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Ⅱ.관리도(Control chart) 1
1. 개념 1
2. 관리도의 역사 1
3. 관리도를 사용하는 이유 2
4. 관리도의 기본이론 2
5. 관리도의 설계시 중요한 모수 3
6. 목적 분류 3
1) 해석용 관리도 3
2) 관리용 관리도 3
7. 관리도 사용순서 4
Ⅲ. 관리도 4
1. 개념 4
2. 관리도의 작성 순서 5
Ⅲ. 관리도 작성 7
1) < ― 관리도> 10
2) <R- 관리도> 10
Ⅳ. 결 론 11
* 참고문헌 11
Ⅱ.관리도(Control chart) 1
1. 개념 1
2. 관리도의 역사 1
3. 관리도를 사용하는 이유 2
4. 관리도의 기본이론 2
5. 관리도의 설계시 중요한 모수 3
6. 목적 분류 3
1) 해석용 관리도 3
2) 관리용 관리도 3
7. 관리도 사용순서 4
Ⅲ. 관리도 4
1. 개념 4
2. 관리도의 작성 순서 5
Ⅲ. 관리도 작성 7
1) < ― 관리도> 10
2) <R- 관리도> 10
Ⅳ. 결 론 11
* 참고문헌 11
본문내용
리도의 관리한계선을 계산한다.
(CL:중심선, UCL:관리상한선, LCL:관리하한선)
CL=
UCL =
LCL :
⑦ R관리도의 관리한계선을 계산한다.
CL=
UCL =
LCL :
⑧ 관리한계선을 작성하고 점을 기입한다.
⑨ 관리상태를 판정한다.
⑩ 관리한계선을 조정한다.
Ⅲ. 관리도 작성
다음에는 실제의 수치를 적용하여 관리도를 작성해 보도록 하겠다.
표본의 개수 : 20 표본의 크기(n) : 5
< 관리도 계수 >
2
1.880
2.659
0.798
0.000
3.267
1.128
0.853
0.000
3.267
1.000
3
1.023
1.954
0.886
0.000
2.568
1.693
0.888
0.000
2.575
1.160
4
0.729
1.628
0.921
0.000
2.266
2.059
0.880
0.000
2.282
1.092
5
0.577
1.427
0.940
0.000
2.089
2.326
0.864
0.000
2.114
1.198
6
0.483
1.287
0.952
0.030
1.970
2.534
0.848
0.000
2.004
1.135
7
0.419
1.182
0.959
0.118
1.882
2.704
0.833
0.076
1.924
1.214
8
0.373
1.099
0.965
0.185
1.815
2.847
0.820
0.136
1.864
1.160
9
0.337
1.032
0.969
0.239
1.761
2.970
0.808
0.184
1.816
1.223
10
0.308
0.975
0.973
0.284
1.716
3.078
0.797
0.223
1.777
1.176
11
0.285
0.927
0.975
0.321
1.679
3.173
0.787
0.256
1.744
1.228
12
0.266
0.886
0.978
0.354
1.646
3.258
0.778
0.283
1.717
1.188
13
0.249
0.850
0.979
0.382
1.618
3.336
0.770
0.307
1.693
1.232
14
0.235
0.817
0.981
0.406
1.594
3.407
0.763
0.328
1.672
1.196
15
0.223
0.789
0.982
0.428
1.572
3.472
0.756
0.347
1.653
1.235
16
0.212
0.763
0.983
0.448
1.552
3.532
0.750
0.363
1.637
1.203
17
0.203
0.739
0.985
0.466
1.534
3.588
0.744
0.378
1.622
1.237
18
0.194
0.718
0.985
0.482
1.518
3.640
0.739
0.391
1.609
1.208
19
0.187
0.698
0.986
0.497
1.503
3.689
0.733
0.404
1.596
1.239
20
0.180
0.680
0.987
0.510
1.490
3.735
0.729
0.415
1.585
1.212
< 실제 측정치>
표본번호
일자
평균
범위
1
9/21
2.0
1.9
1.9
2.3
2.0
2.02
0.4
2
2.1
2.2
2.0
2.0
2.1
2.08
0.2
3
2.1
1.7
1.8
2.2
2.2
1.90
0.5
4
1.8
1.8
2.0
1.9
2.0
1.90
0.2
5
2.2
2.2
1.9
2.0
1.9
2.04
0.3
6
2.0
1.8
2.0
1.9
2.0
1.94
0.2
7
9/22
1.8
1.7
2.0
2.0
1.7
1.84
0.3
8
1.8
1.9
1.9
2.4
2.1
2.02
0.6
9
1.9
2.2
2.0
2.0
2.0
2.02
0.3
10
2.2
1.9
1.6
1.9
1.8
1.88
0.6
11
2.0
2.0
2.1
1.8
1.8
2
0.3
12
1.9
1.8
2.1
2.1
2.0
1.98
0.3
13
9/23
1.6
1.8
1.9
2.0
2.0
1.86
0.4
14
2.1
2.2
2.1
1.8
1.8
2.04
0.4
15
1.8
1.8
1.6
2.1
2.2
1.90
0.6
16
2.4
2.1
2.1
2.0
2.0
2.14
0.4
17
2.1
1.9
1.9
1.9
1.9
1.94
0.2
18
2.0
2.1
1.9
2.2
2.2
2.04
0.3
19
9/24
2.0
2.0
2.3
2.2
1.8
2.06
0.5
20
2.2
2.2
2.0
1.8
2.2
2.08
0.4
계
39.68
7.4
이므로
39.68 / 20 = 1.984
이므로
7.4 / 20 = 0.37
∴,
n=5 일 때 관리한계 계수표에 의하여 , , 이므로 관리한계는 다음과 같다.
