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차 ※
Ⅰ.중국인의 인식
1) 중국에 대한 인식
2) 음식에 대한 관념
① 民以食爲天
② 藥食同源, 寓毉于食
③ 飮和食德
3) 음식의 중화주의
Ⅱ.중화요리
1) 중국역사속의 음식문화
- 근대 중화요리의 성립
2) 중화요리의 특색
① 공통적인 특색
② 중화요리 4대 천황
-산동 및 북경요리
-상해요리
-광동요리
-사천요리
③ 차
Ⅲ.중국의 식사예절
Ⅳ.개혁 개방이후의 중국음식문화
1) 홍콩 음식문화의 북진
2) 패스트푸드의 성공적 침투
Ⅴ.가깝고도 먼 중국
Ⅰ.중국인의 인식
1) 중국에 대한 인식
2) 음식에 대한 관념
① 民以食爲天
② 藥食同源, 寓毉于食
③ 飮和食德
3) 음식의 중화주의
Ⅱ.중화요리
1) 중국역사속의 음식문화
- 근대 중화요리의 성립
2) 중화요리의 특색
① 공통적인 특색
② 중화요리 4대 천황
-산동 및 북경요리
-상해요리
-광동요리
-사천요리
③ 차
Ⅲ.중국의 식사예절
Ⅳ.개혁 개방이후의 중국음식문화
1) 홍콩 음식문화의 북진
2) 패스트푸드의 성공적 침투
Ⅴ.가깝고도 먼 중국
본문내용
진출하지 못해서임이 아니다. 맥도널드와 KFC의 죽국 침투에 앞선 마케팅 전략의 차이 때문인데, 한족 중국인은 북방이고 남방이고 닭고기를 무척 즐긴다고 한다. 단지, 남방인이 뼈와 살코기를 함께 먹기를 즐긴다면, 북방인은 살코기만을 먹는 것을 좋아하는 편이라는 차이뿐인데, KFC는 뼈와 살코기를 함께 튀겨낸 것이므로 북방에서는 인기가 좋지 못한 것이고, 맥도널드의 닭고기는 살코기만 다져서 겉에 튀김가루를 입혀 튀겨낸 것이므로 베이징과 같은 북방에서 단연 인기를 끈 것이다.
또한, KFC는 남방의 중소도시마다 닭고기맛을 달리 함으로써 보다 중국인들의 전통적인 기호에 맞추어 상당한 규모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대륙의 광활한 대지에서 비롯된 다양성이라는 특징에 그칠 것이 아니라, 중국의 경제에 보다 효율적으로 침투할 방안을 찾는 점에 이러한 중국인들의 다양한 기호는 기준점이 될 것이라도 본다.
Ⅴ.가깝고도 먼 중국
중국의 하고많은 문화 중에 ‘음식문화’를 꼽은 것은 음식의 생산과 소비 과정을 통해서 오늘날의 중국과 중국인을 이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였다. 요리는 의식, 의례, 복장이나 건축양식 등과는 달리 어떤 특정한 목적 내지는, 관념 아래 “전통”으로 날조될 가능성이 거의 없고 일상생활에서 가장 우리에게 친숙하면서도 다르게 느껴지는 것이기 때문에 ‘음식문화’를 주제로 선택했다. 이러한 까닭에, 나는 현란한 중국음식에 대한 소개보다 그들의 음식에의 인식, 활동이 지닌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우리는 오랫동안 역사적으로 중국과 밀접했기 때문에 아무래도 중국에 대해 친밀감을 많이 가지고 있다. 또한, 중국에 대해 과히 잘 알고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역사적으로는 우리의 역사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국사를 알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중국사 또한 배경지식으로서 갖춰야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중요한 것을 간과하고 있다. 과거사만 알고 있되, 현재의 발전하는 중국의 실상을 알지 못하고 있음이다. 현재 중국의 값싼 노동력과 중국 13억 소비시장으로 하여금 우리의 경제적 진출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얕은 이해로 인해 일어난 한국인 기업가의 실수 경험담을 들어보면, 우리가 너무나 안일하게 중국을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인은 같은 중국인들끼리도 첫 만남에서는 매우 불친절하다. 그들의 이러한 태도는 자신과 같은 부류인지 아닌지에 대해 제대로 판단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데 몇 마디 대화를 나누면서 어느 한구석이라도 같은 부류임을 느끼면, 금새 친절해진다. 그러나 우리처럼 속내를 다 드러내는 것이 아닌, 경계의 눈빛만을 거두는 것일 뿐이므로 우리는 이들을 “음흉하다”고 하는 지도 모르겠다. 