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십자[Red Cross 赤十字 국제적십자]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적십자[Red Cross 赤十字 국제적십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제적십자란 무엇인가?

2. 국제적십자의 탄생배경

3. 국제적십자운동 기본원칙

4. 국제적십자의 구성기관 (Humanity)

5. 국제적십자 의결기구

6. 적십자의 구체적 활동

7. 적십자 활동내용 예시

8. 국제인도법과 제네바 조약이란?

본문내용

또는 무력충돌법은 통상적으로 군대에서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국제인도법은 인권법, 난민법과는 상호 보완적이지만 별개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② 제네바4개 협약 공통3조
체약국의 영토 내에서 발생하는 국제적 성격을 띄지 아니한 무력충돌의 경우에 있어서 당해 충돌의 각 당사국은 적어도 다음 규정의 적용을 받아야 한다.
가. 무기를 버린 전투원 및 질병, 부상, 억류, 기타의 사유로 전투력을 상실한자를 포함하 여 적대행위에 능동적으로 참가하지 아니하는 자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인종, 색, 종교 또는 신앙, 성별, 문벌이나 빈부, 또는 기타의 유사한 기준에 근거한 불리한 차별 없이 인도적으로 대우하여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의 자에 대한 다음의 행위는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이를 금지한다.
◎ 생명 및 신체에 대한 폭행, 특히 모든 종류의 살인, 상해, 학대 및 고문
◎ 인질로 잡는 일
◎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침해, 특히 모욕적이고, 치욕적인 대우
◎ 문명국인이 불가결하다고 인정하는 모든 법적 보장을 부여하는 정상적으로 구성된 법 원의 사전 재판에 의하지 아니하는 판결의 언도 및 형의 집행.
나. 부상자, 병자 및 조난자는 수용하여 간호하여야 한다.
국제적십자위원회와 같은 공정한 인도적 단체는 그 용역을 충돌당사국에 제공할 수 있 다. 충돌당사국은 특별협정에 의하여 본 협약의 다른 규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시하 도록 더욱 노력하여야 한다. 전기의 규정의 적용은 충돌당사국의 법적 지위에 영향을 미 치지 아니한다.
③ 국제인도법의 주요사항
국제인도법에서 규정하는 주요사항은
『전쟁이나 무력충돌의 상황하에서도 인간의 생명과 건강의 보호, 고통의 경감 그리고 인 간의 존엄성은 보장되어야 하며, 희생자(보호대상자)들의 국적, 종교, 계급, 인종 또는 정치 적 견해에 대하여 차별함이 없이
◁ 전투에 가담하지 않거나 또는 더 이상 가담할 수 없는 사람은 모두 보호한다.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표장, 의료요원, 시설, 장비 등도 존중한다.)
◁ 전쟁의 수단과 방법을 금지 또는 제한한다.
◁ 인도법의 위반은 억제되어야 하며, 이를 위반한 자에 대해서는 처벌한다.』라고 할 수 있다.
④ 제네바 조약
1859년 6월, 이탈리아의 사르디니아(Sardinia)국은 프랑스와 연합하여 이탈리아의 통일을 위하여 롬바르디아(Lombardia)라는 큰 평원에 있는 솔페리노 언덕에서 오스트리아군과 전투를 하게 되었다. 35만여명의 전투 군인 중 4만여명의 사상자를 낸 15시간의 백병전 위주의 전쟁이었기에 그 시대에서는 가장 격렬하고 참혹한 전투로 기록되어진다.
스위스의 사업가 앙리 뒤낭은 사업차 프랑스의 황제 나폴레옹 3세를 만나러 우연히 이곳을 지나던 중 이 전투의 결과로 빚어진 비참함을 목격하고 자기의 사업은 잊은 채 마을 부녀자들과 함께 사상자들을 위해 ‘Tutti Fratelli - 모든 사람은 형제다 - All men are brothers'라는 인간애, 형재애를 바탕으로 헌신적으로 구호하였으며, 그 후 3년간의 집필과 노력 끝에 '솔페리노의 회상'이란 책을 저술하여 2가지 중요한 제안을 주창했다.
그 제안 중의 하나는 전쟁 중에 부상당하여 더 이상 싸울 수 없는 젊은이들을 죽어가게 그대로 버려 둔다는 것은 죄악이기 때문에, 적군과 아군의 차별함이 없이 젊은이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구호단체를 설립하여 평상시에 자원봉사자를 훈련 시켜야 한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이 구호단체가 전쟁터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국제조약을 체결하여 전쟁당사국들은 이를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1862년에 출간된 이 책은 유럽 각국에 비상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으며, 제네바에서는 앙리 뒤낭을 비롯한 5인위원회가 구성되어 이 제안을 구체화하기에 이른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오늘날 적십자사/적신월사(2002년 9월현재 178개국)가 결성되어 인도주의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5인위원회에서 작성된 협약 초안은 1864년 8월22일, 16개국이 참가한 외교회의에서 육전에 있어서의 부상자 보호를 위한 최초의 제네바협약으로 탄생하게 된다. 이 협약의 정식명칭은 「전지(戰地)에 있어서 군대 부상자의 상태 개선에 관한 1864년 8월 22일자 제네바협약」이며, 10개 조문으로 되어 있다. 이 협약의 목적은 전지에서 부상당하거나 질병에 걸린 군인은 국적을 불문하고 보호하고 치료하여 주며 그들을 구호하는 요원이나 시설을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있었다.
이 최초의 제네바협약은 육전에서의 전쟁 희생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점차 전쟁의 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이것을 해전에 적용하기 위하여「1864년 8월 22일 제네바 협약의 제원칙을 해전에서 응용하기 위한 1899년 7월 29일 헤이그협약」이 제정되었다. 또한 부상자, 조난자 못지 않게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당하는 전쟁 희생자, 즉 포로의 인도적 대우에 관한 협약은 제 1차 세계대전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포로의 대우에 관한 1929년 7월 27일 제네바협약」이 제정되었다.
이 3개의 제네바협약이 제2차 세계대전까지 적용되는 과정에서 발견된 결함이나 미비한 상황을 보완하는 작업이 ICRC에 의해 착수되어 3년여 동안의 노력 끝에 1948년 제17차 적십자국제회의에 제출되었고, 1949년 8월 12일, 제네바에서 개최된 외교회의에서 민간인 보호에 관한 협약이 추가된 전쟁 희생자 보호에 관한 4개의 협약이 채택되었다.
그 4개 협약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제Ⅰ협약 : 육전에 있어서의 군대의 부상자 및 병자의 상태 개선에 관한 제네바협약
제Ⅱ협약 : 해상에 있어서의 군대의 부상자, 병자 및 조난자의 상태 개선에 관한 제네바
협약
제Ⅲ협약 : 포로 대우에 관한 제네바협약
제Ⅳ협약 : 전시에 있어서의 민간인 보호에 관한 제네바협약
이상의 4개 협약은 429개 조문과 11개의 부속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협약은 거의 모든 국가가 가입(189개국, 2002년 9월 현재)함으로써,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국제법인 것이다. 우리나라는 최초의 제네바협약(1864년)에 1903년 1월 8일 가입하였고, 제네바4개협약(1949년)에는 1966년 8월 16일에 가입하였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6.05.1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1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