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루 환자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장루환자간호
1. 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본문내용

부위가 장루 분비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잘 맞는 주머니 착용
- 상처감염 발생시 절개 후 배농시킴, 항생제 투여, 국소적 습열 적용, 무균적으로 드레싱
장루의 퇴축
- 장루가 퇴축되면 주머니가 장루와 완전히 접착하지 못하게 됨
장루의 탈출
- 복부근육이 약하거나 장루와 지지구조를 적절하게 봉합하지 못한 경우 발생
- 조심해서 장루를 제자리로 밀어넣고 환자를 똑바로 눕힌 후 재사용 가능한 장루장비로 대치시키고 일시적으로 일회용 주머니를 부착
협착(stenosis)
- 장루 내면이 좁아지는 것
- 장루점막과 피부사이의 접합부위에 상흔조직이 형성되어 생길 수 있음
- 협착으로 인해 폐색의 증상이 나타나면 수술 요구
장루주위 탈장
- 갑자기 체중이 증가되거나 상처감염이 있을 경우, 직근(rectus muscle) 밖에 장루를 만 들었을 경우 발생
- 주머니가 장루와 완전히 접착하지 못함
장루주위 피부손상
- 장루에서 나오는 분비물에 의한 손상
- 이미 가지고 있는 질병과 그에 대한 치료
- 장루의 위치, 투약
- 부적절한 간호기술
- 자가간호에 대한 환자의 관심부족
- 부적절한 물품의 사용
⑻ 평가
체액량 부족의 점진적 해소
설사 빈도의 감소
회음부위, 뼈 돌출부의 피부통합성 향상 또는 유지
점진적인 체중증가와 영양있고 균형잡힌 식이에 대한 내성
안정기간 동안의 부동상태로 인한 위험들의 예방
자가간호활동의 재개로 증명되는 환자의 점진적인 독립성 증대
수술 직후 시기 동안 동통의 완화와 모든 동통의 궁극적 해소
출혈의 조기 확인과 안정된 활력증상으로 반영되는 심박출량의 유지
섭취 및 배설량 기록과 조직 긴장도로 증명되는 체액량 유지
동통, 발적, 창흔 형성의 증거가 없는 상태로 누공 주위의 피부손상 예방
⑼ 추후간호
퇴원 후 어떤 것이 필요하게 될지 예상하고 병원으로부터 가정을 방문해 볼 것 권장
퇴원계획 수립 시에는 간호문제의 추후간호를 위한 지역사회 보건간호사의 의뢰를 포함
가정으로 돌아가기에 앞서, 환자는 누공관리에 필요한 비품들을 가져감
치유가 되어 누공이 안정된 크기에 이를 때는 영구적인 기구 설치
장치는 철저하게 청결히 함
회장루 형성술 후 식이 제한은 필요치 않음
새로운 음식은 한번에 한 가지씩만 시험해 보도록하여 어떤 것이 소화되지 않는지 명확히 파악
잘 균형 잡힌 식이
환자에게 발한이 증가되거나 위장장애가 있을 때 염분과 물의 섭취를 증가시키도록 교육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4.27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