가 17c후반경에 등장(17c 철화백자의 가마터에서 발견 18c19c 후반 김준근의 풍속도에서 가마가 있는 옹기점과 제작모습.파는 모습)
20세기 전반 일제 감정기에는 납을 주 성분으로 한 화학 약품인 광면단을 사용-1960년대 까지 확산.
2 청자의 기원과 변화 (1)청자의 시작
*중국청자로부터 시작
중국 육조시대부터 그 기법이 발달하여 오대의 978년 월이 멸망하면서 중국 남,북방으로 확산된다
*전국말 한 대 회도의 영향으로 초기철기 시대부터 와질토기 생산
*삼국시대에는 높은 온도에서 환원 번조한 토기.
신라 .가야 토기는 경질이며 1200c이상 올라가는 고화도 환원 번조로 표면색은 청색을 머금은 재흑색 무쇠같이 단단한 것.
*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면 토기에서 자기로 이행되늰 기반 확립-부장용보다는 실생활 용품
*토기 표면에 유약을 입힘 연유계의 강유토기와 토기태도에서 자기 태도에 졉근한 회유토기 발생
*서남 해안에는 초기 청지기마가 많다-장보고의 활동으로 봄
햇무리굽 청자-9세기 후반경부터 10세기 까지(청자 1.2 기로 나누기도함)
2기로 빨리 전환한 것은 선행한 발달된 토기문화가 있었기 때문
중국 청자의 발생지인 절강성에 면한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
일대에 집중적으로 분포-강진이 우수
11세기 이후부터는 기형,문양등에 요주요 ,임여요 계통 가마 등과의 교유도 나타나고 환원번조로 화도가 1250 도가 넘는 우수한 질의 청자를 생산.
10세기말- 12세기초:중국의 여러요과 교류, 음, 양각문양과 철화문 ,퇴화문이 생겨남.
(초기)
녹청자: 10세기 후반경부터 11세기 전반경.일반서민과 지방민용
-- 양질의 지화된 햇무리굽 청자는 가격이 비싸서 경주, 개경 등지의 상류계층과
지방호족용.
- 녹청자는 태토가 거칠고 유약 표면이 안정되지 못해 우툴두툴 (대접, 접시류가 대부분이고 방구,이형매명, 치마병,광구장경병, 항아리등의 기병이 약간 있다)
10c~11c순청자
10c~11c고려의 도자기술 숙련기
요에 이미 선물할 수준
(ex 11c 요의 성종 영경릉 등에서 고려의 음각청자편을 발견)
기형과 문양표현기법이 다양해짐
-대접으 경우 굽다리 밑이 좁아지며 대접이 우묵해지고 측사면이 완만한 그리다가 구연두부에서 외반향
-초기 청자시기의 병, 주전자 등은 금속기에서 양향을 받앗으나 , 이제 특색이 나타나는 유연한 곡명으로 바꾸■ㅙ가
-음각문양은 가늘고 부드럽게 세견되고 국당초문, 파어문,앵무문 등 그 다양해지며 양인각문이 등장한다. 초보적인 양각문과 철화문, 퇴화문
-전대에 이어 화형 대접.접시 등이 나타나며 과형등 성형기면도 등장한다.
-유약은 점차 밟아져서 12세기 전반기의 백색유로 접근한다.
그러나 고려인이 좋아하는 취향 때문에 일반 식기류로는 유기를 쓰고 있다.
11c 후반,12c 초- 문종등의 발전기, 11세기 중엽부터 고려적인 세련기
-의장화된 당초문 위주에서 운학문과 작약문 ,쌍룡문,연동자문,얀지문 모란당초문등
동식물의 사실적인 문양구성, 동식물의 상형한 청자가 많아지고 기형도 공오거으로 세련, 주문양, 종속문양이 나타남.
(고려순청자의 절정기) 11c후반시작, 12c 본격적 등장 12c 중엽
노태문은 청자 유약을 문양대로 베끼고 문양은 태토에 철분이 베어난 갈색으로 나타남.
고려는 12c 창안 -중국은 원대인 14c 전반등장.
절지문의 등장-종속문이 주문양이 새로운 문양 구성.
대체로 일면에만 시문이 였다가 12c중엽부터 내외 양면으로 시문확산.
병류 주자류 정병류 향로, 유병류 등은 선행하던 토기나 그 시대의 청동이나
은제품의 형태에서 벗어나 그 형태나 고려적인 아름다움으로 바뀜.
(초기의 상감청자류)-10c 후반강부터 종속문적으로 등장
모란당초문완은 내면의 주문양이 양인각 모란당초문
청자 양각당초상감시명 표형병
도자기 상감문양 기법은 고려인의 독창적 미의식
청동그릇에 장식하는 은입사 기법과 나전칠기의 시문법과 연관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내림.
(청자상감의 전성기:12세기 중엽-13세기 전반)
청자의 유약이 더 많고 투명해지고 유면에 병렬
기형의 예리함은 내재적인 정신으로 숨겨지고 표면은 은근한 양감.
안팎의 무늬 -주문양과 종문양이 적재적소에 따로 시문되면서 보완
문양은 12세기 전반기의 사실적이고 회화적인 것에서 조금씩 양식화 되고
도식화 되나 자연의 사실적인 아름다움을 살려 높은 품격지님
청자상감의 전성기:12세기 중엽 13세기 전반
청자기와 고려사 세가 의종 11년 (1157)
(청자의 쇠퇴) 옹고군 내청이후
1기:1220년대-원종대 ,유가가 두껍고 그 색택이 진하고 문양의 단위가 작아지며 고밀 기형이 차차 양식화되고 도식화 진행 구도가 잘 짜여진 상감사문이 없고 그릇의 선이 경직되거나 과장됨
2기: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4.25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0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