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합의 개념
① 브레드캠프와 로즈그란트(Bredekamp & Rosegrant, 1985)
② APEID(1982)
③ 영국의 유아학교 및 초등학교에서 요구되는 통합 대상
2. 통합 교육과정의 역사적 배경
3. 통합적 유아교육과정의 재조명
1) 개즈크(Gatzke, 1991)의 유치원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
2) 브라운(Brown, 1991)
3) 캐츠와 차드(Katz & Chard, 1995)
4) 통합 교육과정 적용의 학습 촉진 측면
5) 유아교육과정에서 쉽게 빠질 수 있는 함정
6) 브레드캠프와 로즈그란트(Bredekamp & Rosegrant, 1995)
4. 통합 교육과정의 유형
1) 통합 교육과정 모형의 세 가지 유형
2) 통합 수준의 세 단계 구분
5. 유아교육과정에서의 통합적 접근의 적용 실제
1) 교육과정 조직망을 계획함으로써 교사가 얻을 수 있는 장점
2) 통합적 유아교육과정 접근법의 의의
① 브레드캠프와 로즈그란트(Bredekamp & Rosegrant, 1985)
② APEID(1982)
③ 영국의 유아학교 및 초등학교에서 요구되는 통합 대상
2. 통합 교육과정의 역사적 배경
3. 통합적 유아교육과정의 재조명
1) 개즈크(Gatzke, 1991)의 유치원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
2) 브라운(Brown, 1991)
3) 캐츠와 차드(Katz & Chard, 1995)
4) 통합 교육과정 적용의 학습 촉진 측면
5) 유아교육과정에서 쉽게 빠질 수 있는 함정
6) 브레드캠프와 로즈그란트(Bredekamp & Rosegrant, 1995)
4. 통합 교육과정의 유형
1) 통합 교육과정 모형의 세 가지 유형
2) 통합 수준의 세 단계 구분
5. 유아교육과정에서의 통합적 접근의 적용 실제
1) 교육과정 조직망을 계획함으로써 교사가 얻을 수 있는 장점
2) 통합적 유아교육과정 접근법의 의의
본문내용
육활동 자료집, 이화여대 부속유치원의 이화유치원 교육과정, 중앙대학교 부속유치원의 활동중심 통합 교육과정, 덕성여대 부속유치원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교육과정,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관 개방주의 유아교육과정 등은 유아의 흥미를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는 통합적 접근법의 철학과는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학습 주제를 교사가 미리 정하여 유아의 흥미와 관계없이 고정시켜 융통성을 주지 않는다든지, 놀이가 중심이 된다고 하여 교육과정을 전적으로 유아에게 일임하는 방임적인 교육형태는 통합적 유아교육과정 접근법의 개념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행동주의 접근법을 지향하고 있는 DISTAR 프로그램 모델과 같은 극단적인 교사중심의 교육과정을 제외하고는 앞으로 이러한 통합적 접근법이 유아교육과정 구성의 기초가 되어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