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다
②예비세정한다.
③탈지 한다.
④전해 탈지를 한다
⑤수세한다.
⑥중화처리 한다.
⑦다시 수세한다.
⑧스트라이크 처리를 한다.
⑨수세를 한다.
⑩도금한다.
4. 실 험 결 과
1)변수 : 전류
변수
전류
도금전
무게(g)
도금후 무게(g)
도금두께(mm)
전 후
도금층
부피(mm3)
도금층 밀도(mm3/g)
V
(기록)
전류
0.50A
7.24
7.25
2.9
3.0
25.447
0.39 x 10-8
3V
0.75A
11.88
11.90
4.9
5.0
25.447
0.79 x 10-3
5V
1.00A
10.22
10.25
4.3
4.4
25.447
1.2 x 10-3
7V
1.25A
6.74
6.77
2.9
3.0
25.447
1.2 x 10-3
10V
1.50A
10.01
10.04
4.0
4.1
25.447
11.8 x 10-3
11V
1.75A
10.08
10.12
4.1
4.2
25.447
1.6 x 10-3
12V
<전류에 따른 도금층 밀도의 변화>
변수
극간거리
도금전
무게(g)
도금후 무게(g)
도금두께(mm)
전 후
도금층
부피(mm3)
도금층 밀도
(mm3/g)
V
(기록)
극간
거리
60mm
9.17
9.23
3.8
3.9
25.447
2.4 x 10-3
1A 10V
70mm
12.94
12.99
5.3
5.4
25.447
3.5 x 10-3
1A 10V
80mm
8.87
8.89
3.6
3.8
50.894
0.39 x 10-3
1A 10V
90mm
7.38
7.45
3.0
3.3
76.341
0.92 x 10-3
1A 10V
100mm
10.99
11.01
4.4
4.65
63.617
0.26 x 10-3
1A 10V
2)변수 : 극간거리
<극간거리에 따른 도금층 밀도의 변화>
5. 고 찰
도금실험 재료는 구리였다. 총 2가지의 변수를 두고 실험을 하였는데 1.전류 2.극간거리가 그것이었다. 도금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전류의세기, 전해질의 농도 전해질의 조성, 도금액의 농도 , 극간거리, 모재의표면 상태 등이 있는데 이번실험에서는 전류의 세기, 극간거리를 변수로 두고 실험하였다.
전류의 세기가 작으면 도금의 속도 또한 작아지며 두께가 얇아진다. 하지만 조밀하게 도금되기 때문에 도금층의 밀도는 높다. 도금의 속도차도 커진다.이것은 실험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전류의 세기와 밀도의 관계> 그래프를 살펴보면 전류의 세기가 높아질수록 밀도가 낮아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류의 세기가 높아지면 도금의 속도가 커지면서 도금이 조밀하게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극간거리 역시 도금에 영향을 주는 데 극간거리가 가까울 수록 도금의 속도가 크고 밀도는 작다. 균일석 역시 떨어진다. 실험 결과를 살펴 보면 대체적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밀도가 커지는 것을 볼수 있다. 다만 90mm에서는 밀도가 상당히 낮게 측정이 되었는데 이는 실험도중 약간의 다른 변수가 생겨서 잘못된 결과가 나온 것 같다.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극간거리가 멀어지면 도금속도가 떨어지고 따라서 조밀하게 도금이 될 수 있어 밀도 또한 높아진다.
②예비세정한다.
③탈지 한다.
④전해 탈지를 한다
⑤수세한다.
⑥중화처리 한다.
⑦다시 수세한다.
⑧스트라이크 처리를 한다.
⑨수세를 한다.
⑩도금한다.
4. 실 험 결 과
1)변수 : 전류
변수
전류
도금전
무게(g)
도금후 무게(g)
도금두께(mm)
전 후
도금층
부피(mm3)
도금층 밀도(mm3/g)
V
(기록)
전류
0.50A
7.24
7.25
2.9
3.0
25.447
0.39 x 10-8
3V
0.75A
11.88
11.90
4.9
5.0
25.447
0.79 x 10-3
5V
1.00A
10.22
10.25
4.3
4.4
25.447
1.2 x 10-3
7V
1.25A
6.74
6.77
2.9
3.0
25.447
1.2 x 10-3
10V
1.50A
10.01
10.04
4.0
4.1
25.447
11.8 x 10-3
11V
1.75A
10.08
10.12
4.1
4.2
25.447
1.6 x 10-3
12V
<전류에 따른 도금층 밀도의 변화>
변수
극간거리
도금전
무게(g)
도금후 무게(g)
도금두께(mm)
전 후
도금층
부피(mm3)
도금층 밀도
(mm3/g)
V
(기록)
극간
거리
60mm
9.17
9.23
3.8
3.9
25.447
2.4 x 10-3
1A 10V
70mm
12.94
12.99
5.3
5.4
25.447
3.5 x 10-3
1A 10V
80mm
8.87
8.89
3.6
3.8
50.894
0.39 x 10-3
1A 10V
90mm
7.38
7.45
3.0
3.3
76.341
0.92 x 10-3
1A 10V
100mm
10.99
11.01
4.4
4.65
63.617
0.26 x 10-3
1A 10V
2)변수 : 극간거리
<극간거리에 따른 도금층 밀도의 변화>
5. 고 찰
도금실험 재료는 구리였다. 총 2가지의 변수를 두고 실험을 하였는데 1.전류 2.극간거리가 그것이었다. 도금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전류의세기, 전해질의 농도 전해질의 조성, 도금액의 농도 , 극간거리, 모재의표면 상태 등이 있는데 이번실험에서는 전류의 세기, 극간거리를 변수로 두고 실험하였다.
전류의 세기가 작으면 도금의 속도 또한 작아지며 두께가 얇아진다. 하지만 조밀하게 도금되기 때문에 도금층의 밀도는 높다. 도금의 속도차도 커진다.이것은 실험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전류의 세기와 밀도의 관계> 그래프를 살펴보면 전류의 세기가 높아질수록 밀도가 낮아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류의 세기가 높아지면 도금의 속도가 커지면서 도금이 조밀하게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극간거리 역시 도금에 영향을 주는 데 극간거리가 가까울 수록 도금의 속도가 크고 밀도는 작다. 균일석 역시 떨어진다. 실험 결과를 살펴 보면 대체적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밀도가 커지는 것을 볼수 있다. 다만 90mm에서는 밀도가 상당히 낮게 측정이 되었는데 이는 실험도중 약간의 다른 변수가 생겨서 잘못된 결과가 나온 것 같다.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극간거리가 멀어지면 도금속도가 떨어지고 따라서 조밀하게 도금이 될 수 있어 밀도 또한 높아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