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험에서 구한 증폭률이 정확히 3배는 나오질 않았으나 대략적으로 3배가 나와 비교적 성공적인 실험임에 틀림없다. 그런데 마지막 3번째 실험이 약간의 의문이 생긴다. 우리는 전류를 올려가면서 콜렉터 쪽으로 흐르는 전류 값을 측정하였는데 조교님께서 원하는 그래프가 나오질 않는 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알아본 결과 다음 그림과 같다.
빨간색 특성 곡선은 나와 있는 상태에서 파란색 반비례 직선을 이동 시켜 두 그래프가 교차하는 지점의 Vce값을 얻어 낸다는 것 이였다. 그렇다면 이렇게 얻어낸 값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리고 저 파란색 직선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리고 이동시킬 때 어떤 것이 변수가 될까? 아직 까지도 잘 이해가 되질 않는다. 그래서 여러 형태의 특성 그래프를 살펴 보았다.
전압-전류 특성 (가) IB를 일정하게 유지했을 때의 VCE와 IC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린 것…VCE-IC특성(출력 특성)도 : IC는 IB에 의해 크게 변화하고 VCE에는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나) VCE를 일정하게 유지했을 때의 IB와 IC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린 것…IB-IC특성(전류 특성)도 : IB와 IC는 거의 정비례한다. (다) VCE를 일정하게 유지했을 때의 VBE와 IB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린 것…VBE-IB특성(입력 특성)도 : VBE가 어느 값 이상이 되면 IB가 크게 변화한다. (라) IB를 일정하게 유지했을 때의 VCE와 VBE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린 것…VCE-VBE 특성(전압 특성)도 ① VCE-IC 특성에서는 IB 에 의해 IC가 크게 변화하므로, 여러 개의 곡선이 그려진다. ② IB-IC 특성, VBE-IB 특성에서는 VCE에 의해 특성이 그다지 변화하지 않으므로, 어떤 크기의 VCE일 때의 특성 곡선 1개만 나타내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알아본 결과 반비례적 특성을 지니는 직선이 나오지 않는다.
이번 실험을 통해 트렌지스터 라는 것에 대하여 알게 되었고 증폭률과 이미터, 콜렉터, 베이스의 의미와 각 특성 회로, 바이어스 등의 계념을 새울 수 있었다. 그런데 마지막 실험이 마음에 걸린다. 다음 실험 부터는 실험 시행 전에 조교님의 조언이라든가 실험하면서 주의할 점과 포커스를 귀로만 듣지 말고 종이에 직접 적어가야겠다. 그냥 머리로 기억하려니깐 중요한 내용을 잊게 되어서 실험에 어려움을 느낄 때도 많고 실험 방향을 잘못 잡는 경우도 있다. 앞으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해야겠다.
빨간색 특성 곡선은 나와 있는 상태에서 파란색 반비례 직선을 이동 시켜 두 그래프가 교차하는 지점의 Vce값을 얻어 낸다는 것 이였다. 그렇다면 이렇게 얻어낸 값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리고 저 파란색 직선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리고 이동시킬 때 어떤 것이 변수가 될까? 아직 까지도 잘 이해가 되질 않는다. 그래서 여러 형태의 특성 그래프를 살펴 보았다.
전압-전류 특성 (가) IB를 일정하게 유지했을 때의 VCE와 IC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린 것…VCE-IC특성(출력 특성)도 : IC는 IB에 의해 크게 변화하고 VCE에는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나) VCE를 일정하게 유지했을 때의 IB와 IC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린 것…IB-IC특성(전류 특성)도 : IB와 IC는 거의 정비례한다. (다) VCE를 일정하게 유지했을 때의 VBE와 IB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린 것…VBE-IB특성(입력 특성)도 : VBE가 어느 값 이상이 되면 IB가 크게 변화한다. (라) IB를 일정하게 유지했을 때의 VCE와 VBE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린 것…VCE-VBE 특성(전압 특성)도 ① VCE-IC 특성에서는 IB 에 의해 IC가 크게 변화하므로, 여러 개의 곡선이 그려진다. ② IB-IC 특성, VBE-IB 특성에서는 VCE에 의해 특성이 그다지 변화하지 않으므로, 어떤 크기의 VCE일 때의 특성 곡선 1개만 나타내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알아본 결과 반비례적 특성을 지니는 직선이 나오지 않는다.
이번 실험을 통해 트렌지스터 라는 것에 대하여 알게 되었고 증폭률과 이미터, 콜렉터, 베이스의 의미와 각 특성 회로, 바이어스 등의 계념을 새울 수 있었다. 그런데 마지막 실험이 마음에 걸린다. 다음 실험 부터는 실험 시행 전에 조교님의 조언이라든가 실험하면서 주의할 점과 포커스를 귀로만 듣지 말고 종이에 직접 적어가야겠다. 그냥 머리로 기억하려니깐 중요한 내용을 잊게 되어서 실험에 어려움을 느낄 때도 많고 실험 방향을 잘못 잡는 경우도 있다. 앞으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해야겠다.
추천자료
[전자회로실험] 다이오드 리미터와 브릿지정류기
다이오드의 구조 및 기능과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실험을 해본다
다이오드 특성 및 종류
[발광다이오드][LED][OLED][플라스틱발광다이오드]발광다이오드(LED)의 정의, 발광다이오드(L...
전자회로 이론 및 실험- 다이오드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진짜 내가 한거1)
전자 회로 실험
[전기회로 및 실습] (예비) 트랜지스터의 동작 특성
전자회로1실험)
기초전자전기실험- 접합다이오드의 특성
전자회로 및 실험 - Diode Characteristics[예비와 결과 보고서]
[전자회로]- [bjt]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원리 :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특성 이해
반도체 - PN접합의 정의와 이용분야
[전자정보학과] 전자 주사위 회로 조립하기 - 전자주사위 프로젝트.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