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1930년대 문학과 <구인회>
1. 시문학의 경향
1.1 모더니즘
1.2 생명파와 청록파
2. 문학과 이데올로기, 그리고 <구인회>
2.1 1930년대의 사회적 배경
2.2 KAFP의 등장과 <구인회>
Ⅱ. 이태준의 『해방전후』분석
1. 『해방전후』줄거리
2. 작가 ‘이태준’
3. 『해방전후』분석
1. 시문학의 경향
1.1 모더니즘
1.2 생명파와 청록파
2. 문학과 이데올로기, 그리고 <구인회>
2.1 1930년대의 사회적 배경
2.2 KAFP의 등장과 <구인회>
Ⅱ. 이태준의 『해방전후』분석
1. 『해방전후』줄거리
2. 작가 ‘이태준’
3. 『해방전후』분석
본문내용
문학 단체에 관여하게 된 경위, 자신의 방향 전환을 굳게 옹호하는 모습 등을 여실하게 그려내고 있다.
소설의 전반부에서는 숨막힐 듯한 일제 말기의 상황 아래서 '절필(絶筆)'조차도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소위 시국물이나 일문(日文)에의 전향이라면 차라리 절필하겠다던 '현'도 경무국의 지시라는 <대동아 전기(大東亞戰記)>의 번역만은 거절하지 못한다. 강압 관념에 시달리던 '현'은 살고 싶다기보다 살아 견디어 내고 싶다는 마음과 함께 서울을 떠나 강원도 어느 산읍으로 떠난다.
여기서 '현'은 옥(玉)같은 구시대의 인물인 보수적이며 완고한 근왕주의자(勤王主義者) 김 직원을 만나게 된다. 서로간의 사상적 견해는 다르나 일제라는 공동의 적 앞에서 긴밀한 유대감을 지니게 되며, '현'은 그를 존경하게 된다.
8.15 광복을 맞는 이 소설의 후반부에서 이들의 관계는 사상적 차이로 인하여 급속히 붕괴되는 과정이 전개된다. 광복의 혼란한 정세 속에서 좌익의 발호를 염려한 '현'은 전날의 좌익 작가와 평론가가 중심이 된 '문협'을 찾아가 오히려 "문협에 참여하게 된다. 임시 정부를 지지하는 김 직원의 말에 "위험을 무릅쓰고 일해야 될 시기"라고 말하는 '현'에게서 그 판단 기준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광복 전 자신의 활동에 대하여 반성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아쉬운 것은 좌우파의 갈등에 대한 김 직원과의 결별이다. 그를 처음 만났을 때, 시골 향교를 지키며 시국에 대하여 자신보다 한층 저항적인 그를 '현'은 '상종한다기보다 모시어 볼수록 깨끗한 노인이요, 이 고을에선 엄연히 존경을 받아야 옳을 유일한 인격자요 지사'로 인식했었다. 그러나 광복 후 좌익 문인 단체에서 활동하면서는 그를 '돌과 같이 완강한 머리', 혹은 '이 세계사의 대사조 속에 한 조각 티끌처럼 아득히 가라앉아 가는' 모습으로 파악한다. 이는 바로 이태준 자신의 방향 전화의 변(辨)이 아닐 수 없다.
이 작품을 끝으로 이태준은 북(北)으로 향하고, 이후 그의 문학은 이전의 작품 경향과는 전혀 다른, 생경한 구호만 나열하는 목적 문학으로 바뀌고 만다.
<참고문헌>
이중재, <구인회 소설의 문학사적 연구>, 국학자료원, 1998
천이두, <한국현대 소설론>, 형설 출판사, 1983
이강언, <한국 현대소설의 전개>, 형설 출판사, 1992
장영우, <이태준 소설 연구>, 태학사, 1996
소설의 전반부에서는 숨막힐 듯한 일제 말기의 상황 아래서 '절필(絶筆)'조차도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소위 시국물이나 일문(日文)에의 전향이라면 차라리 절필하겠다던 '현'도 경무국의 지시라는 <대동아 전기(大東亞戰記)>의 번역만은 거절하지 못한다. 강압 관념에 시달리던 '현'은 살고 싶다기보다 살아 견디어 내고 싶다는 마음과 함께 서울을 떠나 강원도 어느 산읍으로 떠난다.
여기서 '현'은 옥(玉)같은 구시대의 인물인 보수적이며 완고한 근왕주의자(勤王主義者) 김 직원을 만나게 된다. 서로간의 사상적 견해는 다르나 일제라는 공동의 적 앞에서 긴밀한 유대감을 지니게 되며, '현'은 그를 존경하게 된다.
8.15 광복을 맞는 이 소설의 후반부에서 이들의 관계는 사상적 차이로 인하여 급속히 붕괴되는 과정이 전개된다. 광복의 혼란한 정세 속에서 좌익의 발호를 염려한 '현'은 전날의 좌익 작가와 평론가가 중심이 된 '문협'을 찾아가 오히려 "문협에 참여하게 된다. 임시 정부를 지지하는 김 직원의 말에 "위험을 무릅쓰고 일해야 될 시기"라고 말하는 '현'에게서 그 판단 기준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광복 전 자신의 활동에 대하여 반성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아쉬운 것은 좌우파의 갈등에 대한 김 직원과의 결별이다. 그를 처음 만났을 때, 시골 향교를 지키며 시국에 대하여 자신보다 한층 저항적인 그를 '현'은 '상종한다기보다 모시어 볼수록 깨끗한 노인이요, 이 고을에선 엄연히 존경을 받아야 옳을 유일한 인격자요 지사'로 인식했었다. 그러나 광복 후 좌익 문인 단체에서 활동하면서는 그를 '돌과 같이 완강한 머리', 혹은 '이 세계사의 대사조 속에 한 조각 티끌처럼 아득히 가라앉아 가는' 모습으로 파악한다. 이는 바로 이태준 자신의 방향 전화의 변(辨)이 아닐 수 없다.
이 작품을 끝으로 이태준은 북(北)으로 향하고, 이후 그의 문학은 이전의 작품 경향과는 전혀 다른, 생경한 구호만 나열하는 목적 문학으로 바뀌고 만다.
<참고문헌>
이중재, <구인회 소설의 문학사적 연구>, 국학자료원, 1998
천이두, <한국현대 소설론>, 형설 출판사, 1983
이강언, <한국 현대소설의 전개>, 형설 출판사, 1992
장영우, <이태준 소설 연구>, 태학사, 1996
추천자료
1930년대 소설속에 등장하는 지식인의 특징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 관한 고찰
1930년대 모더니즘 시와 ‘구인회’의 발족
1930년대 시의 전개 요약
1930년대 한국의 공업화 논쟁에 대한 역사인식의 방향
1930년대 시대상과 소설
서양복식 1930’s STYLE Fashion icon.ppt
1930년대 경성 속에서 지식인의 모습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중심으로-
식민지와 고향 -1930~40년 백석 시에 나타난 고향 의식-
1930년대 순수서정시 운동의 시대적 의미
1930~40년대 시에 있어서의 모더니즘 경향에 대해 조사후 리포트를 작성 제출
1930년대 소설- 빈곤과 무기력함의 표현 [박태원 소설과 김유정 소설을 중심으로]
1930년대 프로시론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 발생의 배경을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를 통해 설명하고 당시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