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 소개
2. 신체사정
3. 병태생리
4. 각종 검사 및 결과
5. 약물 및 치료
6. 간호진단
#1. 신체방어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2. 미숙아와 관련된 황달
#3. 미숙아와 관련된 성장발달 장애
2. 신체사정
3. 병태생리
4. 각종 검사 및 결과
5. 약물 및 치료
6. 간호진단
#1. 신체방어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2. 미숙아와 관련된 황달
#3. 미숙아와 관련된 성장발달 장애
본문내용
방문객의 출입을 제한한다.
⑦제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해준다.
⑧기저귀는 분비물로 오염됐을 때 즉시 갈아준다.
⑨환아 주변을 청결히 해준다.
⑩우유병(젖꼭지)소독을 철저히 한다.
⑪체온계를 다른 아기와 함께 쓰지 않는다.
⑫보육기내 패드를 자주 갈아준다.
⑬필요시 항생제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②감염의 초기 증상으로는 발열이 있고 후기 증상으로는 저체온이 나타난다.
⑤손씻기는 전파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⑥신체 방어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비말감염, 접촉 감염 등의 감수성이 높아진다.
⑩젖병, 젖꼭지 및 보육기의 오염에 의한 위장 감염이 있을 수 있다.
⑬Unasyn, Amikacin 은 항생제이다.
수행
②감염 증상을 관찰하기 위해 체온측정과 피부색을 관찰하였다.
(11/23: BT- 36.2, 피부색- 분홍빛)
③IV삽입 부위에 감염증상을 관찰하였다.
④외과적 처치시 무균술을 지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⑤환아를 만지기 전에 반드시 손을 씻었다.
⑥면회는 부모에 한해서 허용하고 출입시 가운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⑦분비물로 인해 제대가 오염되지 않도록 기저귀는 제대 아래부위에 채워준다.
⑧기저귀는 분비물로 오염되었을 때 즉시 갈아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⑨환아 주변을 청결히 해주었다.(쓰레기통을 비움)
⑩우유병 세척하고 소독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⑪체온계는 세균 감염된 환아와 구분해서 사용하고 사용 후 소독용액에 담가두었다.
⑫보육기내 패드는 오염되면 갈아주었다.
⑬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평가
①환아는 기저귀 발진이 심하지 않고 점점 나아가고 있다.
②환아는 비말로 인한 호흡기 감염이 나타나지 않았다.
③환아는 정상범위의 활력징후를 유지하고 있다.
#1. 신체방어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2. 미숙아와 관련된 황달
사정
<객관적 자료>
①제태기간 : 34주 4일
②Total bilirubin - 2.53mg/dl (정상 - 0.2~1.2mg/dl)
③Direct bilirubin - 0.34mgdl (정상 - 0~0.4mg/dl)
④광선치료로 인해 피부가 울긋불긋하다.
목표
<장기목표>
황달로 인한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빌리루빈 수치가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②황달이 증상이 사라진다.
③광선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계획
<진단적 계획>
①체온, 맥박, 호흡수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②피부발진이 있는지 관찰한다.
③광선 치료 시 안대를 착용하였는지 관찰한다.
④수유시간에는 광선치료를 중단하고 안대를 제거한다.
⑤적절한 수분을 공급한다.
⑥적절한 높이에서 광선요법 빛을 위치하게 한다.
⑦피부를 완전히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탈의한다.
⑧생식기는 덮어서 보호한다.
⑨신체의 모든 부위가 적절히 광선에 노출되도록 자세를 바꾸어준다.
이론적근거
①광선 치료시 방사열로 인해 체온이 상승할 수 있다.
③안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신생아의 눈이 강한 빛에 노출되어 망막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④손상을 최소화하고 눈가리개를 제거하여 주위 환경과의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⑤불감성 수분손실과 장관의 수분손실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수행
①체온과 호흡수를 사정하였다.
②피부발진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관찰을 하였다.
③환아의 안대가 잘 착용되었는지 관찰하고 안대가 떨어져있으면 선생님께 말씀드렸다.
⑤탈수의 징후를 관찰함(체중감소, 피부긴장도)
⑥적절한 높이에서 광선치료를 받도록 기계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⑦환아가 옷을 다 벗고 광선요법을 받는 것을 관찰하였다.
⑧생식기 손상을 막기위해 환아가 기저귀를 차고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⑨환아의 자세를 바꾸어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평가
②환아는 아직 피부가 노란빛을 띄고 있다.
③광선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3. 미숙아와 관련된 성장발달 장애
사정
①제태기간- 34주 4일
②체중- 1830g(11/23)
③환아는 위관영양을 하고 있다.
(11/21 : NPO, 11/22 : 모유 3cc × 6번, 11/23 : 모유 5cc × 3번, 7cc × 3번, 10cc × 1번)
목표
<장기목표>
환아는 정상적인 성장발달을 한다.
<단기목표>
①환아는 꾸준히 일정한 체중증가를 나타낸다.
②환아는 적절한 자극에만 노출된다.
