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호흡기관
ꊱ 호흡
(1) 외호흡
(2) 내호흡
ꊲ 사람의 호흡기관과 호흡운동
(1) 호흡기
(2) 호흡운동
(3) 호흡운동의 조절
2. 기체의 운반과 교환
ꊱ 기체교환의
ꊲ 산소의 운반
ꊳ 이산화탄소의 운반
(1) 혈액의 이산화탄소 운반
(2) 폐에서의 이산화탄소 방출
2. 소화
§1. 영양과 영양소
ꊱ 영양방법
(1) 무기영양
(2) 유기영양
ꊲ 영양소
(1) 3대 영양소
① 탄수화물;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② 지방
③ 단백질
(2) 부영양소
① 비타민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12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② 무기염류
칼슘 불소 칼륨 철 망간 아연
③ 물
1. 무척추동물의 주머니 모양의 소화계
2. 관상의 소화계 지렁이 곤충
@ 파리 @ 진딧물
3. 척추동물의 섭식과 소화기의 구조
어류 양서류, 파충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의 저작기관과 소화기관
§2. 사람의 소화기관과 소화
ꊱ 소화의 과정
(1) 기계적 소화
(2) 화학적 소화
ꊲ 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
(1) 입에서의 소화
① 이
② 혀
③ 침
(2) 위에서의 소화
① 위(stomach)의 구조
② 위액의 소화작용
③ 위액의 분비조절
④ 위점막의 보호
(3) 소장에서의 소화
① 소장(small intestine)의 구조
② 이자액의 소화작용
③ 장액의 소화작용
④ 이자액의 분비조절
⑤ 쓸개즙의 작용
(4) 대장에서의 소화
① 기능
② 대장 속의 대장균
(5) 간의 기능 - 기능
ㄱ) 글리코겐의 저장
ㄴ) 지방의 교대
ㄷ) 단백질 교대
ㄹ) 요소의 합성
ㅁ) 해독작용
ㅂ) 쓸개즙의 생성
ㅅ) 체온의 조절, 혈액의 저장, 일부 비타민의 저장
ꊳ 양분의 흡수와 이동
1) 소장에서의 양분흡수
① 흡수방법
② 흡수장소
(2) 흡수된 양분의 이동
3. 순환계
ꊱ 혈관계
림프계와 지라
ꊱ 호흡
(1) 외호흡
(2) 내호흡
ꊲ 사람의 호흡기관과 호흡운동
(1) 호흡기
(2) 호흡운동
(3) 호흡운동의 조절
2. 기체의 운반과 교환
ꊱ 기체교환의
ꊲ 산소의 운반
ꊳ 이산화탄소의 운반
(1) 혈액의 이산화탄소 운반
(2) 폐에서의 이산화탄소 방출
2. 소화
§1. 영양과 영양소
ꊱ 영양방법
(1) 무기영양
(2) 유기영양
ꊲ 영양소
(1) 3대 영양소
① 탄수화물;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② 지방
③ 단백질
(2) 부영양소
① 비타민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12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② 무기염류
칼슘 불소 칼륨 철 망간 아연
③ 물
1. 무척추동물의 주머니 모양의 소화계
2. 관상의 소화계 지렁이 곤충
@ 파리 @ 진딧물
3. 척추동물의 섭식과 소화기의 구조
어류 양서류, 파충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의 저작기관과 소화기관
§2. 사람의 소화기관과 소화
ꊱ 소화의 과정
(1) 기계적 소화
(2) 화학적 소화
ꊲ 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
(1) 입에서의 소화
① 이
② 혀
③ 침
(2) 위에서의 소화
① 위(stomach)의 구조
② 위액의 소화작용
③ 위액의 분비조절
④ 위점막의 보호
(3) 소장에서의 소화
① 소장(small intestine)의 구조
② 이자액의 소화작용
③ 장액의 소화작용
④ 이자액의 분비조절
⑤ 쓸개즙의 작용
(4) 대장에서의 소화
① 기능
② 대장 속의 대장균
