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력의학-고압력 저압력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압력의학-고압력 저압력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고압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들
압력손상 (Barotrauma)
폐 압력손상 (Pulmonary barotrauma)
불활성 기체 마취 (질소마취, Inert gas narcosis, nitrogen narcosis)
중추신경계 산소 독성 (CNS oxygen toxicity)
감압병 (Decompression sickness)

2.저압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들
고산병 (High-altitude illness, HAI)
고공 감압병(High Altitude DCS)과 급성 저산소증

본문내용

이 회복되나 치료가 지연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후유장애가 올 수 있다.
○ 고산병의 예방과 치료
상승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고산병의 발생을 줄이고 발생하더라도 중증도를 낮출 수 있으나 일단 고지대 폐부종이나 고지대 뇌부종의 증상이 발생한 후에는 상승속도를 조절하더라도 증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상승 속도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기준이 있으나 대개 하루에 300~450미터 정도의 속도로 올라가는 것이 고산병 예방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상승할 때에도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속도를 점차적으로 줄이는 것이 좋다. 고지대 적응을 위해서는 하루정도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으며 고산병이 발생한 경우는 절대침상안정이 필요한데 조금만 움직여도 동맥산소분압이 크게 떨어져서 증상을 더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승시 또는 적응시 산소호흡을 주기적으로 하는 것이 고산병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나 고지대 폐부종이나 고지대 뇌부종의 예방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산병이 발생한 이후에는 고산병의 유형에 관계없이 산소호흡이 치료에 필수적이다.
적절한 대조군을 설정한 연구가 부족하지만 carbonic anhydrase inhibitor인 acetazolamide와 dexamethasone이 고산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치료제 모두 고산병의 위험도를 줄이고 증상을 경감시킨다. acetazolamide는 1일 250mg에서 750mg 사이의 용량을 나누어 투여한다. acetazolamide는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우 속성내성(tachyphylaxis)이 있어 효과가 떨어지므로 1주일 이내만 사용하여야 한다. dexamethasone은 1일 8~16mg을 투여하며 중단시에는 서서히 용량을 줄여나가야 한다. 고지대 폐부종과 고지대 뇌부종의 경우는 acetazolamide와 dexamethasone 모두 명확한 치료효과가 인정되지는 않았지만 일부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폐부종과 뇌부종에 furosemide 등의 이뇨제와 심박출량을 줄일 목적으로 nifedipine을 투여하여 치료를 해보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으나 뚜렷한 효과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산병의 근복적인 치료방법은 재가압으로 결국 신속하게 하강시키는 것이지만 환자가 자력으로는 거의 움직일 수 없고 기상상황과 조건이 좋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신속한 하강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은 이동용 챔버를 사용하여 고지대 폐부종과 고지대 뇌부종 환자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고지대 폐부종의 경우 치료시간은 2~4시간이며 고지대 뇌부종의 경우 4~6시간으로 환자의 하강까지 시간을 벌 수 있어 치료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 장비의 약점은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압력이 사용 장소의 기압에 따라 가변적이라는 점이다.
고공 감압병(High Altitude DCS)과 급성 저산소증
○ 고공 감압병
고압상황에서 감압시 발생하는 감압병과 발생기전과 임상양상에 차이가 없으며 치료 또한 동일하다. 고공 감압병은 군 작전에 참가하는 비행사 또는 우주 비행사에서 흔히 발생하며 잠수후 바로 비행기 여행을 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 급성 저산소증
저산소증에 가장 민감한 기관은 폐와 뇌이다. 해수면 높이에서도 호흡공기 중 산소가 없으면 수분내에 의식이 소실되고 곧이어 심장 활동이 정지되고, 동맥과 조직 산소분압이 감소하여 곧이어 사망에 이르게 된다. 고공에서는 공기의 대기압이 해수면보다 낮아 폐정맥과 폐포 사이의 산소분압차가 더욱 감소하게 되어 폐에서 산소 배출이 더 빠른 속도로 일어나서 조직 저산소증에 빠지는 시간이 더욱 짧아진다. 고도 7,500미터에서는 외부의 공기로 갑자기 호흡하게 되면 3분에서 5분 사이에 의식이 소실되며, 고도 12,000미터에서는 외부의 공기로 호흡하게 되면 수초내에 의식이 소실된다. 대부분의 상업 목적의 비행기는 고도 9,000~12,000 미터 사이에서 운항하며 군사목적과 연구목적의 유인 비행기는 이보다 더 높은 고도에서 운항한다.
○ 압력 손상
고도 상승 후 하강시에 신체내 장기의 공기 부피가 감소하면서 중이, 부비동의 경우 중이관과 부비동염등으로 인해 통증과 함께 여출(transudation)이 일어날 수 있고, 충치의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sympathomimetic amine decongestants를 국소나 전신 투여하는 경우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5.04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