예컨대 우리는 친구가 되었다는 말만 하면, 진실로 친구가 되어 경계하지 않는 버릇이 있다. 그런데 사업상 중국인들이 으레 하는 “우리는 친구가 되었다”는 말의 친구는 우리와 같은 개념이 아니며, 그저 한 두번 만나는 사람에게도 쓸 수 있는 의례용 단어일 뿐이기에 우리 사업가들은 중국인들에 대한 불신을 간직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즉, 우리의 중국 내지 중국인에 대한 이해는 아직 미비하며, 오해와 편견으로 가득 차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은 결과로, 한국을 찾는 수많은 대륙의 중국인들을 우리가 제대로 응대하지 못하고 또한, 중국에 사업상 투자나 기업유치의 목적으로 중국인 사업가와 협상하는 과정에서 한국인 사업가들의 실수가 생기는 것이다.
점차로 발전하고 있는 중국의 13억 인구의 경쟁력에 대응하고 우리가 그 속에서 경제력을 키우기 위해서, 복잡해지고, 다변화하고 있는 세계화의 흐름에 발맞추어 우리가 발전하기 위해서라도 가까운 이웃나라, 중국에 대해 실질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역사적인 문제로 요즘 감정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갈등의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무조건적인 감정만 앞세우는 것만으로는 발전적인 미래를 꿈꿀 수 없다. 가까운 동아시아의 국가들이 상호보완의 관계를 가져야 우리나라로서도 상당한 국익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기숙·한경선-------교양을 위한 음식과 식생활 문화, 1997
주영하----------------중국, 중국인, 중국음식, 2000
고광석----------------중화요리에 담긴 중국, 2002
장징------------------공자의 식탁, 2002
‘행복이 가득한 집’----집에서 만드는 중국요리, 2000
(음식문화팀)
박승준-----------중국, 중국인 똑바로 보기, 1999
또한, KFC는 남방의 중소도시마다 닭고기맛을 달리 함으로써 보다 중국인들의 전통적인 기호에 맞추어 상당한 규모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대륙의 광활한 대지에서 비롯된 다양성이라는 특징에 그칠 것이 아니라, 중국의 경제에 보다 효율적으로 침투할 방안을 찾는 점에 이러한 중국인들의 다양한 기호는 기준점이 될 것이라도 본다.
Ⅴ.가깝고도 먼 중국
중국의 하고많은 문화 중에 ‘음식문화’를 꼽은 것은 음식의 생산과 소비 과정을 통해서 오늘날의 중국과 중국인을 이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였다. 요리는 의식, 의례, 복장이나 건축양식 등과는 달리 어떤 특정한 목적 내지는, 관념 아래 “전통”으로 날조될 가능성이 거의 없고 일상생활에서 가장 우리에게 친숙하면서도 다르게 느껴지는 것이기 때문에 ‘음식문화’를 주제로 선택했다. 이러한 까닭에, 나는 현란한 중국음식에 대한 소개보다 그들의 음식에의 인식, 활동이 지닌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우리는 오랫동안 역사적으로 중국과 밀접했기 때문에 아무래도 중국에 대해 친밀감을 많이 가지고 있다. 또한, 중국에 대해 과히 잘 알고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역사적으로는 우리의 역사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국사를 알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중국사 또한 배경지식으로서 갖춰야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중요한 것을 간과하고 있다. 과거사만 알고 있되, 현재의 발전하는 중국의 실상을 알지 못하고 있음이다. 현재 중국의 값싼 노동력과 중국 13억 소비시장으로 하여금 우리의 경제적 진출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얕은 이해로 인해 일어난 한국인 기업가의 실수 경험담을 들어보면, 우리가 너무나 안일하게 중국을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인은 같은 중국인들끼리도 첫 만남에서는 매우 불친절하다. 