(5) 간의 기능 - 기능
ㄱ) 글리코겐의 저장
ㄴ) 지방의 교대
ㄷ) 단백질 교대
ㄹ) 요소의 합성
ㅁ) 해독작용
ㅂ) 쓸개즙의 생성
ㅅ) 체온의 조절, 혈액의 저장, 일부 비타민의 저장
ꊳ 양분의 흡수와 이동
1) 소장에서의 양분흡수
① 흡수방법
② 흡수장소
(2) 흡수된 양분의 이동
3. 순환계
ꊱ 혈관계
림프계와 지라
본문내용
민의 저장
양분의 흡수와 이동
소화된 양분은 소장의 융털에서 흡수되어 혈액과 림프에 의해 조직으로 운반
(1) 소장에서의 양분흡수
① 흡수방법; 확산과 능동수송, 음세포 작용
② 흡수장소; 융털 돌기
ㄱ) 모세혈관; 단당류, 아미노산, 무기염류, 수용성 비타민
ㄴ) 암죽관; 지방산, 글리세롤, 지용성 비타민
(2) 흡수된 양분의 이동
① 수용성 물질; 모세혈관→간문맥→간→간정맥→하대정맥→심장→온몸
② 지용성물질; 암죽관(림프관)→가슴관→쇄골하정맥→상대정맥→심장→온몸
3. 순환계
혈관계
개방혈관계; 동맥의 끝이 조직속에 열려 있어서 혈액이 직접 조직세포와 접함(연체동 물, 절지동물)
폐쇄혈관계; 동맥과 정맥 사이에 모세혈관이 있고, 혈액은 혈관 속으로만 흐름(척추동 물, 환형동물)
(1) 사람의 혈관계
고도로 발달한 폐쇄혈관계이며, 심장, 동맥, 정맥, 모세혈관 및 그 속을 흐르는 혈액으 로 구성
① 심장의 구조
= 2심방(atrium, 우심방과 좌심방) 2심실(ventricle, 우심실과 좌심실)로 구성
= 심실의 벽은 심방보다 두꺼움
= 판막이 있어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
이첨판(bicuspid valve);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
3첨판(tricuspid valve);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
반월판(semilunar valve); 대동맥과 폐동맥이 시작되는 부분에 위치
0. 심장의 박동
심장의 주기적인 수축, 이완 운동
0. 심장박동의 자동성
심장 자체에 있는 대정맥과 우심방의 동방결절(박동원, pace maker)의 충격 에 의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심장을 몸밖으로 떼어서 생리적 식염수에 넣어 도 한 동안은 박동을 계속한다.
0. 심장박동의 순서
동방결절(박동원)의 흥분→좌우 심방의 수축→흥분의 뒤 이은 우심방과 심실 사이의 방실결절에의 전달→히스색→푸르키녜섬유(흥분전달섬유)→심실수축
0. 심장박동의 조절
혈액 속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교감신경은 아드레날린을 분비하여 박동 을 촉진하고, 부교감신경은(미주신경)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여 박동을 억제
② 혈관
ㄱ) 동맥(artery)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이며 혈관벽은 두껍고 탄력이 있다
동맥벽== 외층 - 두터운 섬유상 결합조직
중층 - 평활근과 탄성조직
내층 - 내피(탄성막)
ㄴ) 정맥(vein)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이며 동맥에 비해 혈관벽이 얇고, 군데군데 판막이 있어서 혈액의 역류를 막는다
정맥벽== 동맥벽과 같이 세 층으로 되어 있으나 중층은 동맥에 비해 얇으며 미 발달 되어 있고, 내층은 탄성막이 없다
ㄷ) 모세혈관(capillary)
=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혈관으로 온몸에 그물로먕으로 퍼져 있다
= 한층의 표피세포로만 이루어져 있어 매우 얇으며, 지름이 약 10μm 정도로 가늘기 때문에 혈구가 일렬로 늘어서야 겨우 지나갈 정도이다
= 모세혈관의 총 단멱적은 다른 혈관보다 훨씬 넓기 때문에 그 속에서 혈액 은 천천히 흐르게 되며, 이로 인해서 얇은 혈관벽을 통해 조직세포와 물질 의 교환이 쉽게 이루어진다.
