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력”의 개념
2. 국력의 구성요소
3. 국력평가에 대한 어려움
정치학사전
2. 국력의 구성요소
3. 국력평가에 대한 어려움
정치학사전
본문내용
거의 역사가 현재의 한반도, 특히 한국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느냐의 문제는 부정적인 면 이외에 긍정적인 면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외부위협이 내부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종국적으로는 발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국제정치상의 논리적 시각에 입각해서 볼 때 그렇다.
지형의 경우, 국가의 힘, 즉 국력 그 자체가 국가와 국가간의 역학 관계에서 주요변수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국제정치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전쟁에서 방어하기 유리한 지형을 가진 국가가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더 좋은 조건일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쟁에서 쉽게 침략 당할 수 있는 평야지형보다는 산악지형이 국력을 측정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기후는 위도와 중요한 관계가 있다. 북위 20도에서 60도, 남위 20도에서 60도 사이의 지대가 인간 활동에 가장 적절한 기후로서 국제사회에서 가장 큰 도시, 국가들이 이 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 유럽의 대부분 국가들, 일본 등이 여기에 속한다. 결국 온대기후를 지닌 국가들이 국력을 측정하는데 유리하다는 것이다.
② 인구(population): 국력을 측정하는데 한 국가의 인구가 많으면 많을수록 유리하다는 가설을 반드시 지닐 수는 없지만 적은 인구를 가진 국가가 강대국의 대열에 서기는 어려운 일이다. 이를테면 1인당 국민소득이 약2만5천 달러가 넘지만 인구가 약 3백5십만 명 정도인 싱가포르를 국제사회에서 강대국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역으로 인구가 2억 명 이상 보유하고 있는 미국(약 2억 9천만 명), 중국(약 12억7천만 명)등과 같은 국가들은 인적 잠재력이 매우 풍부한 강대국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것은 생산에 종사할 수 있는 사람의 수가 많다는 뜻이며, 군무에서 보다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구가 많다고 해서 반드시 국력을 측정하는데 유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도는 오히려 인구(10억 3천만 명)가 국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인구가 국력 측정에 긍정적으로 작요하기 위해서는 그 이외의 국력구성요소, 특히 산업능력이나 천연자원 등과 함께 적절한 조화를 이룰 때 가능하다.
③ 천연자원(natural resources): 국제정치에서 의미를 갖는 천연자원이란 주식과 부식을 합한 식량과 원료를 말한다. 식량을 자급자족하는 국가는 부족한 식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보다는 국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유리한 입장에 있다. 또한 공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광산물을 중심으로 한 지하자원 및 각종 원료의 보유, 개발이 국력과 불과분의 관계를 갖게 된다. 특히 전쟁목적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전략자원의 보유 및 그 다소의 여부는 국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대포, 군함, 비행기 등 무기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원료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국가에 비하여 그렇지 못한 국가는 불리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석탄, 석유, 및 우라늄과 같은 에너지 자원과 철광석을 비롯한 금속류는 국가의 공업력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자원이 한 국가의 국력신장에 필요조건인 것만은 분명
지형의 경우, 국가의 힘, 즉 국력 그 자체가 국가와 국가간의 역학 관계에서 주요변수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국제정치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전쟁에서 방어하기 유리한 지형을 가진 국가가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더 좋은 조건일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쟁에서 쉽게 침략 당할 수 있는 평야지형보다는 산악지형이 국력을 측정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기후는 위도와 중요한 관계가 있다. 북위 20도에서 60도, 남위 20도에서 60도 사이의 지대가 인간 활동에 가장 적절한 기후로서 국제사회에서 가장 큰 도시, 국가들이 이 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 유럽의 대부분 국가들, 일본 등이 여기에 속한다. 결국 온대기후를 지닌 국가들이 국력을 측정하는데 유리하다는 것이다.
② 인구(population): 국력을 측정하는데 한 국가의 인구가 많으면 많을수록 유리하다는 가설을 반드시 지닐 수는 없지만 적은 인구를 가진 국가가 강대국의 대열에 서기는 어려운 일이다. 이를테면 1인당 국민소득이 약2만5천 달러가 넘지만 인구가 약 3백5십만 명 정도인 싱가포르를 국제사회에서 강대국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역으로 인구가 2억 명 이상 보유하고 있는 미국(약 2억 9천만 명), 중국(약 12억7천만 명)등과 같은 국가들은 인적 잠재력이 매우 풍부한 강대국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것은 생산에 종사할 수 있는 사람의 수가 많다는 뜻이며, 군무에서 보다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구가 많다고 해서 반드시 국력을 측정하는데 유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인도는 오히려 인구(10억 3천만 명)가 국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인구가 국력 측정에 긍정적으로 작요하기 위해서는 그 이외의 국력구성요소, 특히 산업능력이나 천연자원 등과 함께 적절한 조화를 이룰 때 가능하다.
③ 천연자원(natural resources): 국제정치에서 의미를 갖는 천연자원이란 주식과 부식을 합한 식량과 원료를 말한다. 식량을 자급자족하는 국가는 부족한 식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보다는 국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유리한 입장에 있다. 또한 공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광산물을 중심으로 한 지하자원 및 각종 원료의 보유, 개발이 국력과 불과분의 관계를 갖게 된다. 특히 전쟁목적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전략자원의 보유 및 그 다소의 여부는 국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대포, 군함, 비행기 등 무기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원료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국가에 비하여 그렇지 못한 국가는 불리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석탄, 석유, 및 우라늄과 같은 에너지 자원과 철광석을 비롯한 금속류는 국가의 공업력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자원이 한 국가의 국력신장에 필요조건인 것만은 분명
추천자료
속도상수와 평형상수의 개념과 의미
오타쿠의 개념과 의미 문화
[언어기호학][언어기호학 영역][신화][의미론][철학자]언어기호학의 개념, 언어기호학의 영역...
학습동기의 의미와 구성개념 및 영향을 끼치는 요인
[아동발달]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에 대한 설명과 양육에의 함의 고찰 (피아제 인지발달 단계...
파블로프 고전적조건화이론의 의미와 주요개념, 파블로프 고전적조건화이론의 조건화형태와 ...
표적마케팅의 의미와 중요성 및 단계, 시장세분화의 개념과 기준 및 유의점
[색채어][색채형용사][여요작품속 색채어][한국색채어][일본색채어]색채어의 개념, 색채어의 ...
인적자원관리 개념과 의미입니다.
생활속의경제2B) 시장과 정부의 관계에 대한 논의 (시장에 대한 개념, 시장과 정부의 의미, ...
① 표본추출(표집)방법의 종류와 ②사회복지조사절차(과정)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표본 추출 개...
[사회민주주의 분석] ≪사회민주주의의 동향 분석≫ 사민주의의 의미, 사민주의 개념, 사민주의...
[현대의 서양문화 C형] 공공조형물은 그것이 세워지는 지역이나 장소의 역사적 사회적 의미와...
패러다임의 의미를 정의하고, 사회복지 실천의 패러다임의 변화과정을 설명하고 왜 그런 변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