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성곽의 발생
(1)성곽의 정의
(2)성곽의 발생
2.성곽의 분류와 종류
(1)축성재료에 의한 분류
(2)축조지형에 따른 분류
3. 성곽의 축조방법
(1)목책성
(2)토성
(3) 석성
(4)토석혼축성
4. 성곽의 각종시설
(1)성벽시설
(2)성벽주변시설
(1)성곽의 정의
(2)성곽의 발생
2.성곽의 분류와 종류
(1)축성재료에 의한 분류
(2)축조지형에 따른 분류
3. 성곽의 축조방법
(1)목책성
(2)토성
(3) 석성
(4)토석혼축성
4. 성곽의 각종시설
(1)성벽시설
(2)성벽주변시설
본문내용
위에서 지키기 위한 시설(예: 고구려 약수리 벽화고분의 성곽도)
나. 비밀문(암문) : 비상시를 대비, 성안의 배수를 위한 수문(水門)
특징 : 적의 공격에 취약(비교적 눈에 띄지 않도록 축조)
수문(水門)의 두 가지 형태
· 수문(水門) : 규모가 크고 門의 형태를 갖춘 것
· 수구(水口) : 규모가 작은 것
성(城)에 따른 수문(水門)의 설치 장소
· 평지성 : 성안의 지형이 낮은 저지대
· 산성 : 골짜기의 계곡부
대표적인 수문 : 화성의 북수문(北水門)주변(연못과 누각의 아름다운 경관)
대표적인 수구 : 석대자산성(고구려), 성치산성(백제), 삼년산성(신라)
⑤ 성문(城門)의 형식 : 성문의 외형적인 형상에 따른 분류
분류
특징
설치장소
개거식(開据式)성문
·성문의 상층부에 아무런 시설을 만들지 않은 형태
평거식(平据式)성문
·양쪽에 석축성벽을 쌓고 성문 위에 커다란 석재를 걸쳐 네모진 형태의 출입시설을 만든 형태
성문의 크기가 작은 곳에 설치
홍예식(虹霓式)성문
·성문 윗부분의 모습이 마치 홍예(무지개)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성문의 크기가 대형인 곳에 설치
현문식(懸門式)성문
·일정 높이까지 성벽을 쌓다가 그 위에 성문을 만드는 형식
·출입하기 위해서는 성안에서 사다리나 바구니와 같은 물체를 내려주어야 출입 가능
국경지대나 국방의 요충지에 설치
⑥ 성문(城門)보호시설
문비(門扉)
· 성문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성문에 설치하는 문짝(안-목재, 바깥-철판 : 화공대비)
· 빗장 설치(문을 잠글 수 있는 기능)
· 문짝을 성벽의 아래 부분에 큰 돌을 놓고 이 돌에 끼우고, 위 부분에는 목재에 둔테구멍에 끼워 고정
· 그 밖의 시설물
- 장부쇠 : 문짝을 여닫을 때 목재가 닳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
- 학쇠와 신쇠 : 문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적대(敵臺)
·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성문의 좌우 부분에 장방형으로 길게 돌출시켜 설치한 시설물
· 전면과 좌우 측면의 3방면에서 적의 공격에 대응
· 성벽 보호시설인 치(雉)와 유사한 개념
옹성(甕城)
· 성문을 외부의 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성문 앞에 설치한 짧은 성벽
· 적의 성문 접근 옹성 우회 성문과 옹성에 갇힘 공격
· 성벽을 서로 어긋나게 축조하여 방어력을 높인 어긋문이 옹성의 원시적인 형태
· 옹성의 평면형태
- 사각형 : 고식(古式)으로 삼국시대 성곽에서 볼 수 있음
- 반원형 : 조선시대의 성곽에서 볼 수 있음
· 옹성에서 성문으로 통하는 통로
- 편문식(片門式) : 통로가 옹성의 좌우 어느 한 쪽에 치우쳐 있는 것