(2) 혈액의 순환
① 체순환계(대순환계)
폐에서 산소를 받은 혈액이 좌심실을 떠나 온몸을 돌고 조직세포에서 생긴 이산화탄 소를 받아 다시 심장의 우심방으로 들어오는 순환계
좌심실→대동맥→온몸의 모세혈관→대정맥→우심방
② 폐순환계(소순환계)
온몸을 돌아온 정맥혈이 폐로가서 이산화탄소를 버리고 산소를 받아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순환계
우심실→폐동맥→폐포의 모세혈관→폐정맥→좌심방
cf) 동맥혈과 정맥혈
동맥혈; 산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선홍색을 띰
정맥혈; 산소를 잃어서 암적색을 띰
=== 일반적으로 동맥에는 동맥혈이, 정맥에는 정맥혈이 흐르나 폐동맥에는 정맥혈이 폐정맥에는 동맥혈이 흐른다
(3) 혈압(blood pressure)
심실이 수축하여 혈액을 혈관으로 밀어보낼 때 혈관이 받는 압력
= 수축압(systolic pressure)== 심실이 수축할 때 혈관이 받는 압력으로 이 때의 압 력이 가장 높아 최고혈압이라 한다.
이완압(diastolic pressure)== 심실이 인완할 때 받는 압력으로 혈압이 가장 낮아 최저혈압이라 한다.
= 맥압=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의 차이로서 보통 30-40mmHg
= 혈압은 심장에서 멀리 갈수록 낮아지므로 대동맥에서 가장 높고 모세혈관 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대정맥에서는 음압이 되기도 한다
= 연령과 건강 상태에 많은 차이를 보이며, 20-25세 일 때 보통 최고혈압 120mmHg, 최저혈압 70-80mmHg가 정상이며, 나이가 들면 혈관벽의 탄력 이 줄어들므로 일반적으로 혈압이 낮아진다.
cf) 건장인의 혈압
최고혈압; 나이+90mmHg
최저혈압; 나이에 관계없이 70-80mmHg
림프계와 지라
사람을 비롯한 척추동물은 폐쇄혈관계를 가지므로 혈액과 조직사이에서 물질교환을 이루 기 위해서는 혈액의 일부가 혈관 밖으로 빠져나오거나 조직세포에서 혈관 속으로 들어가 야만 한다.
(1) 조직액과 림프
조직액; 혈액순환 도중 혈장의 일부는 모세혈관의 벽을 통해 조직세포 사이로 흘러나 와 다시 모세혈관의 벽을 통해 들어가나 이 과정에서 혈장의 일부가 일부 조직 세포 사이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모세혈관과 조직세포 사이를 채우고 있어서 이들 간의 물질교환을 중계한다.
