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여성과 한국 여성의 지위 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몽골 여성과 한국 여성의 지위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여성 개발 지수(gender-related development index) 비교

2) 여성 권한 척도(gender empowerment measure) 비교

3) 교육에 있어서의 성차별 정도

4)경제 활동에 있어서의 성차별 정도

5) 일과 시간의 성 분배

6) 여성의 정치 참여도

본문내용

인보다는 집합적 결속을 중시하고 가족 구성원 모두를 다 중요시 하여 우리나라와 같은 남녀차별이 없었음에 기인한다. 다만 몽골에서도 성(性)에 의한 노동의 분할 (gender division of labour)은 있었다. 예를 들어 몽골의 소녀들은 젖을 짜고, 청소하고, 빨래하고, 요리하고, 바느질하는 일에 주로 관여하는 반면에 몽골의 소년들은 가축을 돌보고(특히 말), 집을 수리하고, 가축을 도살하고, 멀리 심부름 가고 (전갈, 선물 혹은 초청장 등을 보냄), 사냥 (곰, 늑대 그리고 설치동물의 일종인 마모트 등) 그리고 오토바이나 차를 운전하는 일에 관여한다. 이러한 노동의 분할은 탈 사회주의 몽골에서 많은 여성들이 집에서 떨어져서 일함으로 해서 다소 약화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랜 세월 동안 지속되어 온 성(性)에 기반을 둔 노동의 유목적인 전통은 몽골의 대부분 지역에서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양국 모두 여성의 교육 정도에 비하여 고위 관료나 정치인의 여성 비율이 낮은 것은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몽골의 경우 사회 전반적인 교육 수준은 여성이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정치 참여도가 이처럼 낮은 것은 상당히 아쉬운 점이 아닐 수 없다.
♧참고 자료♧
http://www.undp.org/hdr2003/indicator/pdf/hdr03_indicators.pdf
http://www.undp.org/hdr2003/faq.html
#31
http://www.un-mongolia.mn/publication/files/mhdr.pdf
"몽골의 가족과 민속", 박환영, 1999.05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5.1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