계획
<진단적 계획>
①몸무게와 신장을 체크한다.
(신장 - 43.5cm, 몸무게- 1830g)
②I&O를 체크한다.
③보육기의 온도가 잘 유지되는지 수시로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
③수유 후 조심스럽게 다루고 움직임을 적게 한다.
④꾸준한 체중증가와 뇌의 성장을 확보하는 최적의 영양공급을 해준다.(점차적으로 양을 늘린다.)
⑤호흡을 돕기 위해 작은 수건을 환아의 어깨 밑에 받쳐준다.
⑥정상적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부모-영아 상호작용을 증진한다.
⑦환아를 접촉할 때마다 철저히 손을 씻는다.
⑧불필요한 산소사용과 칼로리 소비를 줄이기 위해 방해 받지 않는 규칙적인 휴식시간을 제공한다.
⑨필요시 위관영양을 실시한다.
이론적 근거
④대사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체중이 감소됨
⑨미숙아는 일반적으로 흡철능력이 약하고 연하반사도 불안정하며 소화능력도 미숙하다.
수행
①몸무게와 신장을 재는 것을 관찰하였다.
②I&O 체크함
11/21
11/22
11/23
IN
OUT
IN
OUT
IN
OUT
D
E
N
D
E
N
D
E
N
D
E
N
D
E
N
D
E
N
68
78
124
52
54
102
80
82
114
40
43
55
66
70
73
88
80
85
합계
합계
합계
합계
합계
합계
270
208
276
138
209
253
③보육기 온도를 수시로 관찰하였다.
④환아가 위관영양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⑤환의 어깨 밑에 베갯잇을 접어 받쳐두는 것을 관찰하였다.
⑥환아 어머니께서 면회 왔을 때 환아와 접촉하고 모아관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⑦환아와 접촉할 때 마다 손을 씻었다.
⑧수유 후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였다.
평가
①환아의 체중변화
11/21(1890g)→11/22(1840g, -50)→11/23(1830g, -10)로 출생시보다 180g 줄었다.
②환아는 적절한 자극에만 노출되고 있다.
⑦제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해준다.
⑧기저귀는 분비물로 오염됐을 때 즉시 갈아준다.
⑨환아 주변을 청결히 해준다.
⑩우유병(젖꼭지)소독을 철저히 한다.
⑪체온계를 다른 아기와 함께 쓰지 않는다.
⑫보육기내 패드를 자주 갈아준다.
⑬필요시 항생제를 투여한다.
이론적 근거
②감염의 초기 증상으로는 발열이 있고 후기 증상으로는 저체온이 나타난다.
⑤손씻기는 전파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⑥신체 방어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비말감염, 접촉 감염 등의 감수성이 높아진다.
⑩젖병, 젖꼭지 및 보육기의 오염에 의한 위장 감염이 있을 수 있다.
⑬Unasyn, Amikacin 은 항생제이다.
수행
②감염 증상을 관찰하기 위해 체온측정과 피부색을 관찰하였다.
(11/23: BT- 36.2, 피부색- 분홍빛)
③IV삽입 부위에 감염증상을 관찰하였다.
④외과적 처치시 무균술을 지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⑤환아를 만지기 전에 반드시 손을 씻었다.
⑥면회는 부모에 한해서 허용하고 출입시 가운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⑦분비물로 인해 제대가 오염되지 않도록 기저귀는 제대 아래부위에 채워준다.
⑧기저귀는 분비물로 오염되었을 때 즉시 갈아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⑨환아 주변을 청결히 해주었다.(쓰레기통을 비움)
⑩우유병 세척하고 소독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⑪체온계는 세균 감염된 환아와 구분해서 사용하고 사용 후 소독용액에 담가두었다.
⑫보육기내 패드는 오염되면 갈아주었다.
⑬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평가
①환아는 기저귀 발진이 심하지 않고 점점 나아가고 있다.
②환아는 비말로 인한 호흡기 감염이 나타나지 않았다.
③환아는 정상범위의 활력징후를 유지하고 있다.
#1. 신체방어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2. 미숙아와 관련된 황달
사정
<객관적 자료>
①제태기간 : 34주 4일
②Total bilirubin - 2.53mg/dl (정상 - 0.2~1.2mg/dl)
③Direct bilirubin - 0.34mgdl (정상 - 0~0.4mg/dl)
④광선치료로 인해 피부가 울긋불긋하다.
목표
<장기목표>
황달로 인한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①빌리루빈 수치가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②황달이 증상이 사라진다.
③광선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계획
<진단적 계획>
①체온, 맥박, 호흡수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②피부발진이 있는지 관찰한다.
③광선 치료 시 안대를 착용하였는지 관찰한다.
④수유시간에는 광선치료를 중단하고 안대를 제거한다.
⑤적절한 수분을 공급한다.
⑥적절한 높이에서 광선요법 빛을 위치하게 한다.
⑦피부를 완전히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탈의한다.
⑧생식기는 덮어서 보호한다.