림프(림프액); 조직액의 일부가 모세 림프관을 거쳐 림프관 속으로 들어가 온몸을 순 환하는 조직액
(2) 림프의 구성과 작용
세포성분; 림프구== 백혈구의 일종, 골수, 지라, 림프절에서 생성, 항체형성 및 식균작 용
액체성분; 림프장== 혈장의 일부가 혈관 밖으로 흘러나온 것으로 물질의 운반 및 내 부 환경의 유지에 기여
(3) 림프의 순환
몸의 하반신과 왼쪽 상반신
모세림프관→가슴관→좌림프총관→좌쇄골하정맥→심장→모세혈관→조직액(순환)
오른쪽 상반신
모세림프관→우림프총관→우쇄골하정맥→심장→모세혈관→조직액(순환)
(4) 지라(비장)
위의 뒤쪽, 좌측 신장과 횡격막 사이에 있는 길이 12cm정도의 암적색을 띤 기관
기능) = 태아기 때 적혈구 생산
= 백혈구, 림프구의 생성과 파괴
= 노후된 적혈구 파괴
= 혈액을 저장해서 혈액량 조절
= 항체의 생성
양분의 흡수와 이동
소화된 양분은 소장의 융털에서 흡수되어 혈액과 림프에 의해 조직으로 운반
(1) 소장에서의 양분흡수
① 흡수방법; 확산과 능동수송, 음세포 작용
② 흡수장소; 융털 돌기
ㄱ) 모세혈관; 단당류, 아미노산, 무기염류, 수용성 비타민
ㄴ) 암죽관; 지방산, 글리세롤, 지용성 비타민
(2) 흡수된 양분의 이동
① 수용성 물질; 모세혈관→간문맥→간→간정맥→하대정맥→심장→온몸
② 지용성물질; 암죽관(림프관)→가슴관→쇄골하정맥→상대정맥→심장→온몸
3. 순환계
혈관계
개방혈관계; 동맥의 끝이 조직속에 열려 있어서 혈액이 직접 조직세포와 접함(연체동 물, 절지동물)
폐쇄혈관계; 동맥과 정맥 사이에 모세혈관이 있고, 혈액은 혈관 속으로만 흐름(척추동 물, 환형동물)
(1) 사람의 혈관계
고도로 발달한 폐쇄혈관계이며, 심장, 동맥, 정맥, 모세혈관 및 그 속을 흐르는 혈액으 로 구성
① 심장의 구조
= 2심방(atrium, 우심방과 좌심방) 2심실(ventricle, 우심실과 좌심실)로 구성
= 심실의 벽은 심방보다 두꺼움
= 판막이 있어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
이첨판(bicuspid valve);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
3첨판(tricuspid valve);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위치
반월판(semilunar valve); 대동맥과 폐동맥이 시작되는 부분에 위치
0. 심장의 박동
심장의 주기적인 수축, 이완 운동
0. 심장박동의 자동성
심장 자체에 있는 대정맥과 우심방의 동방결절(박동원, pace maker)의 충격 에 의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심장을 몸밖으로 떼어서 생리적 식염수에 넣어 도 한 동안은 박동을 계속한다.
0. 심장박동의 순서
동방결절(박동원)의 흥분→좌우 심방의 수축→흥분의 뒤 이은 우심방과 심실 사이의 방실결절에의 전달→히스색→푸르키녜섬유(흥분전달섬유)→심실수축
0. 심장박동의 조절
혈액 속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교감신경은 아드레날린을 분비하여 박동 을 촉진하고, 부교감신경은(미주신경)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여 박동을 억제
② 혈관
ㄱ) 동맥(artery)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이며 혈관벽은 두껍고 탄력이 있다
동맥벽== 외층 - 두터운 섬유상 결합조직
중층 - 평활근과 탄성조직
내층 - 내피(탄성막)
ㄴ) 정맥(vein)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이며 동맥에 비해 혈관벽이 얇고, 군데군데 판막이 있어서 혈액의 역류를 막는다
정맥벽== 동맥벽과 같이 세 층으로 되어 있으나 중층은 동맥에 비해 얇으며 미 발달 되어 있고, 내층은 탄성막이 없다
ㄷ) 모세혈관(capillary)
=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혈관으로 온몸에 그물로먕으로 퍼져 있다
= 한층의 표피세포로만 이루어져 있어 매우 얇으며, 지름이 약 10μm 정도로 가늘기 때문에 혈구가 일렬로 늘어서야 겨우 지나갈 정도이다
= 모세혈관의 총 단멱적은 다른 혈관보다 훨씬 넓기 때문에 그 속에서 혈액 은 천천히 흐르게 되며, 이로 인해서 얇은 혈관벽을 통해 조직세포와 물질 의 교환이 쉽게 이루어진다.
