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요약(발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발해와 그 문화 >

< 후기신라의 사회와 문화 >

본문내용

마을이나 무덤을 조성해야 인간이 행복해질 수 있다고 주장
(4) 국도 풍수학; 적합한 수도를 찾는 것에 관심을 둠, 개성, 평양, 한양이 수도에 적합하 다고 주장함 → 경주에 편중된 국토개발을 극복하려는 정치적 의도
(5) 고려와 조선시대에 큰 영향을 줌; 고려의 수도를 개성으로 정하고, 평양과 한양을 서 경과 남경으로 키우고 국토를 진취적으로 재편성함
(6) 의의와 한계; 국가발전과 읍락발전에 기여함, 정치적 목적이나 명당 무덤자리에 이용 하여 폐단을 일으킴
3) 유교의 진흥
(1) 신문왕; 국학 설립 - 12등급에 해당하는 대사 이하의 하급귀족에게 입학자격을 줌
(2) 성덕왕; 공자와 그 제자들의 화상을 국학에 안치
(3) 경덕왕; 태학감, 박사와 조교를 두고 삼과를 정하여 유교교육을 전문화시킴
(4) 원성왕; 독서삼품과 실시, 무치를 문치로 바꾸는 계기가 됨
(5) 6두품 출신의 학자들
① 강수; 외교문서를 잘 지음, 불교를 세외교라고 비판함
② 설총; 이두를 집대성, 한문교육의 대중화에 기여, <화왕계>
③]최치원; 빈공과 급제, <계원필경>, 시무상소
④ 김대문; <화랑세기>, <고승전> 등, <삼국사기> 편찬의 참고자료가 됨
4) 과학기술
(1) 김암; 천문관측, <둔갑입성법>, 육진병법
(2) 첨성대; 천문관측
(3) <삼국사기>; 일식, 월식, 지진, 혜성의 출현, 그밖의 기상이변에 대한 기록이 매우 매우 많고 내용이 정확함
(4) 수학
① 석굴암, 석가탑, 다보탑 등 여러 불탑의 균형잡힌 비례구성
② 해시계, 물시계
(5) 의학
① 전통적인 경험의학을 토대로 중국, 인도계통의 불교의학의 영향 받음
(6) 석굴암의 습기제거를 위한 통풍장치, 황룡사종과 성덕왕 신종의 기술의 높은 수준
(7) 목판 인쇄술과 제지술;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5) 건축, 조각, 공예
(1) 건축
① 불국사; 불국토의 이상을 균형잡힌 미적 감각으로 표현
② 감은사지 3층석탑; 뛰어난 균형미
③ 양양 진전사지 3층석탑; 석탑의 기단과 탑신부분에 조각이 등장
④ 목탑에서 화강암 석탑으로 바뀜
⑤ 법주사 쌍사자 석등; 단아함과 균형미
⑥ 석굴암; 인공으로 축조한 석굴사원, 무덤양식과 사찰양식을 합침, 완벽한 균형과 비 례를 이룸, 부처의 힘으로 왜구를 막으려는 호국정신이 깃들여 있음
⑦ 안압지
(2) 조각
① 성덕왕 신종; 비천상과 연호문의 조각은 일품임
② 김유신묘와 괘릉의 12지신상 조각
③ 무열왕릉 능비; 거북이받침돌 조각이 매우 힘차고 아름다움
(3) 공예
① 만불산; 하늘이 낸 재주라고 함
② 선사들의 묘탑으로 조성된 부도
6) 문학, 그림, 글씨
(1) 문학
① 향가; <삼대목>, <삼국유사> 14수, 지식층의 문학
② 설화문학; 이야기식으로 구전됨, 충효를 주제로 한 것이 많음, <삼국유사>에 많이 실 려 있음
(2) 그림
① 솔거; 황룡사 벽화, 분황사의 관음보살상, 진주 단속사의 유마상
② 정화, 홍계; 승려화가
(3) 글씨
① 김생; 신품
② 김인문
③ 요극일; 당의 구양순체 체득, 고려시대 유행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5.12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