- 중앙식(中央式) : 통로가 중앙부에 있는 것
(2) 여장(女墻)
① 성의 몸통에 해당하는 체성 위에 설치하는 시설물(치첩, 성가퀴라고도 불림)
② 특징 : 체성위에 담장을 좁고도 낮게 쌓아 신체를 은폐하기 위한 시설,
성에 접근하여 공격하는 적의 무기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시설
③ 성 밖에서 본 입면형태에 따른 여장의 종류
· 평여장 : 여장의 윗부분이 평평한 모양(타와 타 사이에 타구를 설치하여 장방형의
모습을 띰
· 반원형여장 : 여장의 윗부분이 반원형의 모양(반원형의 타를 연속으로 붙여놓은 것)
· 볼록여장 : 여장이 凸처럼 생긴 모양, 평여장의 타상부에 네모진 형태의 타를 얹어
놓은 것(의자 두 개를 돌려놓은듯 한 형태)
(3) 미석(眉石)
① 성체와 여장사이에 툭 튀어나온 돌
② 외적이 성벽을 기어올라 넘어오는 것을 방지
(4) 치(雉)
① 성벽의 앞부분에 장방형으로 돌출시켜 쌓은 시설물
② 치의 형태 : 장방형, 원형(곡치, 곡성)
③ 치와 적대의 차이점
· 적대 : 체성부보다 한층 높여서 축조
· 치 : 체성과 같은 높이로 축조
④ 대표적인 예 : 고구려의 석대자산성, 연주산산성, 백제의 삼정동산성
(5) 각루(角樓)
① 성벽이 서로 교차되는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누각건물
② 설치장소
· 평지성 : 4모퉁이
· 산성 : 성벽의 굴곡이 심하고, 주변 지형의 관측이 양호한 지점
(6) 용도(甬道)
① 성벽의 일부를 지형에 따라 성 밖으로 길게 축조한 성벽
② 국방의 요충지에 설치하여 방어와 관측 및 통행로의 역할
(7) 총안(銃眼)
① 여장에 나있는 구멍(여장 뒤에 몸을 은폐하고는 여장에 난 구멍을 통하여 총을 발사하도록 한 시설)
② 총을 무기로 사용하는 시기에 고안
③ 종류 : 원총안(원거리를 관측하고 총을 발사),
근총안(가까운 거리를 관측하고 총을 발사)
(8) 현안(縣眼)
① 성벽의 바깥 벽면에다가 수직에 가까운 구멍을 뚫어 놓은 시설
(적을 효과적으로 공격)
② 대표적인 예 : 조선시대의 수원성
(9) 공심돈(空心墩)
① 성벽의 치성부분에 설치한 높은 누각, 내부가 비어 있음
② 내부 : 사다리와 같은 층계시설을 만들어 군사를 층층이 배치(병력과 화력 집중배치)
③ 대표적인 예 : 화성(수원성)
2) 성벽주변시설(城壁周邊施設)
(1) 해자(垓字)
① 성벽의 안팎에 인공적으로 땅을 파내어 물을 담아 장애물로 만든 시설
② 성벽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발생
· 산성 : 호(濠,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만든 도랑시설),
황(隍, 물을 담아둘 수가 없도록 만든 도랑시설)
(2) 양마장(羊馬墻)
· 성벽과 해자 사이에 또 하나의 낮은 울타리를 만든 시설
(성벽 밖에서 적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낮은 담장과 같은 시설물)
(3) 장대(將臺)와 망대(望臺)
① 성내외의 주변지형을 잘 조망할 수 있는 성안의 높은 고지에 설치하는 시설물
② 장대
· 장수가 거처하는 전투지휘소(성내외의 상황에 대한 작전보고와 작전명령을 하달하는 곳)
· 정문을 바라볼 수 있는 높은 지형, 성안의 전망이 양호한 높은 지형에 설치
· 대표적인 예 : 고구려 산성자산성, 고구려 연주산산성
③ 망대
· 성밖의 상황을 감시하는 초소
· 성밖의 주변지형이 잘 바라다 보이는 지형에다 설치
