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과 창조성을 지닌 하나의 현실로 보기 때문에 교육도 이에 따라 현실적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교육이 아동의 현실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야 아동 속에 이미 갖추어진 능력을 개발하여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자연과 사회라는 환경을 인간을 교육시키는 교사라고 보았고, 셋째로 대상을 취사선택하여 사랑하는 에로스적인 교육은 그 본래적 정신에 어긋나는 것이므로 교육은 비(非)에로스적인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자기 자신의 구체성을 확장하고 자기가 참여하는 현실을 완전히 나타나도록 하는 포용으로서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포용이란 두 사람의 관계이며 적어도 둘 중 한 사람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이 한 사람이 자기가 느낀 사실과 동시에 상대편의 입장에서 생각한 동일한 것에 대한 느낌을 가지는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교육은 신뢰의 분위기 속에서 학생으로 하여금 구체적인 ‘포용’의 경험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성격 교육을 가치 있는 교육으로서 중요시한다. Buber의 관점은 인격과 성격을 구분 짓는데, 인격은 교사의 영향력 밖에서 성장하는 것이고 성격은 인격의 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교사는 성격 교육을 통하여 학생을 주어진 상황의 독특성에 조화롭게 반응하는 이상적 인간으로 성장시킨다는 교육의 목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처럼 Buber는 현대의 위기상황 속에서 잃은 인간 본래의 모습을 참된 관계의 형성인 ‘만남’을 통하여 회복하려 했다. 그의 교육관은 교육을 통해 사람됨이 바른 사람을 키워내어 현대의 인간성 회복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추천자료
7차선택중심교육과정과 수능결합의 의미분석
유아미술 역할극-결과중심교육과정, 과정중심교육과정
학문중심교육과정
학문중심교육과정 발표문
교과중심교육과정과 경험중심교육과정을 비교하시오
교육과정 및 교육철학 문제풀이
2009년 2학기 교육과정및평가 중간시험과제물 E형(학문중심교육과정)
활동중심통합교육과정
2011년 2학기 교육과정및평가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브루너의지식구조론, 듀이의경험중심교육)
'학습자 중심교육'이란 이름의 7차 교육과정
2012년 2학기 교육과정및평가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브루너의지식구조론, 듀이의경험중심교육)
브루너 학문중심 교육과정,학문중심교육과정,나선형교육과정,학문중심교육과정 장단점
제 7차 교육과정 선택중심교육과정
타일러의 교육과정개발모형과 스킬백의 학교중심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