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권 수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정권 수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련군의 진주와 북한 정권 수립을 위한 간접통치 개시

2. 북조선 5도행정국 설치

3.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4. 북조선인민위원회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선포

6. 북한 정권 수립과 소비에트화

본문내용

북한에 진주해조만식의 건준 등 기존조직을 모두 해산시키고 소비에트 정 권기관인 인민위원회로 통합한 단계이다.
시기적으로 보면 1945년 8월 중순부터 말까지 해당된다.
(2) 제2단계
북한에서 정치적 기반이 가장 튼튼하고 활동도 활발했던 민족주의세력과 공산주의자 들이 연립정부를 설립한 단계이다.
시기적으로 는 1945년 10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가 여기에 해당된다.
(3) 제3단계
공산당이 유일한 주도권정당으로서 정권을 완전히 장악하는 단계이다.
시기적으로는 1946년 2월부터 8월까지가 된다.
민족세력의 거두인 조만식을 연금하고 민주당을 탄압하고 이미 민주당에 잠입해 있 던 최용건과 김책으로 하여금 민주당을 접수케 함으로써 민주당을 무력화시켜 버렸 다.
한반도 민주임시정부 수립에 대비해 독자적으로 병존하던 북조선공산당과 조선신민 당을 통합해 북조선노동당(북로당)으로 재출범시켰다.
북로당이 북한지역의 유일 헤게모니정당으로 등장함으로써 소비에트 3단계는 완성되 었다.
라. 스탈린의 북한지역에 북한 단독정권수립지시
(1) 1945.9월 14일 소련점령군 사령부가 작성한 ‘독립조선의 인민정부 수립 요강’이란 6 개항의 문서에 의하면 ‘노동자와 농민 대표들의 소비에트’ 곧 노농 정권을 세워야 한다 고 밝히고 있다.
(2) 그러나 스탈린은 동년 9월 20일 소련점령군 사령부의 문서와 달리 ‘반일적이며 민주 적인 정당들과 단체들의 광범위한 동맹에 기초하여 북한에 부르조아 민주주의 정권을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 한반도에서 분단 고착화 조치를 먼저 취한 쪽은 소련이었다는 것이 입증된 소련의 자료 임.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5.1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9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