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작을 하면서
2.러일전쟁이란
1).간단한 설명
2).러일 전쟁 당시 국제 동맹 상황
3).개전전에 러시아와 일본의 외교전과 러일전쟁의 발발
3.결론
참고 문헌
2.러일전쟁이란
1).간단한 설명
2).러일 전쟁 당시 국제 동맹 상황
3).개전전에 러시아와 일본의 외교전과 러일전쟁의 발발
3.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의 이익을 인정하는 하는 직간접적인 제스처를 취하였다. 이로써 일본은 국제적으로 인정을 토대로 한반도를 식민지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것이 바로 한일 협약으로 인한 고문 정치이다. 아울러 일본은 한국의 독도를 강탈을 하게 되다.
3.결론
서두에서 일본에서 어느 한 교수가 러일전쟁은 해방전쟁이었다고 말을 하였다. 분명 당시 러시아의 식민지였던 북유럽은 좋아했을려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그로인해 한국은 일본에의 해 병합을 당해야하는 첫걸음을 밝게 되었다. 또한 이것은 해방전쟁이 아니라 단순히 15)러시아는 메두사 일본은 그 괴물의 목을 자르는 페르세우스 이러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전쟁은 당시에 늘 상 있던 누가 만주와 한국을 정복을 하고 식민지를 만드느냐 하는 문제를 가지고 전쟁을 한 전제주의적 전쟁의 하나 인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러한 세계의 흐름을 읽지도 적응하지도 못한 그리고 계속적인 집안싸움으로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르나 이러한 열강속에 희생된 하나의 나라인 것이다. 언제일지는 모르나 또 언젠가 일본은 계속 이런 망언을 할지도 모른다. 그때는 우리는 당당하게 말해야 한다. 이 전쟁은 해방전쟁이 아니라 전제주의적 전쟁이고 식민지 정복 전쟁이었다고 말이다.
참고 문헌
1.일간지
조선일보 2000.05.30 한국풍자만화
2000.01.25
2004.09.14 러일전쟁과 여순, 노기장군 승전 기념, 역사다큐 러일전쟁
한계례신문 2004.02.26 국제 일신문 러일전쟁 찬양
2.단행본
~20세기 러시아 현대사 존.M.톰슨 김남섬옮김 : 사회평론
~러시아의 역사 -고대 루시에서 볼쉐비키혁명까지 CH스이로프저 기연수역 : 동아일보사
~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러일전쟁의 외교와 군사전략 강성학 : 고려대학교출판부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병합 최문형 : 지식산업사
~한러 군사관계사료집 1 러일전쟁과 한반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한국과 러시아관계 평가 전망 서대숙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지정학 理論과 實際 주덕정 : 법문사
~한권으로 보는 일본사 101 장면 -선사문화에서 부전결의까지- : 강창일 하종문지음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日本高等學校 新日本史 A 改訂版 : 淸水書院
3.인터넷
~http://www.naver.com -지식 검색소
~http://www.defence.co.kr - 디펜스 코리아
~http://mypage.naver.co.jp/metalfleet/ljn-2.htm
(주석1~13)
1)조선일보 2004. 09. 14 문화 예술 「러일전쟁과 여순」
2)강성학교수는 러일전쟁 기간중 세계인들의 상상력을 자극한 것은 여순의 포위공격이었다. 실제로 끝날 무렵에 가서는 여순의 감상적 중요성이 전략적 중요성을 분명히 능가했다. 일본인에게 있어 여순은 러시아인들이 훔쳐간 기지였으며 전쟁의 모든 것을 상징했다고 한다.
3)한계례신문 2004. 02. 06 국제 「일신문, 러일전쟁 찬양」에서 <요미우리신문>은 러일전쟁발발 100주년을 계기로 쓴 사설에서 일본의 승리는 “러시아지배 아래 있던 북.동 유럽은 물론 이집트에서 베트남에 이르는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민족독립 운동에 커다란 희망을 주고 그 여파는 구미 열강의 식민지 지배의 타파로 이어졌다” 라고 자화자찬 하였다.
4)조선일보 2001년 1월 25일 「러일전쟁 서방에 충격 ~~ 발틱함대 일본에 참패」
5)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한반도 병합 최문형 : 지식산업사 p227
6)위와 동일 p.216 루즈벨트는 대통령이 되기 전이 1900년 8월 24일에 독일인 친구 스테른부르크에게 보낸 서한에서 ‘나는 일본이 한국을 차지하는 것을 보고 싶다. 일본은 러시아의 저지 세력이 될 것이라며 일본이 지금까지 해온 일을 미루어 볼 때 그들에게는 한국을 차지할 자격이 있다’ 라고 말을 한일이 있으며 그리고 1904년 5월에는 그에게 ‘미국이 관여하는 한 일본은 한국을 차지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카이저한테 전하라고 말한바 있다.