관리도는
관리상한선 = UCL = = 1.984 + (0.5770.37) = 2.197
관리하한선 = LCL = = 1.984 - (0.5770.37) = 1.771
UCL =2.197, LCL =1.771
R관리도는
관리상한선 = UCL = = 2.1150.37 = 0.782
관리하한선 = LCL = = 00.37 = 0
UCL =0.782, LCL =0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 ― 관리도>
UCL=2.197
CL==1.984
LCL=1.771
2)
Ⅳ. 결 론
이상 수치적 예를 통하여 관리도를 작성해 보았다. 이러한 관리도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품질 생산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고, 불량품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앞부분에서 살펴보았다.
우리가 현재 작성해 본 -R 관리도는 계량형 관리도로, 이는 계수형 관리도 보다 더욱 효율적인 통제절차이며, 공정성과에 대한 중심경향과 분산 등에 대한 더욱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품질관리에 널리 이용된다. 또한 계량자료는 계수자료보다 수집하는 데 더 많은 비용을 요하지만 샘플크기를 작게함으로써 계량형 관리도를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김태웅문상원, 생산관리, 방송대 출판부, 2001
2. 김희탁, 백종현 등저, 생산관리, 법문사, 1999
3. 백종현, 생산관리론, 삼영사, 1999
4. 노형진, 품질경영론, 형설출판사, 1997
5. 김기영 외, 품질경영, 박영사, 1999
6. 안영진유영목, 생산운영관리, 박영사, 1999
7. 송문익 등편, 생산관리입문, 청문각, 2001
(CL:중심선, UCL:관리상한선, LCL:관리하한선)
CL=
UCL =
LCL :
⑦ R관리도의 관리한계선을 계산한다.
CL=
UCL =
LCL :
⑧ 관리한계선을 작성하고 점을 기입한다.
⑨ 관리상태를 판정한다.
⑩ 관리한계선을 조정한다.
Ⅲ. 관리도 작성
다음에는 실제의 수치를 적용하여 관리도를 작성해 보도록 하겠다.
표본의 개수 : 20 표본의 크기(n) : 5
< 관리도 계수 >
2
1.880
2.659
0.798
0.000
3.267
1.128
0.853
0.000
3.267
1.000
3
1.023
1.954
0.886
0.000
2.568
1.693
0.888
0.000
2.575
1.160
4
0.729
1.628
0.921
0.000
2.266
2.059
0.880
0.000
2.282
1.092
5
0.577
1.427
0.940
0.000
2.089
2.326
0.864
0.000
2.114
1.198
6
0.483
1.287
0.952
0.030
1.970
2.534
0.848
0.000
2.004
1.135
7
0.419
1.182
0.959
0.118
1.882
2.704
0.833
0.076
1.924
1.214
8
0.373
1.099
0.965
0.185
1.815
2.847
0.820
0.136
1.864
1.160
9
0.337
1.032
0.969
0.239
1.761
2.970
0.808
0.184
1.816
1.223
10
0.308
0.975
0.973
0.284
1.716
3.078
0.797
0.223
1.777
1.176
11
0.285
0.927
0.975
0.321
1.679
3.173
0.787
0.256
1.744
1.228
12
0.266
0.886
0.978
0.354
1.646
3.258
0.778
0.283
1.717
1.188
13
0.249
0.850
0.979
0.382
1.618
3.336
0.770
0.307
1.693
1.232
14
0.235
0.817
0.981
0.406
1.594
3.407
0.763
0.328
1.672
1.196
15
0.223
0.789
0.982
0.428
1.572
3.472
0.756
0.347
1.653
1.235
16
0.212
0.763
0.983
0.448
1.552
3.532
0.750
0.363
1.637
1.203
17
0.203
0.739
0.985
0.466
1.534
3.588
0.744
0.378
1.622
1.237
18
0.194
0.718
0.985
0.482
1.518
3.640
0.739
0.391
