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 종이 발명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1 종이의 정의
1.2 종이의 발명 배경

Ⅱ. 종이 이전의 서사재료
2.1 중국의 서사재료
2.2 중국 이전의 서사재료

Ⅲ. 종이의 발명

Ⅳ. 종이의 전파

Ⅴ. 우리나라의 종이 한지
5.1 삼국시대
5.2 고려시대
5.3 조선시대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주었으며 뿐만 아니라 대장경의 보완 작업이라 할 수 있는 의천의 속장경 간행과 강도(江都)에서의 최씨정권의 대장경조판사업도 그간에 축적된 제지술과 인쇄술의 발전을 토대로 가능할 수 있었다.
5.3 조선시대
제지수공업은 조선시대 각종 수공업가운데 가장 발달된 부문의 하나였다. 국가 기관으로는 처음으로 전문 조지소(造紙所)를 설치한 것도 조선시대에 이르러서이다. 한지의 수요가 많아지자 나라에서는 중앙에 관영조지서를 설치하였다. 조지서는 처음 서울 창의문 밖 장의 사동(현재의 세검정)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설치의 직접적인 동기는 폐지되었던 저화법의부활에 따른 양질의 저화지(楮貨紙)와 외교문서용지인 표전자문지(表箋咨文紙)의 생산을 위해서였다.
조지서(造紙署)는 태종 15년(1415)에 처음 조지소(造紙所)로 출발하여 세조 11년(1465)에 조지서(造紙署)로 개칭되었다. 이미 고려시대에 그 질적인 우수성을 인정받은 한지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더욱 양적인 팽창을 가져오게 된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며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닥나무가 생산되고 있었다. 닥나무의 생산이 곧바로 종이의 생산과 연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한지의 생산지역 역시 전국에 걸쳐 있고 경공장과 외공장에 소속된 지장인이 다른 수공업종에 비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어 제지업의 중요성을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조선종이는 그 품질의 우수성이 국외에도 널리 알려졌었다. 고자(高子)는 "조선종이의 희기가 백설 같고, 매끄럽기가 비단 같으며 질기기가 가죽 같아서 등피지(等皮紙)라 불린다."고 했다.
한지의 수요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급격한 성장을 보게 된 데에는 세종의 문화정책에 따른 서적의 간행에 힘입은 바 크다. 실록의 편찬, 지지류의 집성 및 법전과 농서, 의학서의 간행사업은 조선 전시기를 통해 세종 때 가장 활발하였다. 이와 같이 활발한 서적간행 사업은 다량의 제지원료를 필요로 하였고, 닥나무의 부족현상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부족한 닥나무를 보충하기 위해 종자를 개량하고 짚, 보리짚, 죽피, 겨릅 등 대체지료를 개발하려는 노력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또 종이의 종류와 품질에 따라 용도가 엄격히 구별되어 있었는데 특히 표지와 후지는 민간에서 함부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또한, 김옥균이 인접한 중국과 일본의 종이생산 재료 및 기술을 들여와 우리 역사속에 축적된 기술과 외래 기술을 바탕으로 더 한층 높은 우리만의 종이생산기술로 발전시켜 우리 종이의 우수함이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Ⅵ. 결론
역사시대로 가면서 기록을 남기고 싶은 욕구에 의해 이전의 그림이나 동작의 표현의 한계를 느낀 인간은 문자를 만들어내었고 그 문자를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 종이가 발명되어 전파되기까지의 역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종이를 발명하기 이전의 기록물을 보면 인간의 표현의 욕구가 얼마나 대단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이렇게 하여 중국에서 발명된 제지기술은 우리나라를 거쳐 일본으로 전파되었고, 중앙아시아를 거쳐 유럽과 신대륙으로 전파되었다. 특히 우리 조상들은 종이의 전파에 매우 결정적인 역할 하였으며 매우 우수한 제지기술을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지는 우리 조상들의 얼과 숨결을 기록하는 재료로서 천년 이상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그 명맥은 유지되고 있지만 수요층이 제한되어 한지의 장래는 불투명한 실정이라는게 아쉽다.
종이의 시작과 더불어 종교, 역사, 정치, 경제, 교육 등 모든 분야는 종이에 기록되고 발전하였다. 사람들은 종이를 매개로 하여 그들의 말과 생각을 기록하고 보전하고 또한 전달하였다. 종이는 인간의 사회적 활동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문화의 전달매체로서 정치, 종교, 교육, 신분 등 여러 사회생활의 영역에 활용되었으며 상례, 제례 등 죽음과 관련하여 종이는 그 신성함과 엄숙함의 상징물로서 의식을 정화하는 역할을 다하였다.
종이는 단순히 기록 · 보전 · 전달이라는 의미 외에 기능적 측면으로서 인간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종이는 의식주의 생활과 관련하여 창조적이며 다양하게 재탄생된 것이다. 인류의 예술 활동은 종이 출현 이전 시기부터 시작되고 발전되어 왔다. 동양에서는 종이와 먹이 주요 기록재료인 동시에 회화의 수단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다양한 종이 공예가 성행하였는데, 종이를 접거나 오려서 생활영역의 다양한 방면에 활용하였다.
이러한 종이는 현대인의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품이 되었다.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종이의 양은 실로 엄청나다. 그러나 컴퓨터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책보단 인터넷의 자료를 편지보단 e-mail을 사용하고 종이라는 매체를 통한 언어의 전달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그러나 종이 과거의 문헌을 기록할 수 있게 해준 종이는 과거 조상의 가르침을 지금도 전할 수 있는 것이고 앞으로도 전해질 것이며 앞으로 여러 종류와 형태를 지닌 생활기물로 재탄생되기도 하고, 예술품 등으로 인간의 삶을 풍부하고 즐겁게 해줄 것이다.
참고문헌
ㆍ종이 역사/ 김순철 지음/ 예진 출판사
ㆍ이겸누 저 《문방사우》, 1989, 대원사, 서울
ㆍ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종이문화》, 1995, 신유출판사, 서울
http://www.papermuseum.co.kr
ㆍ조선일보 2000년 5월 25일자 문화생활 면 中에서
ㆍ이승철,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한지》, (주)현암사
ㆍ이유라, 《전통기법을 응용한 한지 Textile Design 연구》 ,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2
ㆍ장경희, '전통을 현대화시킨 종이공예품이 펼치는 다채로운 이야기’, 〈한지의 멋과 쓰임새〉(제3회 이유라 개인전 도록 서문), 2003
ㆍ한솔 페이퍼몰 http://www.papermuseum.co.kr/ 한지 http://www.hanji.com/
ㆍ한지마당 http://www.hanjimadang.co.kr/
ㆍ원주한지문화제 http://www.wjhanji.co.kr/
ㆍ한국제지공업연합회 http://www.paper.or.kr/
ㆍ전주예총 http://www.arts.or.kr/
ㆍ전주시청 http://www.jeonju.go.kr/

키워드

종이,   동양,   서사재료,   제지술,   한지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5.2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