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섭취한 음식물의 이동(구강-식도)
위운동(gastric motility)
소장운동(motility of the small intestine)
대장운동(colonic motility)
타액(saliva)의 기능
타액의 성분
타액분비의 조절
위점막
위액의 기능
이자액의 성분
HCO3-의 기능
이자액 분비의 조절
설사(diarrhea)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
위운동(gastric motility)
소장운동(motility of the small intestine)
대장운동(colonic motility)
타액(saliva)의 기능
타액의 성분
타액분비의 조절
위점막
위액의 기능
이자액의 성분
HCO3-의 기능
이자액 분비의 조절
설사(diarrhea)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
본문내용
가 촉진된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세포막에 Na+와 단당류(포도당이나 갈락토스)를 인식하는 부위를 수용체가 존재하며 이 수용체를 통해 Na+와 단당류가 cotransport되기 때문이다. 단당류를 세포안으로 유입시키는 에너지는 Na+의 농도경사로부터 나오는 것이다(secondary active transport).
과당의 흡수는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포도당, 갈락토스와 경쟁하는 성질은 미약하지만 그러면서도 다른 단당류보다는 더 잘 흡수된다. 어떤 종류의 막단백질이 과당의 흡수에 관여한다고 믿어진다. 실제로 쥐에서는 과당이 능동수송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사람에서는 관찰된 바가 없다.
지방질의 소화와 흡수
지방질은 담즙산에 의해 유화되고, 이자의 lipase에 의해 분해된다. 지방질의 소화산물은 담즙산과 함께 micelle이라는 작은 분자응집을 형성한다.
micelle은 microvilli를 통해 확산된다. 이들은 지방에 잘 녹는 성질이 있으므로 단순확산으로 잘 수송되며, 이들의 흡수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장상피세포내로 들어온 지방소화산물은 sER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는 지방산결합단백질이 관여한다고 보아지며 또는 단순히 지방방울을 형성하지 않도록 막는 역할만 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sER내에서는 상당한 화학반응이 일어난다. 2-monoglyceride는 지방산과 반응하여 TG를 형성하고, cholesterol은 상당량이 다시 esterification된다. glycerol과 지방산도 반응하여 TG를 형성한다.
세포내에서 지방성분들은 chylomicron(1nm 정도의 지방방울)을 형성하고, exocytosis에 의해 세포밖으로 방출된다. chylomicron은 기저막을 통과하기에는 너무 커서 모세혈관을 통해 흡수되지 못하고, 림프관으로 흡수된다.
단백질의 소화와 흡수소화는 생략함.
oligopeptide의 형태로 흡수되는 것이 있다는 사실은 최근에 알려졌다. 어떤 아미노산은 아미노산의 형태보다 oligopeptide 내에 속한 형태로 더 잘 흡수된다.
아미노산의 흡수는 여러가지 수송계에 의해 일어난다. neutral system I은 모든 중성아미노산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가지고, basic system은 arginine, ornithine, lysine 등의 알칼리성아미노산, cystine을 흡수하며, neural system II는 proline, hydroxyproline, sarcosine 및 다른 N-methyl-substituted glycine에 대한 특이성을 가지며, imino acid system으로도 불리운다.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
담즙산과 지방소화산물에 의해 만들어진 micelle의 성분으로 들어간다. 지방분해산물처럼 지용성 비타민도 microvilli를 통해 단순확산으로 장상피세포로 들어간다. 장상피세포내에서 지용성 비타민은 chylomicron의 한 성분으로 들어가고, 림프관으로 들어가면서 상피세포를 떠난다. 담즙산의 결핍시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는 상당히 크게 저해된다.
과당의 흡수는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포도당, 갈락토스와 경쟁하는 성질은 미약하지만 그러면서도 다른 단당류보다는 더 잘 흡수된다. 어떤 종류의 막단백질이 과당의 흡수에 관여한다고 믿어진다. 실제로 쥐에서는 과당이 능동수송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사람에서는 관찰된 바가 없다.
지방질의 소화와 흡수
지방질은 담즙산에 의해 유화되고, 이자의 lipase에 의해 분해된다. 지방질의 소화산물은 담즙산과 함께 micelle이라는 작은 분자응집을 형성한다.
micelle은 microvilli를 통해 확산된다. 이들은 지방에 잘 녹는 성질이 있으므로 단순확산으로 잘 수송되며, 이들의 흡수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장상피세포내로 들어온 지방소화산물은 sER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는 지방산결합단백질이 관여한다고 보아지며 또는 단순히 지방방울을 형성하지 않도록 막는 역할만 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sER내에서는 상당한 화학반응이 일어난다. 2-monoglyceride는 지방산과 반응하여 TG를 형성하고, cholesterol은 상당량이 다시 esterification된다. glycerol과 지방산도 반응하여 TG를 형성한다.
세포내에서 지방성분들은 chylomicron(1nm 정도의 지방방울)을 형성하고, exocytosis에 의해 세포밖으로 방출된다. chylomicron은 기저막을 통과하기에는 너무 커서 모세혈관을 통해 흡수되지 못하고, 림프관으로 흡수된다.
단백질의 소화와 흡수소화는 생략함.
oligopeptide의 형태로 흡수되는 것이 있다는 사실은 최근에 알려졌다. 어떤 아미노산은 아미노산의 형태보다 oligopeptide 내에 속한 형태로 더 잘 흡수된다.
아미노산의 흡수는 여러가지 수송계에 의해 일어난다. neutral system I은 모든 중성아미노산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가지고, basic system은 arginine, ornithine, lysine 등의 알칼리성아미노산, cystine을 흡수하며, neural system II는 proline, hydroxyproline, sarcosine 및 다른 N-methyl-substituted glycine에 대한 특이성을 가지며, imino acid system으로도 불리운다.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
담즙산과 지방소화산물에 의해 만들어진 micelle의 성분으로 들어간다. 지방분해산물처럼 지용성 비타민도 microvilli를 통해 단순확산으로 장상피세포로 들어간다. 장상피세포내에서 지용성 비타민은 chylomicron의 한 성분으로 들어가고, 림프관으로 들어가면서 상피세포를 떠난다. 담즙산의 결핍시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는 상당히 크게 저해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