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여성 개발 지수(gender-related development index) 비교
2) 여성 권한 척도(gender empowerment measure) 비교
3) 교육에 있어서의 성차별 정도
4)경제 활동에 있어서의 성차별 정도
5) 일과 시간의 성 분배
6) 여성의 정치 참여도
2) 여성 권한 척도(gender empowerment measure) 비교
3) 교육에 있어서의 성차별 정도
4)경제 활동에 있어서의 성차별 정도
5) 일과 시간의 성 분배
6) 여성의 정치 참여도
본문내용
인보다는 집합적 결속을 중시하고 가족 구성원 모두를 다 중요시 하여 우리나라와 같은 남녀차별이 없었음에 기인한다. 다만 몽골에서도 성(性)에 의한 노동의 분할 (gender division of labour)은 있었다. 예를 들어 몽골의 소녀들은 젖을 짜고, 청소하고, 빨래하고, 요리하고, 바느질하는 일에 주로 관여하는 반면에 몽골의 소년들은 가축을 돌보고(특히 말), 집을 수리하고, 가축을 도살하고, 멀리 심부름 가고 (전갈, 선물 혹은 초청장 등을 보냄), 사냥 (곰, 늑대 그리고 설치동물의 일종인 마모트 등) 그리고 오토바이나 차를 운전하는 일에 관여한다. 이러한 노동의 분할은 탈 사회주의 몽골에서 많은 여성들이 집에서 떨어져서 일함으로 해서 다소 약화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랜 세월 동안 지속되어 온 성(性)에 기반을 둔 노동의 유목적인 전통은 몽골의 대부분 지역에서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양국 모두 여성의 교육 정도에 비하여 고위 관료나 정치인의 여성 비율이 낮은 것은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몽골의 경우 사회 전반적인 교육 수준은 여성이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정치 참여도가 이처럼 낮은 것은 상당히 아쉬운 점이 아닐 수 없다.
♧참고 자료♧
http://www.undp.org/hdr2003/indicator/pdf/hdr03_indicators.pdf
http://www.undp.org/hdr2003/faq.html
#31
http://www.un-mongolia.mn/publication/files/mhdr.pdf
"몽골의 가족과 민속", 박환영, 1999.05
그러나 양국 모두 여성의 교육 정도에 비하여 고위 관료나 정치인의 여성 비율이 낮은 것은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몽골의 경우 사회 전반적인 교육 수준은 여성이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정치 참여도가 이처럼 낮은 것은 상당히 아쉬운 점이 아닐 수 없다.
♧참고 자료♧
http://www.undp.org/hdr2003/indicator/pdf/hdr03_indicators.pdf
http://www.undp.org/hdr2003/faq.html
#31
http://www.un-mongolia.mn/publication/files/mhdr.pdf
"몽골의 가족과 민속", 박환영, 1999.05
추천자료
경제영역에서 본 한국여성의 불평등
20세기 한국문학의 여성성
한국 성폭력 실태와 여성NGO 활동
한국영화에 나타난 남성다움과 여성다움
한국영화를 통해 본 시대별 여성의 이미지
용인시에 거주하는 여성결혼 이민자 한국어교육현황
한국 속담 중 여성비하에 대한 것 10개를 쓰고 그 뜻을 설명
이주여성 프로그램 참여도와 한국사회적응과의 관계
방통대 과제 한국사회문제(여성노동현실 소수자 문제)
한국에 살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지원방안.
[한국어 교육론] 여성결혼이민자교재의 현황 분석 및 개선 - 문법 발음 어휘의 측면에서 -
[한국어 교육론] 여성 결혼 이민자 교재의 교수 내용과 교육 과정의 타당성 분석 - 초급 교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