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상장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초종례(初終禮)

(2) 습(襲)과 렴(殮)

(3) 혼백(魂帛)․ 영좌(靈座)

(4) 성복(成服)

(5) 조문(弔問)

(6) 장례(葬禮) - 발인(發靷)ㆍ치장(治裝)
(6)-2. 치장

(7) 흉제(凶祭)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戊), 경(庚), 임(壬)에 해당하는 날에 지낸다.
- 초우ㆍ재우ㆍ삼우는 단작이 아니고 진설(陳設)ㆍ강신(降神)ㆍ진찬(進饌)ㆍ초헌(初獻)ㆍ아헌(亞獻)ㆍ종헌(終獻)ㆍ유식(侑食)ㆍ합문(闔門)ㆍ계문(啓門)ㆍ사신(辭神) 등의 절차에 따라 진행된다. 재우와 삼우는 질명(날이 밝을 무렵)에 지내며, 묘지가 멀어서 삼우까지 귀가할 수 없는 처지라 하더라도 삼우는 반드시 집에서 올려야 한다. 삼우재가 지나면 그동안 끼니 때 마다 올리던 상식을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아침에만 올린다. 이를「삭망전(朔望奠)」혹은「삭망상식(朔望上食)」이라 한다.
② 졸곡과 부제
-1. 졸곡제(卒哭祭)
졸곡제는 삼우제 이튿날 지내는 곳도 있고, 초상 후 석 달째 맞는 강일(보통 초상 후 100일 쯤 되는 날)에 지내는 곳도 있다. 이는 축문만 다를 뿐 제사 절차는 우제와 같다. 졸곡은 지금까지 수시로 하던 무시곡을 그친다는 뜻이다. 그러나 강망일 아침에 외와 갱 등 상식을 영전에 올리고 곡을 하는 일은 전과 같이 한다.
-2. 부제(祭)
부제는 신주를 그 조상의 신주 곁으로 모실 때 지내는 제사다. 졸곡 다음 날 사당에서 조고위(組考位)와 제상을 나란히 놓고 지낸다. 사당이 좁을 때는 마루에서 지낼 수도 있다.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는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신위중간에 아버지의 신위 자리를 정한다.
부제는 조상에게 부()한다는 제사이지만 부제를 행하는 예는 극히 드물다.
③ 소상ㆍ대상
-1. 소상(小祥)
「연제(練祭)」라고도 한다. 예서에 보면 소상은 초상 후 13개월 되는 날, 날짜를 가려 지내도록 되어있다. 아버지가 생존해 계신데 어머니가 먼저 사망한 경우에는 초상 11개월 만에 연제를 지내고, 13개월에 소상, 15개월 만에 담사를 지낸다. 즉 11개월, 13개월, 15개월로서 3년 상을 모두 대신하고 탈상하게 된다.
소상은 진설(陳設)이후에 진연복(陳練服) 복(服)을 감(減)하는 것으로 상주가 영전에 분향하고 의려(부모의 상중에 상주가 거처하는 막)에 나가 남자 상주는 수질(首), 여자 상주는 요질(腰)를 벗고 연복으로 갈아입는 것을 말한다. 연복(練服)이란 빨아서 다듬은 상복을 말한다.
과 출주(出主) 사당에 들어가 그곳에 모셔 놓은 신주를 모시고 나와 제상 뒤편에 남향으로 세워 놓은 것을 말한다.
를 더하는 것만 빼고 나머지는 졸곡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모든 준비가 끝나면 축관이 신주를 내 모시고 상주들이 영좌에 들어가 곡을 한다. 상주들이 다시 나와서 연복으로 갈아입은 다음 다시 곡을 하고 들어가 졸곡과 같은 절차로 소상제를 지낸다.
-2. 대상(大祥)
대상은 초상 후 제의절차는 소상 때와 같다. 다만 축관이 신주를 사당에 모시며 상주들은 곡을 하고 뒤따라 사당 앞에 이르면 곡을 멈춘다.
대상제가 끝나면 영좌(靈座)를 철회하고 신주는 사당에 모신다. 상장(喪杖), 수질(首), 질대(帶), 방립(方笠) 등은 불에 태우고 상복은 불에 넣어 처리하거나 가난한 사람에게 준다.
④ 담제ㆍ길제
-1. 담제(祭)
삼년상을 무사히 마쳤다는 뜻에서 올리는 제사이다. 대상(大祥) 후 둘째 달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택하여 사당에서 거행한다. 담제의 절차는 대상과 같고, 이때는 담복(服) 담복이란 화려하지 않은 수수한 빛깔의 옷을 말한다.
을 준비한다. 담제를 지내고 나서 비로소 탈복(脫服) 탈상(脫喪)을 하고 음주와 육식을 할 수 있으나, 근래에는 거의 대상(大祥) 때 탈북 탈상을 하고 담제는 지내지 않는다.
-2. 길제(吉祭)
담제를 올린 다음날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택하여 조상의 신주(神主)를 고쳐 쓰고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길제를 지내려면 삼일 전부터 재계를 하고 전날 사당(祠堂)에 고한다. 평상복인 길복(吉服)을 준비하며 절차는 담제와 같다. 朴柱弘, Kt韓國民俗學槪論, 螢雪出版社, 1992, p.167-168.
참고문헌
송재용, (韓國의 儀禮) {國文學論集}, 檀國大學校 國語國文科, 1999.
朴柱弘, {韓國民俗學槪論}, 螢雪出版社, 1992.
김용덕, {한국 민속문화대사전 上}, 창솔, 2004.
강재철, {기러기아범의 두루마기},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李杜鉉, 張籌根, 李光奎 共著, {韓國民俗學槪說}, 一潮閣, 1993
*목 차
(1) 초종례(初終禮)
(2) 습(襲)과 렴(殮)
(3) 혼백(魂帛) 영좌(靈座)
(4) 성복(成服)
(5) 조문(弔問)
(6) 장례(葬禮) - 발인(發靷)ㆍ치장(治裝)
(6)-2. 치장
(7) 흉제(凶祭)
*참고문헌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6.0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