⑨신체의 모든 부위가 적절히 광선에 노출되도록 자세를 바꾸어준다.
이론적근거
①광선 치료시 방사열로 인해 체온이 상승할 수 있다.
③안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신생아의 눈이 강한 빛에 노출되어 망막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④손상을 최소화하고 눈가리개를 제거하여 주위 환경과의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⑤불감성 수분손실과 장관의 수분손실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수행
①체온과 호흡수를 사정하였다.
②피부발진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관찰을 하였다.
③환아의 안대가 잘 착용되었는지 관찰하고 안대가 떨어져있으면 선생님께 말씀드렸다.
⑤탈수의 징후를 관찰함(체중감소, 피부긴장도)
⑥적절한 높이에서 광선치료를 받도록 기계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⑦환아가 옷을 다 벗고 광선요법을 받는 것을 관찰하였다.
⑧생식기 손상을 막기위해 환아가 기저귀를 차고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⑨환아의 자세를 바꾸어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평가
②환아는 아직 피부가 노란빛을 띄고 있다.
③광선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3. 미숙아와 관련된 성장발달 장애
사정
①제태기간- 34주 4일
②체중- 1830g(11/23)
③환아는 위관영양을 하고 있다.
(11/21 : NPO, 11/22 : 모유 3cc × 6번, 11/23 : 모유 5cc × 3번, 7cc × 3번, 10cc × 1번)
목표
<장기목표>
환아는 정상적인 성장발달을 한다.
<단기목표>
①환아는 꾸준히 일정한 체중증가를 나타낸다.
②환아는 적절한 자극에만 노출된다.
계획
<진단적 계획>
①몸무게와 신장을 체크한다.
(신장 - 43.5cm, 몸무게- 1830g)
②I&O를 체크한다.
③보육기의 온도가 잘 유지되는지 수시로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
③수유 후 조심스럽게 다루고 움직임을 적게 한다.
④꾸준한 체중증가와 뇌의 성장을 확보하는 최적의 영양공급을 해준다.(점차적으로 양을 늘린다.)
⑤호흡을 돕기 위해 작은 수건을 환아의 어깨 밑에 받쳐준다.
⑥정상적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부모-영아 상호작용을 증진한다.
⑦환아를 접촉할 때마다 철저히 손을 씻는다.
⑧불필요한 산소사용과 칼로리 소비를 줄이기 위해 방해 받지 않는 규칙적인 휴식시간을 제공한다.
⑨필요시 위관영양을 실시한다.
이론적 근거
④대사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체중이 감소됨
⑨미숙아는 일반적으로 흡철능력이 약하고 연하반사도 불안정하며 소화능력도 미숙하다.
수행
①몸무게와 신장을 재는 것을 관찰하였다.
②I&O 체크함
11/21
11/22
11/23
IN
OUT
IN
OUT
IN
OUT
D
E
N
D
E
N
D
E
N
D
E
N
D
E
N
D
E
N
68
78
124
52
54
102
80
82
114
40
43
55
66
70
73
88
80
85
합계
합계
합계
합계
합계
합계
270
208
276
138
209
253
③보육기 온도를 수시로 관찰하였다.
④환아가 위관영양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⑤환의 어깨 밑에 베갯잇을 접어 받쳐두는 것을 관찰하였다.
⑥환아 어머니께서 면회 왔을 때 환아와 접촉하고 모아관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⑦환아와 접촉할 때 마다 손을 씻었다.
⑧수유 후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였다.
평가
①환아의 체중변화
11/21(1890g)→11/22(1840g, -50)→11/23(1830g, -10)로 출생시보다 180g 줄었다.
②환아는 적절한 자극에만 노출되고 있다.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정상 신생아 사정 - 구로병원 NR의 신생아 건강사정 case
[신생아실(NUR) 컨퍼런스 CONFERENCE] 정상신생아 사정
[아동간호학][신생아 RDS][신생아 호흡부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 신생아간호 사정 및 간호과정 <신생아실 사례보고서 내용>
[신생아실] 당뇨병 어머니의 신생아 (IDM ; infant of diabetic mother) 케이스 스터디(CaseS...
[보육학개론] 신생아기(新生兒期)의 발달과 보육 (출생~1개월) {신생아의 감각 및 지각 발달,...
[영유아발달] ≪신생아 발달(新生兒發達)≫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과 상태, 반사기능, 지각능력
[아동간호학] 신생아질환 - 출생시 손상(birth trauma), 신생아의 피부 문제, 생리적 합벽증
[신생아기 생리적 특징] 신생아의 생리적 기능
고위험 신생아의 특징 및 성숙이상에 따른 고위험 신생아의 특징 (미숙아 및 과숙아)
고위험 신생아(패혈증) 및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과정
[신생아기 발달]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및 생리적 기능
방문건강관리사자소서 자기소개서면접 산모신생아방문건강관리사자기소개서 합격자소서자기소...
방문건강관리사자소서 자기소개서 산모신생아방문건강관리사자기소개서 이력서합격자기소개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