7)위와 동일 p205
8)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강성학 : 고려대학교 출판부 p247 러시아의 경우 전쟁장관인 쿠로파스킨장군에게 “나는 우리의 황제가 자기 머릿속에 러시아를 위해 만주를 장악하고 조선을 병합하는 웅장한 계획들을 알고 있다고 비테에게 말을 하였다. 황제는 또한 티벳을 자기 지배하에 두려는 꿈을 꾸고 있으며 페르시아를 취하고 보스포러스 해협 뿐만 아니라 다다넬스 해협까지 장악하기를 열망한다.”
비테의 자신의 회고록에 보면 “니콜라스 황제는 극동지역에 러시아의 영향력을 강화시키기를 열망하였다. 그러나 황제는 명확한 정복계획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영토를 갈망하는 비합리적인 욕망에 사로잡혀 있었다고 말을 한다.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한국의 병합 최문형 : 지식산업사 p203 일본에서도 이미 개전에 반대해온 이토 히로부미 마저도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회합을 통해 한국으로부터의 철병이 아닐 경우 전쟁은 불가피하다는 내부 입장을 정리를 한 상태였다.
9)도버뱅크만 사건 러시아의 발틱함대가 영국의 어선을 일본의 수뢰정으로 착각하고 공격한 사건 그리고 나서 영국 어선임을 알고 나서도 인명구조를 하지 않는 비신사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 영국은 러시아에게 약 6만 5천 파운드를 배상하라고 요구를 하게 됩니다. 출처 :http://mypage.naver.co.jp/metalfleet/ljn-3.html
10)한러 군사관계 사료집 1 러일전쟁과 한반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p303
위와 동일 p306 러일전쟁 시기 한인의용군 편성계획
11)http://mypage.naver.co.jp/metalfleet/Ijn_5.htm
12)시베리아 횡단철도와 사무라이 강성학 : 고려대학교 출판부 p405
13)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강성학 : 고려대학교 출판부 p427
14)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한국 병합 최문열 : 지식산업사 p312
15)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p24
*목 차
1.시작을 하면서
2.러일전쟁이란
1).간단한 설명
2).러일 전쟁 당시 국제 동맹 상황
3).개전전에 러시아와 일본의 외교전과 러일전쟁의 발발
3.결론
참고 문헌
3.결론
서두에서 일본에서 어느 한 교수가 러일전쟁은 해방전쟁이었다고 말을 하였다. 분명 당시 러시아의 식민지였던 북유럽은 좋아했을려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그로인해 한국은 일본에의 해 병합을 당해야하는 첫걸음을 밝게 되었다. 또한 이것은 해방전쟁이 아니라 단순히 15)러시아는 메두사 일본은 그 괴물의 목을 자르는 페르세우스 이러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전쟁은 당시에 늘 상 있던 누가 만주와 한국을 정복을 하고 식민지를 만드느냐 하는 문제를 가지고 전쟁을 한 전제주의적 전쟁의 하나 인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러한 세계의 흐름을 읽지도 적응하지도 못한 그리고 계속적인 집안싸움으로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르나 이러한 열강속에 희생된 하나의 나라인 것이다. 언제일지는 모르나 또 언젠가 일본은 계속 이런 망언을 할지도 모른다. 그때는 우리는 당당하게 말해야 한다. 이 전쟁은 해방전쟁이 아니라 전제주의적 전쟁이고 식민지 정복 전쟁이었다고 말이다.
참고 문헌
1.일간지
조선일보 2000.05.30 한국풍자만화
2000.01.25
2004.09.14 러일전쟁과 여순, 노기장군 승전 기념, 역사다큐 러일전쟁
한계례신문 2004.02.26 국제 일신문 러일전쟁 찬양
2.단행본
~20세기 러시아 현대사 존.M.톰슨 김남섬옮김 : 사회평론
~러시아의 역사 -고대 루시에서 볼쉐비키혁명까지 CH스이로프저 기연수역 : 동아일보사
~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러일전쟁의 외교와 군사전략 강성학 : 고려대학교출판부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병합 최문형 : 지식산업사
~한러 군사관계사료집 1 러일전쟁과 한반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한국과 러시아관계 평가 전망 서대숙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지정학 理論과 實際 주덕정 : 법문사
~한권으로 보는 일본사 101 장면 -선사문화에서 부전결의까지- : 강창일 하종문지음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日本高等學校 新日本史 A 改訂版 : 淸水書院
3.인터넷
~http://www.naver.com -지식 검색소
~http://www.defence.co.kr - 디펜스 코리아
~http://mypage.naver.co.jp/metalfleet/ljn-2.htm
(주석1~13)
1)조선일보 2004. 09. 14 문화 예술 「러일전쟁과 여순」
2)강성학교수는 러일전쟁 기간중 세계인들의 상상력을 자극한 것은 여순의 포위공격이었다. 실제로 끝날 무렵에 가서는 여순의 감상적 중요성이 전략적 중요성을 분명히 능가했다. 일본인에게 있어 여순은 러시아인들이 훔쳐간 기지였으며 전쟁의 모든 것을 상징했다고 한다.
