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국내외의 정세
3. 칭제건원과 금국정벌에 대한 서경파의 입장
4. 칭제건원과 금국정벌에 대한 왕의 입장
5. 맺음말
2. 국내외의 정세
3. 칭제건원과 금국정벌에 대한 서경파의 입장
4. 칭제건원과 금국정벌에 대한 왕의 입장
5. 맺음말
본문내용
했다.
또한 그들은 단순히 민중의 심리에 영합하기 위해서 칭제건원론을 주장한 것이 아니라, 그들 스스로도 금국 등 외세의 간섭과 침략으로부터 고려를 수호하고 침략에 대항하려는 저항 정신의 소유자였다.
이에 서경파와 왕은 개경의 문신 관리들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들과 손을 잡은 것이다.
결국 묘청파의 서경천도운동은 실패하게 되지만, 서경파는 보수적인 개경의 문벌귀족에서 벗어나 서경에서 자주적인 혁신 정치를 펼치려 했다는 데에서 의의를 두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2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국사편찬위원회, 1993.
*김당택,「고려 인종조 (仁宗朝)의 서경천도 (西京遷都) , 칭제건원 (稱帝建元) , 금국정벌론 (金國征伐論)과 김부식의 < 삼국사기 > 편찬」,『역사학보』,역사학회, 2001.
*김윤곤,『한국 중세의 역사상』, 영남대학교출판부, 2001.
*민현구,「묘청 일파 서경천도론의 허와 실」,『한국사 시민강좌』,일조각, 2005.
*백남혁,「묘청 (妙淸)의 서경천도운동의 연구」,『한성사학』, 한성사학회, 1998.
*이혜옥, 「고려초기 서경세력에 (西京勢力) 대한 일고찰」,『한국학보』, 일지사, 1982.
또한 그들은 단순히 민중의 심리에 영합하기 위해서 칭제건원론을 주장한 것이 아니라, 그들 스스로도 금국 등 외세의 간섭과 침략으로부터 고려를 수호하고 침략에 대항하려는 저항 정신의 소유자였다.
이에 서경파와 왕은 개경의 문신 관리들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들과 손을 잡은 것이다.
결국 묘청파의 서경천도운동은 실패하게 되지만, 서경파는 보수적인 개경의 문벌귀족에서 벗어나 서경에서 자주적인 혁신 정치를 펼치려 했다는 데에서 의의를 두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2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국사편찬위원회, 1993.
*김당택,「고려 인종조 (仁宗朝)의 서경천도 (西京遷都) , 칭제건원 (稱帝建元) , 금국정벌론 (金國征伐論)과 김부식의 < 삼국사기 > 편찬」,『역사학보』,역사학회, 2001.
*김윤곤,『한국 중세의 역사상』, 영남대학교출판부, 2001.
*민현구,「묘청 일파 서경천도론의 허와 실」,『한국사 시민강좌』,일조각, 2005.
*백남혁,「묘청 (妙淸)의 서경천도운동의 연구」,『한성사학』, 한성사학회, 1998.
*이혜옥, 「고려초기 서경세력에 (西京勢力) 대한 일고찰」,『한국학보』, 일지사, 198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