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유부벽정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연구사 검토
1.1 연구사
1.2 검토

2.김시습의 역사의식

3. <취유부벽정기>에 나타난 김시습의 역사철학
3.1 인물의 형상화
3.2 공간의 형상화

4. 결론

본문내용

이다.
한편 부벽정은 기씨녀의 현실세계에 대한 귀환 욕구를 표출시키는 매개 공간이기도 하다. 초월계의 기씨녀도 현실 공간의 한 부분인 부벽정에서 홍생과의 만남을 통해 현실로의 귀환 욕구를 노출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초월계에 속한 기씨녀가 준 초월적 공간인 부벽정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김시습은 현실계에 존재하는 홍생의 초월계 방문을 유도하지 않고도 홍생의 현실 초월 욕구를 형상화 할 수 있으며, 기씨녀를 홍생이 생활하는 현실 공간으로 이동시키지 않고서도 기씨녀의 현실 지향 욕구를 형상화 할 수 있게 된다. 위의 논문, p. 13
결국 부벽정은 두 사람의 욕구가 그 자리에서 대면할 수 있도록 하는 곳이다. 이를 통해 두 인물은 서로가 가진 갈등을 해소하고, 결국에는 그 욕망을 해소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받는 것이다.
4. 결론
<취유부벽정기>를 해석하는 방법에는 서론에서 살펴보았듯 다양한 시각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것’이나 주로 접하게 되는 공론화 된 평을 보면 <만복사저포기>나 <이생규장전> 과 비슷하게 남녀간의 애정 윤리 문제를 구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적 바탕 위에서 타당성 있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환상적인 것으로 되어 있으며, 두 인물의 지향과 정열과 뜨겁지 못하고 현실감을 덜 준다고 해석한다.
하지만 단순히 남녀간의 문제로 보기에는 <만복사저포기>나 <이생규장전>처럼 인간의 정을 그리워하는 여귀가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홍생을 선계로 이끄는 기씨녀가 등장한다는 점, 그리고 홍생도 양생이나 이생처럼 여인에 대한 정을 느끼기보다는 기씨녀와의 이념의 공감을 통하여 그녀처럼 되고 싶다는 욕망을 갖고 있는 것이 걸림돌이 된다.
홍생이 기씨녀를 만나서 시로써 정신적 교감을 했다는 것과 결국 그녀를 따라간다는 서사 자체에 설득력을 더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우리는 김시습이 가긴 역사적 철학과 그것에 비롯되어 <취유부벽정기>에 나타난 형상화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시선에서 작품을 바라보면 김시습이 당대에 <취유부벽정기>를 통해서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 알 수 있다. 그는 문학을 통하여 자신이 처한 현실에 동화될 수 없는 주관을 피력하면서도 결국 부딪치게 되는 현실적 장벽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기씨녀를 따라 선화(仙化)하고자 한 것은 그의 소망이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그만큼 <취유부벽정기>는 지은이 김시습의 내외면적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는 소설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5.1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