3)한계례신문 2004. 02. 06 국제 「일신문, 러일전쟁 찬양」에서 <요미우리신문>은 러일전쟁발발 100주년을 계기로 쓴 사설에서 일본의 승리는 “러시아지배 아래 있던 북.동 유럽은 물론 이집트에서 베트남에 이르는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민족독립 운동에 커다란 희망을 주고 그 여파는 구미 열강의 식민지 지배의 타파로 이어졌다” 라고 자화자찬 하였다.
4)조선일보 2001년 1월 25일 「러일전쟁 서방에 충격 ~~ 발틱함대 일본에 참패」
5)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한반도 병합 최문형 : 지식산업사 p227
6)위와 동일 p.216 루즈벨트는 대통령이 되기 전이 1900년 8월 24일에 독일인 친구 스테른부르크에게 보낸 서한에서 ‘나는 일본이 한국을 차지하는 것을 보고 싶다. 일본은 러시아의 저지 세력이 될 것이라며 일본이 지금까지 해온 일을 미루어 볼 때 그들에게는 한국을 차지할 자격이 있다’ 라고 말을 한일이 있으며 그리고 1904년 5월에는 그에게 ‘미국이 관여하는 한 일본은 한국을 차지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카이저한테 전하라고 말한바 있다.
7)위와 동일 p205
8)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강성학 : 고려대학교 출판부 p247 러시아의 경우 전쟁장관인 쿠로파스킨장군에게 “나는 우리의 황제가 자기 머릿속에 러시아를 위해 만주를 장악하고 조선을 병합하는 웅장한 계획들을 알고 있다고 비테에게 말을 하였다. 황제는 또한 티벳을 자기 지배하에 두려는 꿈을 꾸고 있으며 페르시아를 취하고 보스포러스 해협 뿐만 아니라 다다넬스 해협까지 장악하기를 열망한다.”
비테의 자신의 회고록에 보면 “니콜라스 황제는 극동지역에 러시아의 영향력을 강화시키기를 열망하였다. 그러나 황제는 명확한 정복계획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영토를 갈망하는 비합리적인 욕망에 사로잡혀 있었다고 말을 한다.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한국의 병합 최문형 : 지식산업사 p203 일본에서도 이미 개전에 반대해온 이토 히로부미 마저도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회합을 통해 한국으로부터의 철병이 아닐 경우 전쟁은 불가피하다는 내부 입장을 정리를 한 상태였다.
9)도버뱅크만 사건 러시아의 발틱함대가 영국의 어선을 일본의 수뢰정으로 착각하고 공격한 사건 그리고 나서 영국 어선임을 알고 나서도 인명구조를 하지 않는 비신사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 영국은 러시아에게 약 6만 5천 파운드를 배상하라고 요구를 하게 됩니다. 출처 :http://mypage.naver.co.jp/metalfleet/ljn-3.html
10)한러 군사관계 사료집 1 러일전쟁과 한반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p303
위와 동일 p306 러일전쟁 시기 한인의용군 편성계획
11)http://mypage.naver.co.jp/metalfleet/Ijn_5.htm
12)시베리아 횡단철도와 사무라이 강성학 : 고려대학교 출판부 p405
13)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강성학 : 고려대학교 출판부 p427
14)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한국 병합 최문열 : 지식산업사 p312
15)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p24
*목 차
1.시작을 하면서
2.러일전쟁이란
1).간단한 설명
2).러일 전쟁 당시 국제 동맹 상황
3).개전전에 러시아와 일본의 외교전과 러일전쟁의 발발
3.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러일전쟁과 동북아 정세
러일전쟁과 국제관계
[근현대한일관계와국제사회]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이 미친 한일관계의 분석
(근현대한일관계와국제사회)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이 한일관계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2008년 1학기 근현대한일관계와국제사회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청일,러일전쟁)
강화도조약 이후 임오군란 갑신정변기의 일본의 대조선정책 특징과 청일전쟁 및 러일전쟁의 ...
[러일전쟁][러시아 태도변화][일본]러일전쟁의 개요, 러일전쟁의 개념, 러일전쟁의 원인, 러...
[러일전쟁, 러일전쟁 의미, 러일전쟁 요인, 러시아 상황, 러일전쟁 영향]러일전쟁의 의미, 러...
러일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