1.609
1.208
19
0.187
0.698
0.986
0.497
1.503
3.689
0.733
0.404
1.596
1.239
20
0.180
0.680
0.987
0.510
1.490
3.735
0.729
0.415
1.585
1.212
< 실제 측정치>
표본번호
일자
평균
범위
1
9/21
2.0
1.9
1.9
2.3
2.0
2.02
0.4
2
2.1
2.2
2.0
2.0
2.1
2.08
0.2
3
2.1
1.7
1.8
2.2
2.2
1.90
0.5
4
1.8
1.8
2.0
1.9
2.0
1.90
0.2
5
2.2
2.2
1.9
2.0
1.9
2.04
0.3
6
2.0
1.8
2.0
1.9
2.0
1.94
0.2
7
9/22
1.8
1.7
2.0
2.0
1.7
1.84
0.3
8
1.8
1.9
1.9
2.4
2.1
2.02
0.6
9
1.9
2.2
2.0
2.0
2.0
2.02
0.3
10
2.2
1.9
1.6
1.9
1.8
1.88
0.6
11
2.0
2.0
2.1
1.8
1.8
2
0.3
12
1.9
1.8
2.1
2.1
2.0
1.98
0.3
13
9/23
1.6
1.8
1.9
2.0
2.0
1.86
0.4
14
2.1
2.2
2.1
1.8
1.8
2.04
0.4
15
1.8
1.8
1.6
2.1
2.2
1.90
0.6
16
2.4
2.1
2.1
2.0
2.0
2.14
0.4
17
2.1
1.9
1.9
1.9
1.9
1.94
0.2
18
2.0
2.1
1.9
2.2
2.2
2.04
0.3
19
9/24
2.0
2.0
2.3
2.2
1.8
2.06
0.5
20
2.2
2.2
2.0
1.8
2.2
2.08
0.4
계
39.68
7.4
이므로
39.68 / 20 = 1.984
이므로
7.4 / 20 = 0.37
∴,
n=5 일 때 관리한계 계수표에 의하여 , , 이므로 관리한계는 다음과 같다.
관리도는
관리상한선 = UCL = = 1.984 + (0.5770.37) = 2.197
관리하한선 = LCL = = 1.984 - (0.5770.37) = 1.771
UCL =2.197, LCL =1.771
R관리도는
관리상한선 = UCL = = 2.1150.37 = 0.782
관리하한선 = LCL = = 00.37 = 0
UCL =0.782, LCL =0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 ― 관리도>
UCL=2.197
CL==1.984
LCL=1.771
2)
Ⅳ. 결 론
이상 수치적 예를 통하여 관리도를 작성해 보았다. 이러한 관리도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품질 생산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고, 불량품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앞부분에서 살펴보았다.
우리가 현재 작성해 본 -R 관리도는 계량형 관리도로, 이는 계수형 관리도 보다 더욱 효율적인 통제절차이며, 공정성과에 대한 중심경향과 분산 등에 대한 더욱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품질관리에 널리 이용된다. 또한 계량자료는 계수자료보다 수집하는 데 더 많은 비용을 요하지만 샘플크기를 작게함으로써 계량형 관리도를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김태웅문상원, 생산관리, 방송대 출판부, 2001
2. 김희탁, 백종현 등저, 생산관리, 법문사, 1999
3. 백종현, 생산관리론, 삼영사, 1999
4. 노형진, 품질경영론, 형설출판사, 1997
5. 김기영 외, 품질경영, 박영사, 1999
6. 안영진유영목, 생산운영관리, 박영사, 1999
7. 송문익 등편, 생산관리입문, 청문각, 2001
추천자료
주 5일 근무제가 경제경영에 미치는 영향과 노동부와 기업계의 주요쟁점
[A+, 레포트] 독후감 : '경영경제학'을 읽고
[경영용어][경제용어][경영경제용어][경영경제용어해설][경제][경영]경영경제용어(경영용어, ...
[경제][경제학][경제학용어][경제학사상][경영경제학][거시경제학][필립스곡선]경제의 개념, ...
[입학자료] 중앙대학교 사회계열(경영/경제/법학부) 학업계획서
테셋 TESAT 경제.경영 해설집
[독후감상문]경영경제관련도서 14 모음
[경제학][노동경제학][경영경제학][고전경제학][후생경제학][경제성공학][경제사회학][경제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