그들의 이러한 태도는 자신과 같은 부류인지 아닌지에 대해 제대로 판단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데 몇 마디 대화를 나누면서 어느 한구석이라도 같은 부류임을 느끼면, 금새 친절해진다. 그러나 우리처럼 속내를 다 드러내는 것이 아닌, 경계의 눈빛만을 거두는 것일 뿐이므로 우리는 이들을 “음흉하다”고 하는 지도 모르겠다. 예컨대 우리는 친구가 되었다는 말만 하면, 진실로 친구가 되어 경계하지 않는 버릇이 있다. 그런데 사업상 중국인들이 으레 하는 “우리는 친구가 되었다”는 말의 친구는 우리와 같은 개념이 아니며, 그저 한 두번 만나는 사람에게도 쓸 수 있는 의례용 단어일 뿐이기에 우리 사업가들은 중국인들에 대한 불신을 간직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즉, 우리의 중국 내지 중국인에 대한 이해는 아직 미비하며, 오해와 편견으로 가득 차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은 결과로, 한국을 찾는 수많은 대륙의 중국인들을 우리가 제대로 응대하지 못하고 또한, 중국에 사업상 투자나 기업유치의 목적으로 중국인 사업가와 협상하는 과정에서 한국인 사업가들의 실수가 생기는 것이다.
점차로 발전하고 있는 중국의 13억 인구의 경쟁력에 대응하고 우리가 그 속에서 경제력을 키우기 위해서, 복잡해지고, 다변화하고 있는 세계화의 흐름에 발맞추어 우리가 발전하기 위해서라도 가까운 이웃나라, 중국에 대해 실질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역사적인 문제로 요즘 감정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갈등의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무조건적인 감정만 앞세우는 것만으로는 발전적인 미래를 꿈꿀 수 없다. 가까운 동아시아의 국가들이 상호보완의 관계를 가져야 우리나라로서도 상당한 국익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기숙·한경선-------교양을 위한 음식과 식생활 문화, 1997
주영하----------------중국, 중국인, 중국음식, 2000
고광석----------------중화요리에 담긴 중국, 2002
장징------------------공자의 식탁, 2002
‘행복이 가득한 집’----집에서 만드는 중국요리, 2000
(음식문화팀)
박승준-----------중국, 중국인 똑바로 보기, 1999
추천자료
[한국][요리][24절기][한글][훈민정음][전통의복][한복][노리개][탈][태극기]한국 요리, 한국...
[영국][영국문화][영국 정치문화][영국 생활방식][영국 여가활동과 스포츠][영국 음식 요리문...
[유아][공간조망능력][요리활동][동화][TV][문학작품][역사연표학습]유아와 공간조망능력, 유...
[프랑스문화] 프랑스의 이색 요리 - 프랑스인들의 이색 요리 문화
[A+] 독일의 음식문화와 음식예절 - 대표요리, 맥주, 소시지, 감자요리, 검소하고 환경적인 ...
만3세) <요리 활동 수업 계획안> 우리 가족 - 새싹 주먹밥 요리
만5세) <언어지도 문학에 기초한 언어지도법 적용을 위한 그림책 활동> 요리사(직업) - 동화 ...
[초밥, 스시, 초밥(스시) 정의, 초밥(스시) 역사, 초밥(스시) 종류, 초밥(스시) 재료, 초밥(...
[라면][라면 어원][라면 위험요소][라면 일화][라면 꼬불꼬불한 이유][라면 제품 사례][다른 ...
(만 3세) <아동영양학 활동계획안> 영양 - 5가지 식품군 : 요리실습을 통하여 요리재료를 직...
[아동건강교육] 영유아 요리활동 - 영유아 영양과 건강을 위한 요리활동의 실제(아몬드 쿠키 ...
치료적작업응용 - 화분케이크 만들기 {요리공예, 기대효과, 작업분석, 치료적용, 요리방법}....
[일식당] 일본요리의 개요와 종류, 일본요리 서비스방법
미셸 브라(Michel Bras) 프랑스 슈퍼스타 요리사(Chef)의 요리(cooking) 스토리텔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