(4) 집수시설(集水施設)
· 식수의 조달을 목적으로 함
· 가장 보편적인 집수시설 : 우물(자연우물, 인공우물)
· 대형의 집수시설 : 성안의 커다란 저수지
(산성-계곡을 포용하는 골짜기의 평탄한 지점에 설치)
· 대표적인 예 : 고구려의 산성자산성, 백제의 공산성, 신라의 삼년산성
나. 비밀문(암문) : 비상시를 대비, 성안의 배수를 위한 수문(水門)
특징 : 적의 공격에 취약(비교적 눈에 띄지 않도록 축조)
수문(水門)의 두 가지 형태
· 수문(水門) : 규모가 크고 門의 형태를 갖춘 것
· 수구(水口) : 규모가 작은 것
성(城)에 따른 수문(水門)의 설치 장소
· 평지성 : 성안의 지형이 낮은 저지대
· 산성 : 골짜기의 계곡부
대표적인 수문 : 화성의 북수문(北水門)주변(연못과 누각의 아름다운 경관)
대표적인 수구 : 석대자산성(고구려), 성치산성(백제), 삼년산성(신라)
⑤ 성문(城門)의 형식 : 성문의 외형적인 형상에 따른 분류
분류
특징
설치장소
개거식(開据式)성문
·성문의 상층부에 아무런 시설을 만들지 않은 형태
평거식(平据式)성문
·양쪽에 석축성벽을 쌓고 성문 위에 커다란 석재를 걸쳐 네모진 형태의 출입시설을 만든 형태
성문의 크기가 작은 곳에 설치
홍예식(虹霓式)성문
·성문 윗부분의 모습이 마치 홍예(무지개)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성문의 크기가 대형인 곳에 설치
현문식(懸門式)성문
·일정 높이까지 성벽을 쌓다가 그 위에 성문을 만드는 형식
·출입하기 위해서는 성안에서 사다리나 바구니와 같은 물체를 내려주어야 출입 가능
국경지대나 국방의 요충지에 설치
⑥ 성문(城門)보호시설
문비(門扉)
· 성문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성문에 설치하는 문짝(안-목재, 바깥-철판 : 화공대비)
· 빗장 설치(문을 잠글 수 있는 기능)
· 문짝을 성벽의 아래 부분에 큰 돌을 놓고 이 돌에 끼우고, 위 부분에는 목재에 둔테구멍에 끼워 고정
· 그 밖의 시설물
- 장부쇠 : 문짝을 여닫을 때 목재가 닳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
- 학쇠와 신쇠 : 문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적대(敵臺)
· 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성문의 좌우 부분에 장방형으로 길게 돌출시켜 설치한 시설물
· 전면과 좌우 측면의 3방면에서 적의 공격에 대응
· 성벽 보호시설인 치(雉)와 유사한 개념
옹성(甕城)
· 성문을 외부의 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성문 앞에 설치한 짧은 성벽
· 적의 성문 접근 옹성 우회 성문과 옹성에 갇힘 공격
· 성벽을 서로 어긋나게 축조하여 방어력을 높인 어긋문이 옹성의 원시적인 형태
· 옹성의 평면형태
- 사각형 : 고식(古式)으로 삼국시대 성곽에서 볼 수 있음
- 반원형 : 조선시대의 성곽에서 볼 수 있음
· 옹성에서 성문으로 통하는 통로
- 편문식(片門式) : 통로가 옹성의 좌우 어느 한 쪽에 치우쳐 있는 것
- 중앙식(中央式) : 통로가 중앙부에 있는 것
(2) 여장(女墻)
① 성의 몸통에 해당하는 체성 위에 설치하는 시설물(치첩, 성가퀴라고도 불림)
② 특징 : 체성위에 담장을 좁고도 낮게 쌓아 신체를 은폐하기 위한 시설,
성에 접근하여 공격하는 적의 무기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시설