(2) 혈액의 순환
① 체순환계(대순환계)
폐에서 산소를 받은 혈액이 좌심실을 떠나 온몸을 돌고 조직세포에서 생긴 이산화탄 소를 받아 다시 심장의 우심방으로 들어오는 순환계
좌심실→대동맥→온몸의 모세혈관→대정맥→우심방
② 폐순환계(소순환계)
온몸을 돌아온 정맥혈이 폐로가서 이산화탄소를 버리고 산소를 받아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순환계
우심실→폐동맥→폐포의 모세혈관→폐정맥→좌심방
cf) 동맥혈과 정맥혈
동맥혈; 산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선홍색을 띰
정맥혈; 산소를 잃어서 암적색을 띰
=== 일반적으로 동맥에는 동맥혈이, 정맥에는 정맥혈이 흐르나 폐동맥에는 정맥혈이 폐정맥에는 동맥혈이 흐른다
(3) 혈압(blood pressure)
심실이 수축하여 혈액을 혈관으로 밀어보낼 때 혈관이 받는 압력
= 수축압(systolic pressure)== 심실이 수축할 때 혈관이 받는 압력으로 이 때의 압 력이 가장 높아 최고혈압이라 한다.
이완압(diastolic pressure)== 심실이 인완할 때 받는 압력으로 혈압이 가장 낮아 최저혈압이라 한다.
= 맥압=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의 차이로서 보통 30-40mmHg
= 혈압은 심장에서 멀리 갈수록 낮아지므로 대동맥에서 가장 높고 모세혈관 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대정맥에서는 음압이 되기도 한다
= 연령과 건강 상태에 많은 차이를 보이며, 20-25세 일 때 보통 최고혈압 120mmHg, 최저혈압 70-80mmHg가 정상이며, 나이가 들면 혈관벽의 탄력 이 줄어들므로 일반적으로 혈압이 낮아진다.
cf) 건장인의 혈압
최고혈압; 나이+90mmHg
최저혈압; 나이에 관계없이 70-80mmHg
림프계와 지라
사람을 비롯한 척추동물은 폐쇄혈관계를 가지므로 혈액과 조직사이에서 물질교환을 이루 기 위해서는 혈액의 일부가 혈관 밖으로 빠져나오거나 조직세포에서 혈관 속으로 들어가 야만 한다.
(1) 조직액과 림프
조직액; 혈액순환 도중 혈장의 일부는 모세혈관의 벽을 통해 조직세포 사이로 흘러나 와 다시 모세혈관의 벽을 통해 들어가나 이 과정에서 혈장의 일부가 일부 조직 세포 사이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모세혈관과 조직세포 사이를 채우고 있어서 이들 간의 물질교환을 중계한다.
림프(림프액); 조직액의 일부가 모세 림프관을 거쳐 림프관 속으로 들어가 온몸을 순 환하는 조직액
(2) 림프의 구성과 작용
세포성분; 림프구== 백혈구의 일종, 골수, 지라, 림프절에서 생성, 항체형성 및 식균작 용
액체성분; 림프장== 혈장의 일부가 혈관 밖으로 흘러나온 것으로 물질의 운반 및 내 부 환경의 유지에 기여
(3) 림프의 순환
몸의 하반신과 왼쪽 상반신
모세림프관→가슴관→좌림프총관→좌쇄골하정맥→심장→모세혈관→조직액(순환)
오른쪽 상반신
모세림프관→우림프총관→우쇄골하정맥→심장→모세혈관→조직액(순환)
(4) 지라(비장)
위의 뒤쪽, 좌측 신장과 횡격막 사이에 있는 길이 12cm정도의 암적색을 띤 기관
기능) = 태아기 때 적혈구 생산
= 백혈구, 림프구의 생성과 파괴
= 노후된 적혈구 파괴
= 혈액을 저장해서 혈액량 조절
= 항체의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