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군의 지도자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학농민군의 지도자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전 봉 준

3. 김 개 남

4. 손 화 중

5. 세 지도자의 갈등과 행동방식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한다.
이때 전봉준은 이에 동의하나 김개남은 불응한다. 전봉준은 김학진과의 연합에 동의하였으나 김개남은 독자노선을 지향하였다. 김개남은 타협을 거부한 채 더욱 강한 반봉건 투쟁을 벌인 것이다. 그는 양반 토호의 처벌에도 적극적이었고 강한 변혁의지를 드러냈다. 하지만 김개남 영향력은 국지성을 띠고 있었다.
전봉준은 이와 달리 ‘官民相和’의 책을 추구하면서 집강소 통치의 원활을 기했으며 대일항쟁에 역량을 결집하려 노력했다. 그는 일본의 낭인들이 찾아왔을 적에도 거부보다 대화를 택했다.
손화중은 장성, 광주 일대에 머물며 여기에 참여치 않았다. 손화중은 고창 일대에서 천민부대를 거느리고 집강통치를 강화하는 데 열중하고 있었다. 나중에 그는 현실에 회의를 느끼면서도 전봉준 노선으로 기울어졌고 또 봉기 이전과는 달리 농민전쟁 시기에는 그 지휘를 받고 있었다. 그는 야심보다는 합리를 추구했으며 언제나 온건한 입장을 보였다.
여기에서 세 지도자의 시국관과 현실대처의 모습을 확연히 볼 수 있다. 전봉준의 정치적 타협 모색, 김개남의 일관된 추진력, 손화중의 현실분석을 통한 실패 예단 등이 그것이다. 이상으로 따져 전봉준을 중도좌파로, 김개남을 강경좌파로, 손화중을 온건우파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손화중을 비롯하여 김덕명, 최경선 등 우도의 지도자들은 대부분 전봉준의 영향권 아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우 윤, 『전봉준과 갑오농민전쟁』, 창작과 비평사, 1994
김호성, 『동학혁명과 김개남의 역할』, 한국정치정보학회, 1998
한국역사연구회, 『1894년 농민전쟁 연구5』역사비평사, 1997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5.1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8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