③ 성 밖에서 본 입면형태에 따른 여장의 종류
· 평여장 : 여장의 윗부분이 평평한 모양(타와 타 사이에 타구를 설치하여 장방형의
모습을 띰
· 반원형여장 : 여장의 윗부분이 반원형의 모양(반원형의 타를 연속으로 붙여놓은 것)
· 볼록여장 : 여장이 凸처럼 생긴 모양, 평여장의 타상부에 네모진 형태의 타를 얹어
놓은 것(의자 두 개를 돌려놓은듯 한 형태)
(3) 미석(眉石)
① 성체와 여장사이에 툭 튀어나온 돌
② 외적이 성벽을 기어올라 넘어오는 것을 방지
(4) 치(雉)
① 성벽의 앞부분에 장방형으로 돌출시켜 쌓은 시설물
② 치의 형태 : 장방형, 원형(곡치, 곡성)
③ 치와 적대의 차이점
· 적대 : 체성부보다 한층 높여서 축조
· 치 : 체성과 같은 높이로 축조
④ 대표적인 예 : 고구려의 석대자산성, 연주산산성, 백제의 삼정동산성
(5) 각루(角樓)
① 성벽이 서로 교차되는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누각건물
② 설치장소
· 평지성 : 4모퉁이
· 산성 : 성벽의 굴곡이 심하고, 주변 지형의 관측이 양호한 지점
(6) 용도(甬道)
① 성벽의 일부를 지형에 따라 성 밖으로 길게 축조한 성벽
② 국방의 요충지에 설치하여 방어와 관측 및 통행로의 역할
(7) 총안(銃眼)
① 여장에 나있는 구멍(여장 뒤에 몸을 은폐하고는 여장에 난 구멍을 통하여 총을 발사하도록 한 시설)
② 총을 무기로 사용하는 시기에 고안
③ 종류 : 원총안(원거리를 관측하고 총을 발사),
근총안(가까운 거리를 관측하고 총을 발사)
(8) 현안(縣眼)
① 성벽의 바깥 벽면에다가 수직에 가까운 구멍을 뚫어 놓은 시설
(적을 효과적으로 공격)
② 대표적인 예 : 조선시대의 수원성
(9) 공심돈(空心墩)
① 성벽의 치성부분에 설치한 높은 누각, 내부가 비어 있음
② 내부 : 사다리와 같은 층계시설을 만들어 군사를 층층이 배치(병력과 화력 집중배치)
③ 대표적인 예 : 화성(수원성)
2) 성벽주변시설(城壁周邊施設)
(1) 해자(垓字)
① 성벽의 안팎에 인공적으로 땅을 파내어 물을 담아 장애물로 만든 시설
② 성벽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발생
· 산성 : 호(濠,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만든 도랑시설),
황(隍, 물을 담아둘 수가 없도록 만든 도랑시설)
(2) 양마장(羊馬墻)
· 성벽과 해자 사이에 또 하나의 낮은 울타리를 만든 시설
(성벽 밖에서 적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낮은 담장과 같은 시설물)
(3) 장대(將臺)와 망대(望臺)
① 성내외의 주변지형을 잘 조망할 수 있는 성안의 높은 고지에 설치하는 시설물
② 장대
· 장수가 거처하는 전투지휘소(성내외의 상황에 대한 작전보고와 작전명령을 하달하는 곳)
· 정문을 바라볼 수 있는 높은 지형, 성안의 전망이 양호한 높은 지형에 설치
· 대표적인 예 : 고구려 산성자산성, 고구려 연주산산성
③ 망대
· 성밖의 상황을 감시하는 초소
· 성밖의 주변지형이 잘 바라다 보이는 지형에다 설치
(4) 집수시설(集水施設)
· 식수의 조달을 목적으로 함
· 가장 보편적인 집수시설 : 우물(자연우물, 인공우물)
· 대형의 집수시설 : 성안의 커다란 저수지
(산성-계곡을 포용하는 골짜기의 평탄한 지점에 설치)
· 대표적인 예 : 고구려의 산성자산성, 백제의 공산성, 신라의 삼년산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